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왕초화(王超華,왕차오화) 특강 메모

어제1989년6.4천안문 사건의 학생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유명한 왕초화의 특강이 열렸다. 이 특강은 우리 연구소 수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인데, 한 학기 동안 학위 과정의 기술적인 부분들에 대한 지도와 더불어 각 분야의 저명한 연구자들을 초청하여 강연을 듣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초화의 특강 제목은'지식사상 공공화의 곤경'이었고, 부제목은'중국사회 장기역사발전에 대한 지식사상의 인식과 개입'이었다.

 

왕초화는 먼저 지난7월 세상을 뜬 미조구치 유우조(溝口雄三)의 문제의식에 대한 소개로 강연을 시작하였고, 특히, 다케우치 요시미에 대한 반성과 극복의 부분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이어 왕휘, 감양 등의 글을 검토하면서 왕휘, 감양과 미조구치, 다케우치 사이의 관련성을 지적한다. 한편, 최근 뉴레프트리뷰에서 논쟁이 된, Joel Andreas와Huang Yasheng의 논쟁도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팍스콘 노동자 자살의 케이스를 통해 중국 농촌의 문제를 다시 환기시켰고, 앞서 제시한 왕휘, 감양 등의 오류를 확인한다.

 

강연과 약간의 오차가 있겠지만, 필기에 따라 요점만 정리하면,

 

감양은 중국의 사상적 자원으로 유가, 모택동, 개혁개방을 제시하고, 이는 親情人情, 正義平等, 自由權利라는 긍정적인 부분만 부각시킬 뿐,等差秩序, 大躍進/文革, 市場化등의 문제에 대해서 맹목적인 문제가 있다. 왕휘는 국가와 정당의 문제에서 독립주권성격을 강조하고, 농민과 관련해서 토지혁명과 인민공사의 연관성, 그리고 초국적 자본의 침투 하의 농촌경제의 의존성 증가의 문제를 지적한다. 종합하면, 감양과 왕휘는 지방분권적인 전통사회의 특성과 중국혁명을 통한 농촌포위도시 전략, 토지혁명, 인민공사 등이 농업자본주의(향진기업) 낳음을 긍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개혁개방과 중국의 부상으로 인해 농촌자주모델이 도시의존적 농촌으로 변화했음도 지적된다.

 

이러한 분석에서 공통적인 것은 ‘중국’적 특수성을 강조하는 부분인데, 왕초화는 이를 미조구치 유우조 및 다케우치 요시미 등과 관련 짓는다. 이 부분은 내가 개인적으로 고민해온 주제와 매우 흡사하다. 나는 여기에 진광흥(陳光興, 천꽝씽)을 추가하고 싶고, 어제는 문득 한국의 김지하도 떠올랐다. 물론 고민이 아직 충분하진 못하다. 왕초화는 팍스콘 문제를 제기하면서 어쩌면 아주 상식적인 ‘국가’와 ‘자본’의 공모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식적 비판이 왕휘와 감양에게서 나올 수 없는 상황 자체를 중국 지식사상의 곤경으로 보는 듯 하다. 왕초화는 스스로 연구 중인 주제라는 한계 속에서 일정한 유형적 상동성을 정리한다. 사실 이 부분은 강연 장소에 있던 손가(孫歌, 쑨거), 진광흥(陳光興) 등에 의해 토론시간에 반박되기도 하였다. 왕초화의 정리는 다음과 같다.

 

* ‘자본주의’의 개념적 해석력 부정: 미조구치, 감양

* 반서방중심(1): 미조구치, 왕휘(농촌)

* 방법으로서의 중국: 미조구치, 다케우치

* 반서방중심(2): 다케우치, 왕휘(정치)

 

참고로 손가(孫歌)는 미조구치의 다케우치 비판은 말기에 그가 다시 다케우치에게로 돌아간 점을 통해 다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는 점과 당시 미조구치의 비판의 대상도 다케우치의 영향을 받은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이라는 점을 부연해주었다. 한편, 진광흥(陳光興)의 반박은 좀 더 적극적이었는데, 그가 미조구치의 ‘적자’임을 드러내는 듯 한 인상을 받았다. 그는 왕초화가 미조구치의 절반만을 이야기하였고, 나머지는 생략하였다면서, 외부/내부, 서방/반서방 등의 대립의 사이의 복잡성을 생략했다고 비판했다. 한편, ‘방법으로서의 중국’에서 그치는 미조구치가 아니라, ‘목적으로서의 세계’까지 함께 이야기해야 미조구치의 사상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다는 입장을 개진하였다. 왕휘, 감양 등에 대한 비판과 관련해서, 다른 교수들과도 토론이 있었는데, 진광흥(陳光興)은 왕휘 비판 자체가 그다지 의미 없다는 입장을 제기하였고, 오히려 미조구치의 관점에 따른다면, ‘입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입장’을 배제한 ‘분석’이 중요하다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왕초화는 마지막으로 비판이론의 성장, 전화의 역사 속에서 ‘자본주의’를 망각하는 측면을2010년 정세적으로 제기하고 싶었다는 입장을 제시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