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프다는 말로 시작되는 시가 있다.

 

"슬프다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모두 폐허다"

 

완전히 망가지면서 완전히 망가뜨려놓고 가는 것.

그 증표 없이는 진실로 사랑했다 말할 수 없는 건지.

 

"나에게 왔던 사람들,

어딘가 몇 군데는 부서진 채

모두 떠났다"

 

참 좋은 시였는데 다는 기억나지 않는다.

그렇게 첫 구절과 마지막 구절 한 구절씩만 생각난다.

마지막은 이렇다.

 

"아무도 사랑해 본 적이 없다는 거

언제 다시 올지 모를 이 세상을 지나가면서

내 뼈아픈 후회는 바로 그거다

그 누구를 위해 그 누구를 사랑하지 않았다는 거"

 

내 자존심을 지킨답시고 난 저 아이를 버렸는데

그럼 지켜진 내 자존심은 대체 어디 있는 걸까

 

--------------------

 

이건 준영(송혜교 분)과 헤어진 후 지오(현빈 분)가 하는 독백이다.

시는 황지우 시인의 <뼈아픈 후회>다.

얼마 전 이었나, 총장실을 정리하던 시인이

이 시의 첫머리를 읊는 걸 보았다. 어디선가 들은 적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사.세>에서 들은 거였다.

 

"내 자존심을 지킨답시고 난 저 아이를 버렸는데

그럼 지켜진 내 자존심은 대체 어디 있는 걸까"

 

싸움의 목적은 자존심이었지만

싸우는 동안 그 목적은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이것이 싸움과 갈등 일반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알다시피 싸움과 갈등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물론 그 경계가 불분명하여 서로 뒤섞이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지오가 싸움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잔혹'이며
(그의 전 연인 연희는, 지오가 가끔 너무 '잔인하다'고 말한다.)

이로써, 준영을 자신의 기억에서 완전히 추방/배제하고,

그녀와의 마주침을 통해 드러난 자신의 깊은 열등감과 결여를 환상적으로 메꾸려 한다는 점이다.

 

이런 종류의 싸움은 항상 목적을 잡아먹게 마련이다.

자존심이란 결국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느끼는 정서인데,

이 싸움은 관계 자체를 파괴하고, 따라서 이 관계의 한 항인 자기 자신도 파괴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싸우고 갈등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여기에는 항상 모종의 위험, 이른바 '극단적 폭력'이라고 부르는 것이 출몰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잘 싸울 것인가?(이 위험 때문에 아예 싸우지 않는 것이 아니라.)

어떤 분야가 되었듯, 싸움과 갈등이 일어나는 곳이라면,

이는 항상 중요한 쟁점이 아닐 수 없다. 의외로 연애 이야기가 전혀 다른 분야의 문제에 관해

영감을 줄 수 있다면, 아마 연애에는 항상 싸움과 갈등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문득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09/07/05 16:19 2009/07/05 16:19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s://blog.jinbo.net/aporia/rss/response/68

Trackback URL : https://blog.jinbo.net/aporia/trackback/68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 73 : Next »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76015
Today:
198
Yesterday: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