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튀세르, <몽테스키외, 정치와 역사> 중

"(...) it is not enough to distinguish the sciences and their orders: in life the orders overlap one another. True religion, true morality, supposing that they are excluded from the political orders as explanatory principles, do nonetheless belong to that order by the conduct and scruples they inspire!" (강조는 나)

- Louis Althusser, Politics and History: Montesquieu, Rousseau, Hegel and Marx, trans. Ben Brewster, NLB, 1977, p. 23.

 

요새 이런저런 이유로 알튀세르에 관한 글들을 다시 읽고 있다.

읽으면서 생기는 고민 중 하나는,

1960년대 초 프랑스라는 정세에서 알튀세르가 제기한 문제 및 이론이

어느 정도까지 오늘 정세에서도 의미를 갖느냐 하는 점이다.

 

그 중 하나가 이른바 '인본주의'(humanism) 논쟁일 것이다.

인본주의 이데올로기에 관해 알튀세르가 제기한 그 날카로운 쟁점을

과연 오늘날에도 유지할 수 있을까?

 

알튀세르를 '자구 그대로'(to the letter) 다시 읽은 결과

나는 '그렇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미 1959년에 쓴 몽테스키외: 정치와 역사에서 알튀세르는

종교와 도덕, 곧 '이데올로기'는 설명의 원리 곧 과학으로서는 정치에서 배제되지만

행실과 가책 곧 주체화/종속화(subjetion)의 효과라는 실천적 활동으로서는 정치에 속한다고

말한다. 즉 이데올로기는 이제 설명의 방법에서 설명의 대상, 그것도 매우 중심적인 대상으로

자리를 옮기는 것으로, 결코 가치없는 오류나 무로 해소되는 것이 아니다.

 

인본주의 논쟁의 한가운데 있던 맑스주의와 인간주의에서도 알튀세르는 이렇게 말한다.

"맑스의 이론적 반인간주의는 결코 인간주의의 역사적 실존을 소멸시킬 수 없다. (...) 맑스의 이론적 반인간주의는 인간주의를 그 존재조건들과 연관시키면서 이데올로기로서의 인간주의의 필연성, 조건들하에서의 필연성을 인정한다. (...) 이러한 인정의 토대 위에서 맑스주의는 종교, 도덕, 예술, 철학, 법 그리고 특히 인간주의와 같은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형태들에 관한 정치를 확립한다. 인간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가변적인) 맑스주의적 정치, 즉 인간주의에 대한 정치적 태도거부, 비판, 이용, 지지, 개발, 윤리-정치적 영역에서 있어서 이데올로기의 현재적 형태들의 인간주의적 재생일 수 있는 정치, 이러한 정치는 이론적 반인간주의가 그 선행조건인 맑스주의 철학에 기초한다는 절대적 조건하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루이 알튀세르,맑스를 위하여, 이종영 역, 백의, 1997, 277쪽.)

 

즉 인본주의를 가장 비타협적으로 비판했을 때도

알튀세르는 이데올로기로서 인본주의의 의의와 효과를 부정한 적이 없다.

그는 다만 지금껏 책장 '과학' 또는 (설명) '방법' 코너에 꽂혀 있던 인본주의를

'이데올로기' 또는 (설명) '대상' 코너, 그것도 가장 잘 보이는 곳으로 옮겨 꽂았을 뿐이다.

우리는 때때로 알튀세르가 제기한 이론적 반인본주의가 이론적 반인본주의라는 점,

곧 이데올로기로서 인본주의가 아니라 이론으로서 인본주의에 대한 비판이라는 점을 잊곤 한다.

이 짧은 관형어를 놓친다면 알튀세르의 기획 전체를 놓치게 된다는 점을

함께 잊으면서 말이다.

 

그러므로 알튀세르를 알고 싶다면,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이런저런 사람들이 그에 관해 해석한 글을 접한 후에

(왜냐하면 이제 알튀세르는, 그런 해석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게 불가능한,

말의 강한 의미에서 '고전'(classic)이 되었기 때문이다)

알튀세르를 '자구 그대로'(to the letter) 읽어야 한다.

거기서 우리는, 알튀세르에 관해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0/06/20 23:43 2010/06/20 23:43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s://blog.jinbo.net/aporia/rss/response/87

Trackback URL : https://blog.jinbo.net/aporia/trackback/87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 176 : Next »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75334
Today:
51
Yesterday: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