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문학리뷰] 달리는 아비는 멈추지 않는다.

  <김애란, 달려라, 아비>

달리는 아비는 멈추지 않는다. 

                                                                                                                     김봉재

김애란의 단편소설 ‘달려라, 아비’는 엄마와 단둘이 사는 사생아의 이야기이다. 작가는 작품의 소재가 주는 동정이나 연민의 선입견을 가지지 않은 채, 1인칭 주인공 시점임에도 작가관찰자 시점과 같은 대등한 시각으로, 사라진 아버지에 대한 원망이나 그와 주변 인물들에 대한 변호나 사회적 요인들을 배제 시키는 대신, 각 등장인물들에 대한 존경(주인공을 자신을 포함한 respect!)을 통해 통속적 이야기들이 간과했던 매력을 찾아냈다. 예를 들면 어머니를 홀대하던 외할아버지가 임종을 직전 “그래도 내가 연애를 하면 작은 년이랑 하지, 큰 년이랑은 안한다.” 의 대사는 세대를 뛰어 넘는 주인공과 할아버지의 공감대인 동시에 독자들이 가진 두터운 고정관념을 깨고 있다. “사실은 큰 년 보다 니 어미를 더 사랑했다.” 따위의 값싼 감상에서 벗어나, 다분히 성적이고 직감적인 지문을 통해 사생아를 낳은 딸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시각을 오랜 삶을 살아온 한 남성의 시각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정숙치 못한 여자’가 아닌, 세대를 뛰어 넘어 ‘매력이 있는 여자’의 모습으로 그리고 있다. 아버지의 경우도 “아버지를 보고 놀란 개가 짖자 온 동네 개들이 일제히 짖어대기 시작했다.”는 지문에서 보듯이 혼전섹스나 동거 등이 주는 진부한 이미지를 벗고, 피임약을 사기위해 달리는 아버지를 ‘발정난 개’의 이미지와 코믹하게 연관시킴으로써 젊은 남녀의 섹스에 대한 도덕적 잣대를 보류시킨다. 따라서 외할아버지와 아버지, 주인공은 ‘엄마’의 매력을 알아본 사람들로서 서로 깊은 원한을 맺은 사람이 아니라, 하나로 묶여 어머니의 매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셈이다.

 주인공은 택시를 모는 엄마가 ‘아버지를 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버지 보다 더 빨리 달리고 싶어서’라고 생각하며 여자 택시기사로 혹사당하는 엄마에게 돈을 탄다. 서울에서 여자택시기사가 당하는 수모는 마치 사생아를 낳은 여인이 당하는 수모와도 유사한 느낌을 준다. 엄마의 거친 언어와, 운동화를 구겨 신고 돈을 타내는 주인공의 모습은 독자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모녀가정의 불우한 모습과 유사하다. 그러나 작품 속에서 그들의 일상은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간단한 서술로 단순화 시켰을 뿐 아니라 “새끼가 속도 깊고 예의까지 발라버리면 어머니가 더 쓸쓸해질 것만 같아서였다.”는 지문처럼 나름의 변호를 하고 있기도 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들이 사회와 소통하는 ‘일상의 삶’이 아니라 ‘집안’인 것이다. 바꿔 말하면 여자 택시기사가 당하는 수모와 유사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그들의 일상의 삶(독자인 우리가 바라보는)은 사실 그들 자신이 느끼기에는 결국 남들과 다름없는 삶이라는 걸 강조하는 것이다. 주인공은 아버지가 미국에서 가정까지 꾸리고 살았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그를 원망하지 않는다. 어처구니없는 죽음을 접하면 서도 엉뚱하게 그가 잔디기계를 타고 어디로 가려고 했는지 궁금해 한다. 주인공이, 마치 천벌을 받은 것처럼 버림받고 죽은 그를 낭만적 인간으로 묘사하는 이유는 분명 어머니를 위해서이다. 그러나 주인공은 그간의 심정을 털어놓는다. “아버지가 달리기를 멈추는 순간, 내가 아버지에게 달려가 죽여 버리게 될까봐 그랬던 것은 아닐까.” 주인공에게 아버지의 존재는 거친 삶을 사는 원동력인 것이다. 이것은 좋은 의미의 에너지라기보다, 삶에 대한 오기나 집착의 이유이며 자신의 존재 이유가 단순히 엄마의 ‘매력’ 때문이라는 가증스러운 사실에 대한 분노이기도하다. 하지만 주인공은 ‘잘 썩고 있을까?’라는 엄마의 물음에 더 이상 뛰지 않는 아버지의 존재를 인정하고 놓아준다. 그들에게 모녀 삶을 선사한 한 인간에게 경의를 표하고 계속해서 뛰기를 소망한다. ‘달려라 아비’는 가슴 시릴 정도로 밝게 세상을 사는 주인공이 아버지를 향해 외치는 격려이자, 바로 자기 자신을 향해 왜치는 파이팅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