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랭귀지에서 쓴 마지막 에세이. 한국 교육 시스템에 관한 거다. 이 주제는 한국 학생들이 가장 많이 쓴 주제라고 한다. 역시나 다들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는거지.... 요 에세이는 한방에 99점 받은거. ㅋㅋㅋ 요번꺼는 해석도 해놨다. 별로 특별할껀 없지만 서도....
How to Reinforce Publicness of Education
Some people think that Korean students are intelligent. It’s not lie. In the OECD’s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studied, which compares 15 years olds’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abilities in more than 50 countries, Korean students were ranked next to Finland which is the best. However, many researchers say that Korean education system has to be changed even though the result of OECD’s study is good. The researchers say that publicness of Korean education is being weakened, and students and parents don’t trust Korean education any more. The best important thing in education is publicness. Pulicness means universal things. In other words, all people can be provided it equally. However, because Korean education doesn’t accomplish the role, there is increasing discontent with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For Korean education regains trust and reinforces publicness, education system has to be changed.
One problem of Korean education is that schools are not equal. There are many private schools. In Korea, “public education” means public and private school. Government intervenes in both of them. However, private schools have autonomy more than public schools. For example, public schools have to use curriculum and textbooks which are approved by government, but private schools can use their own curriculum and textbooks. As the result, private schools don’t teach some subjects which aren’t required in entrance exam of university. Instead, they teach important subjects such as math and science. Thus, people prefer private school to public school because many students who graduated from private schools enter prestigious universities because of the teaching. However, tuition of private school is more expensive, so poor people can’t go private school. It causes a gap between rich and poor people. While private schools’ fee is $5,000 per year, public schools’ fee is $1,923 per year. A gap of the tuition is 2.6 times. As a result, rich people go to private schools, good universities, and they can get high quality jobs, so rich people preserve their wealth, but poor people are always poor. However, Korean president wants to make policy which promotes schools’ autonomy and freedom of education in spite of these problems. If the policy is enforced, every school will teach only important subjects for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As a consequence, students can’t learn some subjects which are important for life such as cultural studies and literature.
Too many private institutions are another problem of Korean education. Many students go to private institutions after school because they want to learn earlier than school. To illustrate the situation, if a student is in 10th grade, the student learns subject of 11th or 12th grade in private institution. Thus, students who already learned the subject in private institution don’t pay attention to teachers in school and sleep for class. In addition, almost all students go to private institutions. Students who go to private institution were composed 85%, so private institutions have become necessary in education. If I don’t go to private institution, I’ll be uneasy because all classmates go to there except me. Therefore, I have to send my daughter or son to private institution even though I’m poor. However, institution’s fee is also expensive. People spend $2,526 per year on private institution, and the expenses are growing by 25% each year. Also, rich people go to high quality private institutions. 10% of high class spends $407 per month while 10% of low class spends $85. According to Kim kisu, who is professor at Memorial University, Canada, “After-school cramming practices became rampant. Parental expenditures for such practices came to far exceed those for regular schooling in spite of the rapid increase of university student places, which now far surpassed demand.”(2004)
Students who attend private institutions and high quality private institution have gotten good grades, so rich people who can go to high quality private institution can go to good universities.
The last problem is that purpose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 is focused on getting into good university. The original purpose of education is self-realization of human, but the goal is changed actually. Thus, teachers teach for entrance exam of university, and students study for the exam. Teachers cram for subjects. As a result, students just memorize, and they don’t learn methods of creative thinking. Also, there are too many exams in school. Students in high school study about 16 hours per day, so they are always tired and spiritless. According to Gari Hahm, who is student of high school, “Like many othe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I’m now struggling with the ‘death triangle’, because high school students must fully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ntrance exam, essay exam and school grades to enter university.”(2007) We know through the student that students study for the exams. However, their ultimate goal is only one exam, an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re measured by the one exam in entering university. It means that only one exam decides their future of human.
These education systems make publicness be weakened, so the education system has to be changed. First, high school and university have to be equal. Six years ago, the government made equalization policy about high school, but some people objected to the policy. They insisted that the policy made students stupid. However, some researchers reported the insistence was wrong. Contrary to the insistence, students’ grades were better when the policy was enforced. Equalization policy gives students equal opportunity. According to Kim Sangbong, equality in education is an essential requirement. What we don’t agree with a requirement of equal education deny the equality of human. An assumption that humans are equal means that education has to be equal.(2004) Therefore, equalization policy has to enforce for publicness. Also, the purpose of education must be broader. Original purpose of education is ‘self-realization of humanity’. However, these days, education is for entering university. As a result, students have learned subjects which are needed by entrance examination such as math, science and English. In addition, they compete with each other. Students lose self-confidence by competition because they have an inferiority complex. Therefore, education has to be for self-realization not university. The last solution is that entrance examination has to be abolished. Students study only for the exam. Ability of students has to be evalu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ttitude about study and volunteerism. If the exam is abolished, cramming system will disappear, and teachers don’t ask students to memorize about subjects.
