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8/07

단 한사람의 주권도 찬탈되지않는 세상을 향해

2008년 7월은 인간이 인간에게 행하는 찬탈이라는 단어에 대한 생각을 다시금 하게하는 시간입니다.

 

물론 왕이나 황제등이 지배하는 군주국가에서 찬탈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의미는

국가권력을 빼앗는 것을 지칭하는 일이었습니다.

따라서 국가에 어떠한 란을 일으켜서 왕을 폐위시키거나 하야시키는 것

그것을 찬탈이라고 단어지어 말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이룩한 20-21세기의 국가형태인 민주공화국에서 

왕이나 황제와 국가권력자들이 갖고있던 그 국가주권은 국민에게 이양되었습니다.

 

인간은 국가를 이루는 모든 권력 즉 주권은 국민에게 있음이 옳음을 알게되었고

그 깨우침을 통해서 주권재민의 정신을 국헌으로 정하고

그에 맞는 나라를 지켜나가려고 노력합니다.

 

민주국가라는 이름으로 인간이 이룩한 세상은

그래서 주권의 주인이 민중 즉 국민 하나하나임을 확인하고 지키며

그 한사람 한사람 국민이 갖는  주권행사의 일환으로

공무를 시킬 사람을 뽑아서 급여를 주는 제도를택해습니다. 

편의상 관리자를 두고 일시키며 감시하며

경비를 두어서 자신들을 보호하고 지키는 일을시키며

주권재민의 국가를 완성합니다.

 

이제 민주국가에선 그 이름그대로

국민이 주인이며 그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 부터 나오며

이를 부인할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설령 독재를 행하는 그 무리 조차도

주권이 자신들로부터나온다고는 하지못합니다.

자신들이 머슴이라고 말하는 이들까지있을 정도니까요.

 

하지만 이 귀하게 이룬 인간의 역사와 약속을  부인하고

이임받은 4년 혹은 5년제 비정규직 노동자인 지배세력들이 권력을 지배개념으로 행하는

착각된 행동이 일어나는 나라들이 있습니다.

 

국민으로부터 봉급을 받으면서 취직된 공무의 권한을 이용해서

그것을 권력으로 알고

경비담당자들을시켜 지켜야할 대상을 주인인 국민이 아닌

권력이밈자들인 자신과 주변이익집단들을 보호하는  방어막으로 세웁니다.

국민으로부터 일임받은 권력을 이용하여

그 보호와 수호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그릇된 세력들의 행위,

 

21세기 민주공화국에서 찬탈은 이제 의미를 바꿔서

위와 같은 행위를 찬탈이라고 부르게됩니다.

국민하나하나에게 주어진 주권을

빼앗고 짓밟는 머슴들의 이기적이고도 맹목적인 반란.  

 

자기와 자신의 근접이웃만을 국민이라 생각하며

약하고 가난한 이들이 국민임을 잊은 망각자들이 행하는 모든 침탈과 억압 ,

자기논리적 법체제 해석과 하위법및 시행령을 고쳐가며 편의주의적으로 만들어낸

권력비호용법체제적용으로

원칙과 기본을 파괴시켜가는 안스러운 작태.

 

국민이 주인이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약속의 의미를 잃어버리거나

용납하지않는 어리석은 사람들의 자기편의적 좁은시선과 욕심과 이기적 철학성으로 인해서

어렵게 이룩한 민주주의는 다시 허울만의 가공으로

일시에 추락합니다.

 

찬탈의 의미를 아직도 국가공무원들의 권력을 빼앗는 것이라고 착각하는 하인들이 있는한

그리고 그것을 지키기위해 맹목적 감성으로 지켜주는 이들의 서글픈추종의 모습이 있는한

우린 민주주의를 아직 이루지못한 부족입니다.

 

가장 힘없고 가난한 사람들의 공간 어느한곳에서라도

자신에게 원래주어진 것

그리고 태어나면서 가졋던 국민으로서의 모든 권리와 권한을 지켜주기위해

그 업무를 일임받은 국가공무원들이 지켜주는 나라가

진정한 인간의 국가입니다.  

 

인권과 사랑을 기반으로 세워진 인간의 국가경영방식을 잃어버리고

주인인 국민들이 제가 고용한 제 하인에게

버림받고 내팽겨쳐지고 짓밟히는  일이 계속일어나는한

우린 민주주의를 이루지못한것이며

제하인이 하는 일에 대해서 그러지말라고 얘기하다가

오하려 잡혀가는 찬탈당하는 주인이 있다면

그 부족의 땅은 이미 민주주의를 잃은 것입니다.

