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부활을 위하여 

  정운영선생 추모…아카데미즘-저널리즘의 조화도

  2005-09-25 오후 5:46:01     


  추석 며칠 전날 한밤중에 정운영 선생의 전화를 받았는데, 느닷없이 자신의 책들을 내게 맡기겠다는 말씀이셨다. 어림잡아도 2만 권쯤 되는 장서는 선생이 유학 시절부터 모아오신 것으로 그 규모와 범위는 경제학계에서도 아주 유명한 것이었다. 그런데 애지중지하던 그 책들을 내게 맡기시겠다니….

 

  지난 봄에 뵐 때 신장에 이상이 생겨 고생하신다는 말씀은 들었지만, 그냥 잔병치레거니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던 터에 갑자기 그런 말씀을 듣고 불안하기는 했지만, 추석쯤 퇴원할 수 있을 것이니 그 때 다시 의논하자는 말씀을 곧이곧대로 믿고 싶었다. 그러나 추석을 넘기고도 퇴원하지 못하신 선생을 찾아뵈니 힘겹게 단 두 마디 말씀만 하셨다. "돌아가야겠어", "이번 생에서 너와의 인연은 여기까진가봐". 내일쯤 다시 찾아뵈면 더 하실 말씀이 있겠거니 생각했는데, 무엇이 그리 급하셨는지 그만 오늘 아침 훌쩍 떠나버리셨다.

 

  어느덧 나도 50줄에 접어들다 보니 사람이란 결코 단순치만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누구나 자신의 기질에 따라 나름대로 몇 가지 상이한 면모를 갖고 있겠지만, 선생의 경우처럼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을 조화시킨 경우는 드문 것 같다. 일반 시민들은 <한겨레신문>이나 <중앙일보>에 실린 칼럼이나 선생이 사회를 보던 텔레비전 시사토론을 더 기억할 것이다. 하기야 1850년대의 마르크스에게도 저널리즘이 단지 호구지책만은 아니었다. 그러나 내 생각으로는 아무래도 마르크스나 정 선생이나 모두 경제학자로 기억해야 할 것 같다.

 

  1944년 아산에서 태어난 선생은 경북중학교와 온양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에 입학하셨다. 64학번으로 이른바 6·3 세대에 속하는 선생은 <상대신문>을 매개로 학생운동에 투신하셨고, 이 때문에 학부를 '5학년'까지 다니셨다. 석사 과정에 진학하신 후에도 선생은 학생운동을 정리하지 않으셨는데, 그 시절 상대와 문리대 후배들을 아우르는 한국사회연구회(한사)를 조직하신 것은 아주 유명한 일화로 남아 있다. 아직도 노동자운동의 일각을 지키고 있는 김승호 선배는 선생이 아끼시던 한사 성원 중 하나였다.

 

  1972년 석사 과정을 수료하신 후에 선생은 한국일보사를 거쳐 중앙일보사에 입사하셨는데, 입사 동기생 중 한 분이 나중에 <이론> 동인으로 함께 활동하신 지기 정춘수 선생이었다. 가톨릭 노동사목이나 학생운동과도 관련이 깊었던 선생은 그런 인연으로 벨기에 루뱅대학교에서 장학금을 얻어 유학을 떠나시게 되었다. 유학을 떠나기 직전 피아노 전공의 박양선 여사와 결혼하신 선생은 곧 연년생으로 유경·유신 두 딸을 얻으셨다. 1973년 루뱅에 도착하신 선생은 학부 과정부터 경제학 공부를 새로 시작하여 1981년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핵심 중의 핵심인 이윤율 저하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셨다.

 

  학위를 끝낸 후 루뱅대학교 경제사회연구소에 남을 수도 있었던 선생은 귀국을 결심하셨다. 알다시피 5공 군부독재의 서슬이 시퍼렇던 80년대 초는 너도 나도 도피성 유학을 떠날 때였고 학위를 끝낸 사람은 망명객을 자임하면서 귀국을 꺼릴 때였다.

 

  그러나 1982년에 선생은 영국에서 학위를 끝낸 김수행 선생과 함께 한신대학교 경상학부 교수로 부임하셨다. 나와의 인연도 그때쯤 시작된 것인데, 1984년에 이영훈·강남훈 두 교수와 함께 교수진의 일원으로 선발된 것이었다. 그렇게 해서 창설된 한신대 경상학부는 남한에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부활을 상징하는 일대 사건이었다. 그러나 호사다마인가, 1986년 말 학내 민주화 투쟁에 연루되어 김수행·정운영 두 선생이 해임되면서 한신대 경상학부는 실질적으로 해체되고 말았다. 사실 김수행·정운영 두 선생이 한신대에서 해임된 것은 경상학부 교수 10명 전체가 연대로 져야 할 책임을 도맡으신 것이었다.

 

  그 후 김수행 선생은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초빙되어 해임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된 셈이었지만, 그런 행운이 없었던 선생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저널리즘에 몸을 담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경제학과 출신인 박현채 선생의 선례에 따라 경제평론가를 자처하신 선생은 1988년 창간 시절부터 1990년대 내내 <한겨레신문> 논설위원을 지내셨다. 그 때의 성과가 바로 1989년부터 매해 한 권씩 묶어낸 <광대의 경제학>, <저 낮은 경제학을 위하여>, <경제학을 위한 변명>인데, 2002년까지 거의 격년에 한 권씩 나온 경제평론집은 모두 8권에 이르렀다. 그리고 2001년에는 이른바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주의의 자본주의적 변질을 고발하는 <중국경제 산책>을 쓰기도 하셨다.

