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요즘 고민에 대한 간단한 메모

서문:

지난 몇 세기 동안 진행된 지구화는 우리의 현실의 변화를 가져온 주요한 동력이었다. 이는 현대성의 보편성에 기반해 개별성을 억압하면서 세계적 수준의 상호관련을 형성하였다. 주로 제국-식민의 논리로 구체화되었고, 이는 20세기 중반이후 냉전-신식민의 논리에 의해 연속되어 공고화되었다.

 

이는 인식적 수준에서 개별성을 갖는 ‘민족’에 대한 ‘문명’적 억압으로부터 출발하여, 냉전을 거치면서 ‘국가화’의 과정을 거쳐 ‘사회’ 내부의 ‘개체’에 대한 억압으로 나아갔다. 실제적 과정에서 이 둘은 거의 동시에 관철되었다.

 

그러나 이는 핵심적이고 주요한 특질이기는 하지만, 개별성을 빠짐 없이 전면적으로 포섭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포섭되지 않은 부분은 늘 갈등의 씨앗으로 남게 된다. 즉, ‘민간’이라 부를 수 있는 내부 속의 ‘외부’는 일정하게 생명력을 이어왔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현대성의 보편주의를 문제화하고 ‘개별성’을 회복하여 주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지구화에 대항하는 ‘민족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성을 재확보하는 ‘민족화’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은 일정한 단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우선, 사유의 차원에서 보면, 이러한 ‘민족화’는 ‘현대성’의 보편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현대성’에 대한 역사적 비판의 사유들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유들을 재발굴하여 계승하는데 있어 존재하는 현실적 곤경으로서의 ‘냉전’의 질곡과 제약을 문제화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재발굴의 대상이 되는 ‘역사적 비판성’은 냉전을 거친 우리에게 투명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적 비판성’은 ‘당대적 비판성’과 결합되어야 한다. 당대적 비판성의 확보는 우선 냉전적 이원화(사회주의와 자본주의)와 후냉전적 인식론적 단절을 연결지어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전자는 역사적 비판성과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현대성의 논리로부터 자유롭지 않으며, 후자는 당대적 비판성과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지식의 탈역사화/재식민화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이 둘을 연결짓기 위해서 주목되는 것이 이 둘 사이를 이어줄 수 있는 현당대를 살아온 ‘역사적 중간물’이다. 이들의 사유는 주로 ‘냉전’적 공간에서 전개되었지만, 냉전 이전의 제국-식민적 역사에 대한 비판성을 내재화하고 있고, 동시에 후냉전 시기의 당대적 비판성의 근거를 제공하기도 했다. 우리는 이러한 당대의 역사적 중간물에 접근하기 위해 ‘역사적 비판성’과 ‘당대적 비판성’을 연결하기 위한 제3종의 비판성, 즉 이른바 ‘메타적 비판성’을 주목하게 된다.

 

현실의 실천의 측면에서 보면, 이와 같은 역사적 비판성으로부터 내외부의 ‘보편주의’의 폭력에 저항하면서, 주체성의 바탕이 되어주는 개별성에 대한 ‘민족’적 인식의 획득을 기반으로, 전개중인 다기한 민간-기층 민중의 ‘당대적 비판성’을 전유하는 노력들을 ‘당’ 운동에 결집시켜야 할 것이다. 이런 결합은 상호 전제가 되는데, ‘역사적 비판성’이라는 전제 없이는 민간-기층 민중은 주체적이고 즉자-대자적 인식을 얻지 못한 채, ‘보편특수주의’에 대리되어 궁극적으로 ‘당대적 비판성’을 구성하는 주체가 되지 못하며, ‘당대적 비판성’이라는 전제 없이 개별성을 갖는 ‘민족적 지식’은 구체적 정세를 살아가는 현실의 인민이라는 구체적 동력이자 주체를 통해 물질화되지 않고, 나아가 변혁 과정에서의 국제적이고 보편적 전망과 연결되지 못한다. 물론 여기에서 당은 ‘국가화’를 전제로 하는 당이 아니라, ‘국가 변혁’을 통해 ‘민족화’를 달성하여 새로운 정치 형식을 창설하는 이론-실천의 결합체로서 제시된다.

* 아직 잘 정리되지 않은 고리: 윤리-미(문학/예술) 등의 문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