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6/06/29

박사논문은 남한과 대만의 종별성을 응축하고 있는 "사상의 빈곤"과 "사상의 단절"이라는 대만 및 남한의 사상가의 서로 다른 문제의식을 대비시키면서 박현채 선생의 신식민성 인식과 실천의 곤혹을 드러내고자 했고, 나아가 역사내재적으로 현재적인 지식의 식민성에 대해 발본적인 문제제기를 할 수 있는 자원으로 삼고자 했다. 특히 종별성의 대비는 '분단'이라는 맥락에 의해 구체화된다. 

 

사실 후식민주의가 탈식민주의적 실천을 대체하는 것 같은 가상이 지배적인 '식민지'적 지식상황을 내파하고 전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후식민주의에 대해 단순히 탈식민주의를 대당시키는 것으로 역부족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사상의 구체성을 담보하는 역사맥락화가 필요한 것이고 이는 지식의 탈식민화의 출발점이자, 이론과 실천의 유기적 결합에 있어서 이론 방면의 전제이기도 하다.

 

나는 이와 같은 신식민성을 다원적 세계구성의 맥락에서 대만과 남한이라는 역사적 종별성을 가지는 상호참조 대상을 바탕으로 검토했는데, 이를 '제3세계'적 맥락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진 선생님의 조언이다. 세계, 권역, 민족의 삼차원 구성에서 역사, 지식, 이론, 실천, 윤리 등의 범주가 갖는 상호 관계를 밝히고자 했던 것이 논문의 주 목적이었는데, '권역간'이라는 문제의식이 다시 추가된 것이다. 

 

'권역간'의 문제는 '영어'의 이중성의 문제와 연결된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의 심화가 이후 1년 학습과 연구의 기본 구상으로 이어질 것이고, '영어'적 공간에서 진행될 내 실천의 구체적 내용이 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