 

  그러나 한신대학교에서 해임된 후에도 선생은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강의하셨는데, 강의실은 언제나 열정과 토론으로 후끈 달아오르곤 했다. 1987-89년에는 당시 학생들의 주요 관심사였던 한국사회 성격 논쟁의 이론적인 쟁점을 해명하기 위해 <국가독점자본주의 이론> 4권을 편역하셨다. 이는 1984년에 나온 2권의 편저 <한국자본주의론> 및 <세계자본주의론>의 후속작이라고도 할 수 있다.

 

  게다가 1992-93년에는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를 마르크스주의의 변화의 계기로 삼자는 동인지 <이론>의 초대 편집위원장으로 현실사회주의의 붕괴 이후 혼란에 빠져 있던 이론 진영의 맏형 역할을 맡기도 하셨다. <노동가치이론 연구>가 출판된 것도 바로 1993년이었는데, 이윤율 저하를 통해 1929년 대공황 이후 미국 자본주의를 분석한 박사 논문을 중심으로 <자본> 전체의 이론적 구조를 설명한 이 책은 아직까지도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기본 문헌으로 남아 있다.

 

  1997년 <이론>이 폐간되고 1998년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 게다가 서울대와 고대의 강의도 없어지면서 선생은 부쩍 쓸쓸해하시는 것 같았다. 텔레비전 덕분에 길거리나 산행길에서 아니면 심지어 목욕탕에서도 선생을 알아보고 인사를 건네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그것이 속 모르는 이들 생각처럼 마냥 신나는 일일 수만은 없었던 것이다. 1999년 경기대학교 교수로 임명되기도 하셨지만, 그것도 그리 큰 도움이 되지는 못했다. 그런 중에도 선생은 <노동가치이론 연구>의 후속작을 구상하여 2년 전쯤 원고를 거의 완성하셨다. 그러나 불의의 사고로 결국 출판이 미루어지고 말았는데, 아마 마지막까지도 못내 아쉬워하셨을 것이다.

 

  정운영 선생에 대한 평가는 물론 역사의 몫으로 남겨두어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선생처럼 오해를 받아온 분도 그리 흔치만은 않기에 한두 마디 사족을 달고자 한다. 나도 처음에는 몰랐지만, 정운영 선생의 부친은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민족자본의 하나로 꼽히던 조흥은행 창업주의 동생이었다. 아산에서 태어난 선생이 경북중학교를 졸업한 것은 가족이 대구로 피난했던 때문인데, 그러나 일본 유학생 출신의 '한량'이신 부친은 곧 가산을 탕진하셨다.

 

  기울어진 가세를 상징하는 일화로 선생의 '식탐'을 들 수 있겠다. 한창 자랄 나이인 선생은 식은 밥이든 묵은 김치든 눈에 띠는 대로 입에 움켜 넣고 모친의 매를 피해 뒷간으로 달아나셨다고 한다. 선생의 집 여기저기에 사탕이나 과자 그릇이 널려 있는 것을 보고 놀려대곤 하던 나에게 변명 아닌 변명으로 그런 말씀을 하셨을 때 철없이 깔깔 웃었다.

 

  부친과 사별한 후 선생은 모친의 고향인 아산으로 돌아와 온양고등학교를 다니셨다. 그 시절 선생은 1등을 도맡긴 했지만 모범생은 결코 아니었고 오히려 온양역 근처에서 아주 유명하셨을 정도였다고 한다. 아마도 그 때문에 재수를 하셨던 것 같다.

 

  그러나 선생은 경제학과 선배인 신영복 선생을 만나면서 인생의 행로를 크게 바꾸셨다. 그래서 철없을 시절 나는 이문열 씨의 <영웅시대>를 흉내내어 선생을 '회개한 부르주아'라고 놀려대곤 했다.

 

  선생의 생애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이 아마 말년에 <한겨레신문>에서 <중앙일보>로 옮기신 일일 것이다. 그러나 <한겨레신문> 논설위원을 사임하신 것은 결코 선생 자신의 선택이 아니었다. 국외자인 내가 자세히 알 수는 없겠지만, 창간 시절부터 복잡했던 <한겨레신문>의 내부사정이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더욱 악화되었던 것이 무시할 수만은 없는 요인이었다는 생각이다.

 

  왜 하필 <중앙일보>냐는 힐난에 대해서는 적어도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한겨레신문>과 <중앙일보>의 차이를 그리 과장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한겨레신문>에 그대로 계셨더라도 선생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이나 이른바 386세대의 포퓰리즘적 행태에 대해 비판하셨을 것이다.

 

  물론 50대 말에도 전세집을 구해야만 했던 선생의 경제사정도 무시할 수만은 없다고 본다. <한겨레신문>을 그만두시고 나서 정춘수 선생을 비롯한 몇몇 지기들의 주선으로 <중앙일보>로 옮기시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사유들을 짐작하고 있었던 나는 별다른 말씀을 드릴 수 없었고, 김승호 선배도 마찬가지였다.

 

  과거지사에 대해 가정을 세우는 것은 부질없는 일이지만, <한겨레신문> 논설위원을 사임하면서 선생이 저널리즘을 아주 떠나실 수도 있었다. 신영복 선생을 중심으로 선생과 나를 성공회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초빙하려는 시도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당시 한신대, 성공회대, 상지대가 이른바 진보대학 네크워크를 구상하던 중이어서 세 대학 사이의 역학구도가 아주 미묘해졌고, 그 때문에 신영복 선생의 시도는 좌절되었다. 그렇지만 않았더라면, 한신대 경상학부에 걸었던 선생이나 나의 꿈이 성공회대 경제학과에서 실현되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윤소영/한신대 국제경제학과 교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9/29 02:25 2005/09/29 02:25
http://blog.jinbo.net/rkpaek2/trackback/31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