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입양 관련 이야기

53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0/09/08
    엄마가 둘, 아빠가 둘
    깡통

아동 수출, 고아 수출

해외 입양을 아동 매매로 보는 기사를 읽을 때 마다 뭔가 말을 해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글을 쓸 시간이 없어 덮어두다가 글을 쓴다.

 

지난 12월 9일 시사포커스 문호권 기자의 ‘입양이 돈벌이로 전락, 아동수출 4위’라는 기사 내용 중 ‘복지시설이 아동수출의 주역으로 등장’이라는 글이 나를 자극했다. 해외 입양을 아동 수출이나 고아 수출 이라는 단어로 표현하면 아무리 좋은 말로 포장한 다해도 입양은 아동 매매가 되기 때문이다.

 

나는 대안 없이 해외 입양을 강제로 막는 것을 반대한다. 문 기자가 해외입양쿼터제의 문제점에 대해 짧게 기술한 것처럼 해외입양쿼터제는 입양대기 아동의 수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만들어버렸다. 문 기자가 필자의 주장을 받아들일지 모르지만 시간이 지나면 결국 현재 입양대기 아동의 상당수는 문 기자가 말한 일 년에 ‘1인당 1400만원’이 들어간다는 보육원에서 생활을 할 것이다.

 

현재 정부는 저 출산 문제를 어떻게 하면 풀 수 있을까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입양은 꾸준하게 현상 유지하고 있다. 문 기자의 지적처럼 비록 국내 입양이 급격하게 늘어나지는 않았지만 출산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입양은 현상유지 수준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는 두 아이를 입양한 입양 아빠이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반편견입양교육을 하는 강사다. 나는 강의 중 학생들에게 말을 한다. 가장 좋은 것은 자신을 낳은 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하지만 세상이 마음먹은 것처럼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동을 보호하는 형태 중 하나인 입양이 존재하는 것이다. 입양은 최선이 아니라 차선이다.

 

나는 미혼모가 자신이 낳은 아이와 함께 살아가기를 바란다. 하지만 고민 끝에 자신이 낳은 아이를 입양 보낸 미혼모를 비난하는 것에 반대한다. 그녀가 자신이 낳은 아이를 무책임하게 버린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강의 중 학생들이 아이를 입양할 때 얼마를 내냐고 묻곤 한다. 그러면 나는 이렇게 말한다. 부모님이 병원에서 낳은 친구들은 부모님이 병원에 돈을 낸다. 병원에서 아이가 출생할 때 발생하는 여러 비용이 들어가는 것처럼 입양을 할 때도 비용이 들어간다. 비록 바가지를 쓰던 바가지를 쓰지 않던 병원에서 부모가 아이와 함께 나올 때 부모는 병원에 일정 비용을 지불한다. 그렇다고 해서 병원에서 아이를 산 것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입양기관에 일정 비용을 지불한다고 아이를 사는 것이 아니다.

 

해외 입양에 들어가는 비용을 가지고 해외 입양을 비난하지만 국내 입양도 수수료를 낸다. 비록 국가에서 그 비용을 입양 기관에 지불하고 있지만 국내 입양도 수수료가 있다. 나는 두 딸을 만났을 때 첫째는 입양 기관에 수수료를 직접 냈고, 둘째는 정부가 냈다. 그렇다고 나를 향해 딸들을 입양 기관에서 사왔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문 기자가 적은 ‘입양이 복지 체계에서 구조화된 그 자체도 문제’라는 말의 의미를 모르겠다. ‘입양과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이라는 말에 묶어서 읽으면 해석하기 따라 짜증나는 말이 될 수 도 있다. 내가 짜증나는 해석을 머릿속에서 떠올리는 이유는 문 기자의 기사가 어떤 누군가와 같은 선상에서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는 미혼모가 자신이 낳은 아이와 행복하게 살기를 바란다. 하지만 미혼모가 고민 끝에 내린 입양 결정을 비난해서는 안 된다. 입양은 선행도 아니지만 아동 매매도 아니다. 입양은 가족이 필요한 사람들이 가족을 만나는 것이다. 그러니 더 이상 ‘아동 수출’, ‘고아 수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블로그 / 노래듣기 / 일기장 / e노트 / 트위터 / 페이스북 / 위키트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