In conclusion, many people know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Korea. Private schools and institutions cause inequality. Also,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create the human resources that society requires and self-realization of human, not just university entrance. Therefore, government has to make equalization policy in order to give students equal opportunity in education. Education is not an economic tool.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it is written that ‘all of people have rights of getting education equally.’ It means that publicness in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 hope that students are happy in schools and like their schools through change of education system.
교육의 공공성을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
어떤이들은 한국 학생들이 똑똑하다고 한다. 그것은 거짓이 아니다. OECD에서 50개국 15세 학생들의 읽기, 수학, 과학능력을 연구했는데, 한국 학생이 최고 성적을 보인 핀란드 다음에 랭크되었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OECD연구 결과가 좋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육 시스템은 바뀌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들은 한국 교육의 공공성이 약해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학생들과 부모들은 더이상 한국교육을 믿지 않는다.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공성이다. 공공성은 보편적인 것이다. 즉,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교육을 제공받을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 한국 교육은 그 임무를 수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 교육에 대한 불만은 증가하고 있다. 한국 교육에 대한 믿음을 회복하고,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교육시스템은 바뀌어야만 한다.
한국 교육의 문제는 학교가 평등하지 않다는데 있다. 한국에는 많은 사립학교가 있다. 한국에서, ‘공교육’이란 공립학교와 사립학교를 말한다. 정부는 그 둘에 모두 간섭한다. 그러나 사립학교는 공립학교보다 자율성을 더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공립학교는 정부에서 정한 교재와 커리큘럼을 사용해야만 하지만, 사립학교는 그들만의 교재와 커리큘럼을 사용할수 있다. 그 결과, 사립학교는 대학시험에서 요구되지 않는 과목은 가르치지 않는다. 대신에, 그들은 수학, 과학 같은 주요과목을 가르친다. 그래서 사람들은 공립학교 보다 사립학교를 더 선호한다. 왜냐하면 사립학교를 졸업한 많은 학생들이 그 수업방식에 의해 우수대학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비는 사립학교가 더 비싸다. 그래서 가난한 사람들은 사립학교에 갈수가 없다. 이것은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별을 야기한다. 사립학교 학비는 1년에 $5,000인 반면, 공립학교는 $1,923이다. 학비차는 무려 2.6배이다. 그 결과 부자인 사람들은 사립학교에 가고,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에 들어간다. 그래서 부자들을 그들의 부를 유지할수 있다. 반면, 가난한 이들은 항상 가난하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한국 대통령은 학교자율화 정책을 시행하려 하고 있다. 만약 이 정책이 시행되면, 모든 학교가 대학시험에 중요한 과목들만 가르칠 것이다. 그 결과 학생들은 삶에 중요한 교양이나 문학같은 과목들은 배울수 없다.
