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출간 이후... 그리고 새로운 작업.

<모택동 시대와 포스트 모택동 시대: 다르게 쓴 역사 1949~2009> 상/하권이 모두 출간된지도 한달이 넘었다. 하권이 뒤늦게 나오면서 책에 대한 관심이 분산되었고, 책 값이 너무 비싸게 책정되어 별로 팔리는 것 같지는 않다. 그래서 역자로서는 좀 아쉽긴 하다. 책에 대해서 역자가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 있겠지만, 이미 책과 관련한 반응들이 나올만큼 나왔기 때문에 몇 가지 개인적 생각들을 언급해 볼 수 도 있지 않을까 싶다. 내가 이 책에 대해 쓴 나름의 체계적인 비평은 내년 1월 대만에서 출간될 <인간사상> 겨울호로 출간될 예정이다.

 

앞에서 관련 보도를 1차 정리한 바 있었는데, 하권이 나오고 나서 서평이 두 개가 실렸다. 하나는 이홍규 선생이 쓴 짧은 서평이다. 전리군 선생의 '민간/민중'의 시각이 반영된 새로운 역사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121025024015&ctg1=10&ctg2=&subctg1=10&subctg2=&cid=0101051000000

,

다른 서평은 이욱연 선생이 프레시안에 쓴 서평이다.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50121102124323

 

사실 이 서평은 책에 대한 소개를 약간 담고 있지만, 이 책을 그다지 참고할 필요가 없는 '자유주의 지식인의 자기만족적 역사서술'로 폄하하는 주관적 판단을 강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래서 약간의 논평이 필요할 것 같다.

 

이욱연 선생은 모리스 마이스너와 아리프 딜릭을 비교의 준거점으로 제기하고 있는데, 내가 읽기로는 실제로 마이스너/딜릭과 전리군을 자세히 비교해보면 오히려 유사점이 많다. 이와 관련해 논점의 핵심이 되는 '반우파운동'에 대한 판단을 비교해볼 수 있을 것이다. 전리군 선생은 마이스너가 단순히 '민족주의혁명' 또는 '관료주의' 등 모종의 외부적 관점에서 중국혁명과 그 이후의 역사에 대해 이론적 판단을 하는 것을 넘어, 당 운동 외부의 '민간'을 주목하고, 당 내부에서도 모택동의 자기 모순 및 이질적 흐름들을 '문학'적 방식으로 포괄하여 새롭게 서술하고 있다. 물론 동원하는 사료는 오히려 전리군 선생이 더욱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서평은 아쉽게도 개혁개방 이후의 시장화에 대해 '6.4 천안문 학살'을 계기로 권력귀족과 자본이 결합되는 과정, 이른바 '권력귀족자본'으로 개념화하고 비판하는 부분에 대한 언급이 생략되어 있다. 이 생략은 전리군 선생이 다른 자유주의자들과 전혀 다른 포지션임을 가리는 전략으로 보인다. 이런 전략을 취하게 된 동인이 무엇일지 자못 궁금하다. 나는 이런 상황들로부터 남한의 '역사적 중국학'이라고 할만한 의제를 제시하고 반성적 평가를 진행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해 본다.

 

그래서 사실 이 서평은 내용적 측면에서 보면 <망각을 거부하라: 1957년학 연구필기>에 대한 서평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서평의 결론은 전리군 선생이 '자유주의'의 관점에서 '마오'를 청산하려고 하고, 사회주의의 역사와 체제에 대해 비판적 역사서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언급하고 있는 '1957년', 즉 이른바 '반우파 투쟁'에 대한 관점이 사실 중요한 쟁점이라 할 수 있다. 이욱연 선생은 전리군 선생이 당내 갈등구조(즉, 모택동파와 주자파)를 주목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즉 '반우파운동'은 사회주의로 가기 위해 진행된 당 내외의 자본주의적 경향에 대한 타격이었다는 것이다. 반면, 전리군 선생은 당내의 차이, 즉 류소기/등소평 등과 모택동 사이의 차이는 그들 사이의 일치점에 비해 크지 않았다는 것을 여러 역사적 사료로 논증한다. 오히려 전리군 선생은 '반우파운동'의 과정에서 '진정한 사회주의'를 지향했던 '민주+사회주의' 세력들이 숙청되어 간 것에 주목한다. 즉, 당 내부와 외부에 존재했던 사회주의 체제의 관료화를 비판했던 지식인(이른바 '우파'), 그에 억압/착취당했던 학생, 노동자, 농민의 목소리에 귀기울인다. 이 부분은 <망각을 거부하라>에 이미 잘 소개되어 있고, 이 책에서도 다시 서술되고 있는 사회사적 사실이다. 전리군 선생은 이러한 '진정한 사회주의'와 '당/국가 사회주의'의 대립구도를 문혁까지 끌고 간다. 전리군 선생을 간단히 '자유주의자'로 비판하는 것은 쉽겠지만, 진지한 비판이 되려면, 관념적이고 이상적인 '중국혁명'에 대한 관점을 우선 내려 놓고, 우선 중국에서 가장 금기시되는  <반우파운동>, <문혁> 등과 관련해서 발굴된 사회사적 사료들과 사실들을 '부정'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사실 중국 연구와 관련해서는 그동안 묻힌 사료들이 2000년대 이후 대규모로 발굴/공개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 중요한 변곡점이라 할 수 있는 '반우파운동', '문혁', '천안문 사건' 등은 모두 일정하게 금기시 되는 사건들이고, 상당수 자료들이 여전히 당에 의해 독점되어 공개되지 않고 있고, 연구 자체가 금기시 되어 있다. 상황이 조금씩 나아지는 가운데 전리군 선생의 작업도 나오게 된 것인데, 내가 보기에는 이로부터 자극을 받아 더 치고 나가야할 임무와 과제가 한국의 중국연구자들에게 주어져 있다. 과거의 중국 내외부의 담론적 틀에 갇혀서 이러한 새로운 사료를 거부하는 것은 올바른 지식 작업의 방식은 아닐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백승욱 교수가 이번에 낸 <중국 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는 전리군 선생의 작업과 조금 다른 강조점에서 진행된 연구이면서도 문혁과 관련한 기존의 구도를 넘어서 새로운 접근을 보여준다. 전리군 선생의 작업에 비해 백승욱 교수는 여전히 '당'에 주목하지만, 그 내부의 '이질적인 것'이라 할만한 진백달(陳伯達, 천보다)의 모순을 매개로 해서 새로운 역사적 접근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이론틀로 귀결하는 경향도 강하지만, 당 내부의 모순을 재조명하기 위한 적절한 사례로서 진백달을 선택해서 '당', '주체' 등 과 관련 쟁점을 좀더 깊이 밀고 나갈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책을 중국어 번체자판으로 번역하고 있고, 현재 서문, 1장, 2장, 3장 절반, 결론을 초역하였다. 연말까지 초고를 완성하고, 내년 3월쯤에 대만에서 출판하고자 준비하고 있다. 아마도 기본 작업은 12월말까지 끝날 것이고, 그 이후는 나도 박사 자격고사 준비를 하려고 한다. 논문 주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노신의 일반화를 준거로 '전리군'과 '리영희'를 역사적으로 비교하는 연구로 갈 확률이 높아 졌다. 노신의 일반화는 이번 학기 왕효명(王曉明) 선생의 <중국 초기 근대사상> 강의를 들으면서 윤곽을 잡게 되었다. 아주 큰 행운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