 

 

2008년 7월 이 나라의 거리에선

그 찬탈의 의미를 걱정하는사람들이 모여서

옳은 길을 얘기하고

그러다 자신들이 고용한 하인들에게 처절히 포위되고

제 집과 길을 하인이 다니지못하게해서 갖히고 차단당하는 일이

당연지사처럼 일어납니다.

 

찬탈당한 사람들이 거리에나와

이러면 안되는 것 아니냐고

촛불을 듭니다.

그리고 상식마져 잃어버린 하인과 그 하인의 말을듣는 경비원들에게

애처롭게 달래봅니다.

그리고

인간이 시대를 거쳐오면서 실험해오고 진화시켜온 편의주의로서의 국가형태에 대해서

다시 반문을 해보는 시간입니다.

 

인간은 권리와 권력의 관리정도도 일임해서 운영할수조차 없는 슬프고 어리석은 부족인가?

 

마치 자신의 편리를 위해 기계를 만들어서 일을시키던 인간이

그 기계로보트들의 명령불복종과 반란으로

권리를 잃고 찬탈을 통해 내몰리는 공상과학영화의 한장면을

머슴이 되겟다고 하던 하인들의 소통을 단절시킨 이상한 행동이 일어나는

2008년의 거리에서 만납니다.

 

사실 우리의 민주주의는 어느 하루도 찬탈이 없었던 적이 없습니다.

보이지않는 곳 어디에선가 늘 그렇게 행해지고

우리의 무관심으로 인해서

쓰라리게 제가 맡겻던 주권을 잃어가는 주인들은 언제나 있엇습니다.

 

평화란 이름으로 국가란 이름으로

혹은 공권력이라는 이름으로

정치인 공무원 검찰 경찰 혹은 군대가 국민의 개개인의 기본권을 파괴하며

하위법을 제멋대로 만들어서

최상위법을 무시한 이헌령 비헌령식의 법제도로서

주권을 가진 국민을 다스려왔습니다.

 

국가권력으로부터 단 한명이라도 찬탈되는 국민이 있다면

그 나라는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그리고 수많은 이기심과 무감각의 편의주의에 물든 주인들이 무심히사는 세상에서

찬탈없는 세상을 위해 용기를갖고 거리에 나선 사람들의 자신을 희생하는 행동으로

역사는 그나마 퇴화와 추락을 정지시킬수 있을 겁니다.

 

너무 강해서 너무 지능적이어서

인식못하는 사람들속에서

인간안에 담긴 아름다운 속성과 양심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않고

깨어있는 이들이 광장에 나서서 촛불을 켜듭니다.

 

그리고 그  시기 이곳에 우리가

공존하며 바라보고 있습니다.

무엇을 행해야 할것인가를 깊이생각하며.

그리고 생각만큼의 시작만으로라도  행동하고자

거리로 나섭니다.

단 한사람의 주권도 찬탈되지않는 세상을 향해.

 

            

 

(이름없는공연팀 2008년7월 [평화 그 그리움으로] 연작공연 작업노트중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83일을 지나 나머지 183일만을 남겨둔 평화그리기는 빗속에 세워진 벽앞에서

2008년7월12일 시민들은 약하게 혹은 강하게 쏟아지는 빗줄기속에서도

모이고 모여 하나의 의미를 만듭니다.

그리고 그 모임을 차단하기위해서 바둑판처럼 미로처럼 벽과 벽을쌓는

또다른 의식의 명령자들과 즐겨 의무처럼 따라 행동하는 복종자들.

덕분에 시민들은 길과 길을 이어 또다른 광장을 만들고

그 속에서 찬탈없는 세상을 노래합니다.

그리고 우리

농담처럼 시작했던 366일 모든날에 담을 평화 그리기도 이제

183일을 지나 나머지 183일만을 남겨놓앗습니다.

 

 

 

712평화 그 그리움으로183(서울시청,청계광장)

712peace01.jpg
712peace01.jpg

712peace02.jpg
712peace02.jpg

712peace03.jpg
712peace03.jpg

712peace04.jpg
712peace04.jpg

712peace05.jpg
712peace05.jpg

712peace06.jpg
712peace06.jpg

712peace07.jpg
712peace07.jpg

712peace08.jpg
712peace08.jpg

712peace09.jpg
712peace09.jpg

712peace10.jpg
712peace10.jpg

712peace11.jpg
712peace11.jpg

712peace12.jpg
712peace12.jpg

712peace13.jpg
712peace13.jpg

712peace14.jpg
712peace14.jpg

712peace15.jpg
712peace15.jpg


Page:   1  2  3  4 

 

[ Prev ]      [ Next ]

