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기업에 대해 논의할 것들

2011/11/18 13:08

11. 16 오전에 공공기관협의회기획회의를 지방공기업현황워크숍으로 대체하여 진행하였다.
공기업론 강의노트로 사용하려 했던 자료에다가 어제 새벽 밤새서 추가적으로 보완한 자료로 근 40분이상을 발제를 한 것인데, 지방공기업 전반에 대해 내가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확실히 혼자 학습하는 것보다는 다른 동지들과 토론을 통해서나 교육을 통해서 깨우치게 되는 게 더 많다. 모호했던 것들도 명확하게 되고...
 
정리할 대목들.
ㅇ 지방공기업의 당연적용사업을 확대할 것인가의 여부?
ㅇ 지방직영기업은 사실상 공무원으로 구성된 행정조직인 만큼 지방공사/공단과는 다르다. 공공운수노조의 대상사업장도 지방공사/공단 쪽에 있고... 하지만 향후 지방공기업법 개정과 관련해서는 공무원노조와 보조를 맞춰가면서 바람직한 대안을 제출하는 게 타당할 듯하다.
ㅇ 현황을 핵심적인 것만 정리하면, 2010년 지방공기업 예산은 약 50조로 지자체 전체 예산 139조의 36%이고, 지방공사/공단의 예산은 32조5천억. 지방공기업 전체 인력은 6만5천이고, 지방공사/공단은 4만8천명.
ㅇ 부채는 도시개발공사 부채규모가 35조 정도로 지방공기업 총부채의 60%이고, 그 다음이 지하철공사의 부채로 10% 정도. 지방직영기업은 1600억의 흑자이나, 지방공사/공단은 4500억의 적자. 적자의 대부분은 지하철사업과 하수도사업 분야에서 발생.
ㅇ 2010. 7. 1 현재 지방직영기업 245개, 공사/공단 134개, 제3섹터 38개, 지방공기업 전체 417개이며, 행정안전부 경영평가는 광역 56개, 기초 2개, 총 58개. 이 중에서 광역 지방공사/공단은 41개로 도시철도공사 7개, 도시개발공사 15개, 기타공사 9개, 시설관리공단 5개, 환경시설관리공단 5개, 기타공단 2개
ㅇ 1992년부터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시작, 2002년 행자부가 경영평가를 모두 하다가 2008년평가부터 기초의 지방공기업평가는 광역자치단체로 이양함.
ㅇ 향후 경영평가에 주도적으로 나설 것이 분명한 지방공기업평가원에 주목할 필요
ㅇ 행안부장관이 운영하는 지방공기업정책위는 심의만 하고, 구성 또한 편향적으로 되어 있어 문제. 공운위와 비슷한 위상을 가지려면 의결기능을 갖도록 권한을 강화하고, 지방정부 및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강화해야 함.
ㅇ 임원추천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음. 사장 연임시에도 임추위의 심의를 거쳐야 함
ㅇ 어떻게 지방공기업법을 개편할 것인가. 위로부터는 지방공기업정책위원회 및 경영평가 등에 개입하는 방안이 있으나, 지방자치를 형해화할 위험성이 있음. 인사청문회의 도입 등 지방의회의 관여는 지방공기업법이 개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한계가 있음. 진보적인 단체장이 나서면 해결가능할까? 최근 인사청문회와 비슷한 제도적 장치를 도모하고 있는 사례를 주시해야 함
ㅇ 궁극적으로는 아래로부터의 개입이 필요하다. 지역노사정기구보다 진전된 형태로서, 광역정부 차원에서 지방출자출연기관들을 포괄하는 지방공공기관정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여기에서 운영평가 뿐만 아니라 지방공공기관 전반에 관한 정책, 낙하산 인사 등 임원 및 직원 인사에 대한 검토, 이해당사자의 참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을 적극 검토한다. 박원순 시정에서 이를 요구하고 관철하는 것은 어떠할까?
ㅇ 제3섹터(지방공사/공단 외의 출자출연법인)의 경우 대부분 적자상태이며, 상당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 이는 지방공사/공단등과는 다르게 취급하고, 별도의 논의가 요구됨.
ㅇ 가능하면 2012년 초반기에 지방공기업법 개정안을 발의할 수 있도록 정식화하고, 현 공공기관협의회에서 지방공기업/지방출연기관은 별도로 분리하여 따로 논의틀을 구성하며, 지역본부와 함께 사업을 구상하도록 함.
 
그나저나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건 어떻게 써야 하지? 고민되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gs

경영평가, 임원추천위원회, 지방공기업, 지방공사/공단, 지방직영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