한국 교육의 또다른 문제는 너무 많은 학원이다. 많은 학생들이 학교 수업 뒤에 학원에 간다. 왜냐하면 그들은 학교에서 배우는것 보다 더 일찍 배우길 원하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만약 한 학생이 10학년이라면, 그 학생은 학원에서 11학년, 12학년 과정을 미리 배운다. 그래서, 학원에서 이미 배운 학생들은 학교에서 선생님 수업에 집중하지 않거나 잠잔다. 게다가 거의 모든 학생들이 학원에 간다. 학원에 가는 학생들은 85%로, 학원은 교육에서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 만약 내가 학원에 가지 않는다면, 나만 빼고 모든 반 친구들은 학원에 가기 때문에 나는 불안할 것이다. 그러므로 부모들은 가난함에도 불구하고 자녀들을 학원에 보내야만 한다. 그러나 학원비 역시 비싸다. 사람들은 1년에 사교육비로 $2,526을 쓴다. 그 지출은 매년 25%씩 증가하고 있다. 또한 부자들은 고급 학원에 보낸다. 상위클래스 10%는 학원비로 한 달에 $407를 지출하는 반면, 하위클래스 10%는 $85를 지출한다. 캐나다 Memorial 대학 김기수 교수에 따르면, “방과후 학원에 가는 것이 만연화되고 있다. 학원을 보내기 위한 부모들의 지출은 학생들을 모두 수용할수 있는 대학들이 생겨났음에도 불구하고 일반학교에 보내는 지출량 보다 더 증가하고 있다.”(2004) 고급학원에 가는 학생들은 좋은 점수를 받는다. 그래서 좋은 학원에 갈수 있는 부자들은 좋은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
또다른 문제는 교육의 목적이다. 한국 교육은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원래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자아실현’이다. 그러나 그 목적은 현실적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래서 선생은 수능시험을 위해 가르치고, 학생들은 시험을 위해 공부한다. 선생들은 학생들에게 무조건 외우라고 강요한다. 그 결과 학생들은 단지 외울뿐이다. 그들은 창조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또한 학교에는 너무 낳은 시험이 있다. 고등학교 학생들은 하루에 약 16시간을 공부한다. 그래서 그들은 항상 피곤해한다. 고등학교 학생인 함가리양에 따르면, “한국의 많은 고등학생들처럼, 나역시 죽음의 지대에서 몸부림치고 있다. 왜냐하면 고등학생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수능시험, 논술과 내신성적들과 마주하기 때문이다”(2007) 우리는 이 학생을 통해 학생들은 시험을 위해 공부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학생들은 대학에 들어갈때 단 한번의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이것은 한 번의 시험이 그들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교육시스템은 공공성을 약하게 만든다. 그래서 교육시스템은 바뀌어야 한다. 첫째로, 고등학교와 대학교는 평준화되어야 한다. 6년 전에 정부는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을 만들었었다. 그러나 어떤이들은 그 정책에 반대했다. 그들은 그 정책이 학생들을 바보로 만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전문가들은 그 주장을 틀리다고 주장했다. 그 정책이 시행되었을 때 학생들의 점수가 더 좋았다고 한다. 평준화 정책은 학생들에게 평등한 기회를 준다. 김상봉은 교육에서 평등은 필수이다. 우리가 평등교육에 동의하지 않는것은 인간의 평등을 거부하는 것이다. 인간이 평등하다고 인정하는것은 교육 역시 평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004)고 말했다. 그러므로 평준화 정책은 공공성을 위해 시행되어야만 한다. 또한 교육의 목적은 더 넓어져야 한다.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인간의 자아실현’이다. 그러나 오늘날 교육은 대학을 들어가기 위함이다. 그 결과 학생들은 수학, 과학, 영어와 같은 대학시험에 필요한 과목들만 공부를 한다. 게다가 그들을 서로 경쟁한다. 학생들은 경쟁 때문에 자존감을 잃는다. 왜냐면 그들은 열등감에 시달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대학이 아니라 자아실현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마지막 해법은 수능제도를 폐지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오직 그 시험을 위해 공부한다. 학생들의 능력은 평소 태도나, 봉사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만약 수능제도가 폐지된다면, 사교육이나 무조건 외우고 보는 교육 시스템은 사라질 것이다.
많은 이들이 한국에 교육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사립학교와 사교육은 불평등을 야기한다. 또한 교육의 원래 목적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자원을 발굴하는 것과 인간의 자아실현이다. 단지 대학에 들어가는 것만이 아니다. 그러므로 정부는 교육의 평등할 기회를 주기 위해 평준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교육은 경제의 도구가 아니다. 한국 헌법에 “모든 사람은 평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라고 적혀있다. 이것은 교육의 공공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이러한 교육 시스템의 변화로 학생들이 학교에서 행복해하고 그들의 학교를 좋아하게 되를 희망한다.
댓글 목록
말걸기
관리 메뉴
본문
와~ 이렇게 어려운 글을 영어로 쓰시다니 멋지군요~!근데, "공립학교는 정부에서 정한 교재와 커리큘럼을 사용해야만 하지만, 사립학교는 그들만의 교재와 커리큘럼을 사용할수 있다"는 내용을 사실이 아닙니다. 초중고교 교육과정은 국가가 정하고 있어서 공립이든 사립이든 초중교와 인문계고는 전국이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특목고, 자사고의 경우 교육과정의 자율성이 훨씬 커서 '논술'과 같은 교육과정에 없는 과목을 개설한다거나 국영수 중심의 수업시간표를 짤 수 있는 것이지요.
결론적으로 한국 초중고교육에서는 아직 공립이냐 사립이냐로 교육과정과 교육비를 구분하여 비교하는 것은 올바른 분석이 아닙니다.
부가 정보
지하조직
관리 메뉴
본문
아~ 그런가요? 이거 자료에서 찾아본건데... 그 자료가 잘못 된건가....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