평화,그 그리움으로 평화 그 그리움으로 작업게시판 및 공연의뢰 참가신청게시판
어느하루도 평화를 향한 날이 아닌 날 없게
총366일의 366회 공연을 향해 평화 그리기 183일째 공연, 이제 남은 날은 183일f
 후원 및 지원금 온라인입금구좌번호 국민은행 438901-01-174296(신영철) 
copyleftⓒyegie 2008.7.12 www.yegie.com
예기촬영공연사진집  oncorea 예기인터넷방송 온코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515 평화 그 그리움으로 169일째 공연(전주한옥마을 오목대 오르는 쉼터).

onCorea                                                
2008년7월12일부터 방송중
편성 및 촬영편집 :예기 신영철 019-696-2550(onCorea news )
예기작업후원 및 지원 온라인구좌번호 국민은행 438901-01-174296(신영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촛불을 위한 생명과 평화의 108참회문(2008,7,4시청광장.시국법회).

onCorea                                             
2008년7월11일부터 방송중
편성 및 촬영편집 :예기 신영철 019-696-2550(onCorea news )
예기작업후원 및 지원 온라인구좌번호 국민은행 438901-01-174296(신영철)
copyleftⓒyegie 2008.7.11  www.yegie.com
예기가 거처없이 노트북 한 권과 켐코더 하나를 들고 이 땅 곳곳을 유랑하면서 생명들이 살고지는 얘기를 영상과 글로 담아 전하는 인터넷방송 onCorea입니다.
www.yegie.com 으로 접속하셔서 onCorea를 클릭하셔서 또하나의 매스미디어로서의 예기를 만나주시길 바랍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신작 [단한사람의 주권도..]에 참가할 분은 신청하세요(12일마감)

신작 [단한사람의 주권도..]에 참가할 분은 신청하세요(12일마감)


이름없는공연팀의


7월셋째주 14-20일은 촛불현장을 소재로한 작업

[단 한사람의 주권도 찬탈되지않는 세상을 향해]를 만들며 초연할 예정입니다.

이 작업에 동행하실분들은 참가신청과 자기연습미팅 희망일정을 적어서 신청해주시면

1차 면담을 통해서 참가를 결정,작업에 임하겟습니다.

참가신청마감및 1차 개인미팅마감은 7월12일까지

참가신청글은

http://guestbook.blog.naver.com/NBlogMain.nhn?blogId=yegie&skinType=&skinId

실명과 자기소개를 함께 적어서 올려주시면 됩니다.

이 작품은 21회 성주 민족극한마당에 이름없는공연팀의 참가작으로 준비되고잇으며

8월말 성주에서 열리는 성주민족극한마당에 동행하실분도

병행해서 모집하고잇으므로

함게하실분은 7월셋재주미팅부터 참가하여

새롭게 만드는 이 작업을 준비해주시길 바랍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705평화그리움으로182-

705평화그리움으로182-

2008년7월5일 시청광장촛불집회(국민승리의날)그리고 돌아오는길 합정동에서.

onCorea news 2008년7월6일부터 방송중 

http://blog.naver.com/yegie/9003286466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년7월의 첫 토요일,그날 함꼐한 평화 그리기 182일째

그 6월에 그러햇듯

그해 7월5일은 6월30일 시국미사에 이은 또하나의

전기점이 되었습니다.

주권재민의 국가에서

찬탈없는 세상을 만들기위해

절실히 노력하는 사람들의 애절한 마음과 용기가 모여

인간의 세상은 그렇게

우매한 이기심의 퇴화를 멈추고 간혹 진화를 합니다.

그 눈물같이 아름다운 시간 그리고 광장.

비록 한칸 건너 다른거리에선

아무일도 없는듯 살아가지만

그들모두를 위해

시간을 내어 달려와 동지가되고 다시 헤어지는

평화를 향한 꿈.

신부님에게 전해받은 한송이 백합을 들고

비오는거리 그리고 젖은 거리에 함게하며

수많은 아름다움을 동행하던 그날은

2008년 7월의 첫 토요일

그리고 366일 모든날을 행동하고 싶어시작한 평화그리기는 

어느덧 반을 바라보는 366일중 182일째

이제  남은 날은 184일 되던날이었습니다..  

