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과학과 식민현대성

인권 및 '정체성identity' 담론은 사실은 '인간'을 여러 차원에서 나누어 놓고 결국 통합하지 못하면서, 결국은 '인간'을 이론적 차원에서 '죽은 인간'으로 내버려 놓았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론적 실천이 바로 '현대성'의 식민주의적 수용의 결과인 듯 싶다. 현대성에서 비롯된 '민주'의 문제와 관련해서 '과학'의 문제도 이렇게 제기된다. 여러 가지 권리와 정체성에 따라 '인간'을 분해해 보는 '이론'적 시도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현실에서 인간은 그렇게 분해된 채로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이 아니기 때문에, 이론은 '현실'의 실천에 결합될 때 하나의 '통합' 과정을 겪어야 했던 것이다. 사회'를 인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사회를 여러 차원에서 분석하기 위해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사회 또한 역사를 가지는 이상 하나의 유기적 생명체이기 때문에, 결국 개별적 분석은 통합의 과정을 겪어야만 의미 있는 해석으로 제시될 수 있다. 결국 '통합'의 기준에 대한 물음에서 우리는 '역사'의 위상을 논의하게 된다. 지식담당자의 인식행위의 현대화는 대상에 대한 인식론적 분리를 실제적 분리로 착각하게 만들면서, 지식담당자와 대중 사이에 인식론적 격차가 심화된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우리 세대의 경우 역사를 삭제해버리면, 아주 쉽게 답을 얻게 될 것이다. '세계시민주의'와 '세계체계'라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손쉬운 보편-특수 분석 담론이 주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안에서 우리는 동력을 찾을 수 없다. 거기엔 사람도 역사도 없기 때문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