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학기 강의 1

일상 2016/09/10 20:55
2016년 2학기 첫 강의. 강좌의 비공개 명칭은 SF영화와 철학이다. 이 강의는 8편의 SF영화와 4편의 SF애니메이션을 통해 “동일성과 타자성”이라는 큰 주제에서 개별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전 학기와 달리 강의를 좀 실험적으로 할 계획을 세웠다. 75분 강의 시간 중 30분은 영화보고 15분 선생이 강의하고 나머지 30분은 학생들이 돌아가며 소감이나 영화에서 토론할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로 했다. 강의는 단 15분, 얼마나 멋진 계획인가? 문제는 학생들이 강의 전에 영화를 반드시 봐야 하는데 지난 경험으로 미루어 대부분의 학생들은 (영화에 큰 흥미를 느끼지 않기 때문에) 강의 전에 미리 영화를 보고 오지 않는다. 전혀 없지는 않다. 10명 중 2명은 그래도 보고 온다. 학생들은 영화에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이런 강좌를 신청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강좌명에 영상/영화가 붙으면 왠지 좀 헐렁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너무 헐렁하면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장치를 하나 설치했다. 기말시험은 강의와 관련해서 자신이 스스로 문제를 내고 문제에 답을 쓰는 것으로. 학생들이 웅성거렸지만 이게 바로 진정한 학습이 아니겠는가? 시험문제는 두 문제, 100점 만점에 문제 50점, 답 50점. 음.... 처음 해보는 실험이니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 실험은 실험.

강의에 대해 대충 소개하고 학생 한명에게 이렇게 물었다.
“만약, 이건 상상력이 필요하다, 아침에 학생 방에서 눈을 떴을 때 학생은 깨달은 거야. 학생은 원래 지구인이 아니라 수십 년 전에 켄타우리 항성계의 어느 행성에서 지구를 관찰하는 임무를 띠고 많은 연구원들과 지구로 오는 도중 어떤 사고로 지구에 불시착했다. 고향 행성에 도움을 요청하고 다른 우주선이 올 때까지 DNA에 어떤 조작을 해서 기억을 봉인하고 지구인처럼 살고 있었던 거야. 그런데 오늘 아침 눈을 떴을 때 기억이 돌아 온 거지. 그래서 문을 열고 나가서 엄마 아빠에게, 물론 엄마 아빠도 마찬가지로 기억을 봉인했어, 켄타우리 고향어로 막 이야기하는 거야. 드디어 기억이 돌아왔다고. 그런데 엄마 아빠는 못 알아 듣는 거야. 엄마가, 얘 어제 늦게까지 술 마시고 들어오더니 맛이 갔나보다 이러는 거야. 그래서 학생은 우리말로 학생과 엄마 아빠가 다른 동료들과 켄타우리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이야길 하니까, 아빠가 여보 재 좀 돌았나 보다. 어쩌지? 이러는 거야. 엄마 아빠는 무슨 이유인지 기억이 안 돌아온 거지. 그럼 학생은 이제 어떻게 할거야?

나는 학생이 내가 예상하고 생각했던 말을 할 줄 알았고 그러길 기대했다.
학생 : (씩 웃더니) 그냥 살래요.
나: 엉? 뭐?
학생: 그냥 지구인으로 살래요.
나: .... 음..
다른 학생을 지목하며, 학생은 어떻게 할 거야? 그러자 그 학생은 이런다. “아마 지구보다 굉장히 과학이 발달했을 테니 그 기술을 떠올려 돈을 많이 벌 거 같애요.” 나는 또 다른 학생을 지목하고 똑 같이 물었다. 그 학생도 그냥 지구인으로 계속 살거란다. 또 다른 학생도 그냥 모른척 하고 지구인으로 살겠단다. 그래서 내가 말했다. 이 봐 학생아 굉장히 중요한 임무를 띠고 먼 지구까지 왔으니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임무를 수행해야지? 또 다른 학생 역시 그냥 지구인으로 평소처럼 지내겠다는 대답을 했다. 나는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들은 한국 교육의 본보기로군.”

사실 나는 학생들이 어떻게 할까 막 고민하고 엄마 아버지를 설득하고 기억을 되살리려고 애쓰고 다른 동료들도 있을 테니 찾아야 하는데 어떻게 찾을까 고민하고 이런 식으로 이야기할 줄 알았다. 그러길 기대했다. 내가 뭘 잘못 물은 걸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6/09/10 20:55 2016/09/10 20:55
https://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371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