 

 

705평화 그 그리움으로182(서울시청광장,합정동)

705peace01.jpg
705peace01.jpg

705peace02.jpg
705peace02.jpg

705peace03.jpg
705peace03.jpg

705peace04.jpg
705peace04.jpg

705peace05.jpg
705peace05.jpg

705peace06.jpg
705peace06.jpg

705peace07.jpg
705peace07.jpg

705peace08.jpg
705peace08.jpg

705peace09.jpg
705peace09.jpg

705peace10.jpg
705peace10.jpg

705peace11.jpg
705peace11.jpg

705peace12.jpg
705peace12.jpg

705peace13.jpg
705peace13.jpg

705peace14.jpg
705peace14.jpg

705peace15.jpg
705peace15.jpg


Page:   1  2  3  4  5  6 

 

[ Prev ]      [ Next ]

평화,그 그리움으로 평화 그 그리움으로 작업게시판 및 공연의뢰 참가신청게시판
어느하루도 평화를 향한 날이 아닌 날 없게 총366일의 366회 공연을 향해..
 후원 및 지원금 온라인입금구좌번호 국민은행 438901-01-174296(신영철) 
copyleftⓒyegie 2008.7.5 www.yegie.com
예기촬영공연사진집  oncorea 예기인터넷방송 온코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조심스럽게 평화를 얘기하는사람들의 갈망곁에서..평화그리기 181일째날..

사람들은 조심스럽게 평화를 얘기합니다.

노력하며 희망을 기다립니다.

소통이 어렵다는것을 알면서도

찬탈없는 세상을 이루고저하는 작은 소망이 모여

이렇게 해방공간을 만들어

토론하며 이어갑니다.

지친사람들의 심신속에서도

지지않는 작은 사랑의 갈망이

저들을 저렇게 거리로 나오게하고

또 늦도록 얘기나누며

촛불을 들게합니다.

그들이 그리는 평화가

이해되고 소통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리하여 우리가

자신을위한 욕심으로부터 공존의 세상을 향한 노력으로

조금씩이라도 진화되길.

평화를 그리며 매일저녁 한편의 공연을 준비해서

광장에 나서는 7월의 어느날.

평화 그리기는

181일째를 넘기고 이제

185일이 남았습니다.

 

703평화 그 그리움으로181(서울시청광장,시국기도회곁)

703peace01.jpg
703peace01.jpg

703peace02.jpg
703peace02.jpg

703peace03.jpg
703peace03.jpg

703peace04.jpg
703peace04.jpg

703peace05.jpg
703peace05.jpg

703peace06.jpg
703peace06.jpg

703peace07.jpg
703peace07.jpg

703peace08.jpg
703peace08.jpg

703peace09.jpg
703peace09.jpg

703peace10.jpg
703peace10.jpg

703peace11.jpg
703peace11.jpg

703peace12.jpg
703peace12.jpg

703peace13.jpg
703peace13.jpg

703peace14.jpg
703peace14.jpg

703peace15.jpg
703peace15.jpg


Page:   1  2  3 

 
[ Prev ]      [ Next ]
평화,그 그리움으로 평화 그 그리움으로 작업게시판 및 공연의뢰 참가신청게시판
어느하루도 평화를 향한 날이 아닌 날 없게 총366일의 366회 공연을 향해..
 후원 및 지원금 온라인입금구좌번호 국민은행 438901-01-174296(신영철) 
copyleftⓒyegie 2008.7.3 www.yegie.com
예기촬영공연사진집  oncorea 예기인터넷방송 온코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3일째시국미사 그리고 사제분들의 3일째 단식 그곁에서 그리는 평화 그 그리움으로 180일째.

3일째시국미사 그리고 사제분들의 3일째 단식 그곁에서 그리는 평화 그 그리움으로 180일째.

 

사제단의 단식 3일째..

그리고 세번째 시국미사.

비가내렸고

광장은 아름다운 사람들의 모습으로 채색되어

저녁에서 밤으로 갑니다.

빗속에서도 출렁이는 촛불속에서..

평화 그리기 180일째날

그 미사곁에서 동행하며 이뤄진 공연.

동지도 없고 활동도 적었던 우리는

늘 이곳에 나오면서

지난 몇년간의 순례를 기억하며

우연이라도 그 얼굴들 만날수있을까

간혹 내심 기다리며 그리웠는데

오늘에서야 비로소 

처음으로 한분

촛불집회가 열리는 이 민주의 광장에서

아는 분을 만나 서로 인사나누며

그림처럼 담소를 나누엇습니다

 

 

 

702평화 그 그리움으로180(서울시청광장,시국미사)

702peace01.jpg
702peace01.jpg

702peace02.jpg
702peace02.jpg

702peace03.jpg
702peace03.jpg

702peace04.jpg
702peace04.jpg

702peace05.jpg
702peace05.jpg

702peace06.jpg
702peace06.jpg

702peace07.jpg
702peace07.jpg

702peace08.jpg
702peace08.jpg

702peace09.jpg
702peace09.jpg

702peace10.jpg
702peace10.jpg

702peace11.jpg
702peace11.jpg

702peace12.jpg
702peace12.jpg

702peace13.jpg
702peace13.jpg

702peace14.jpg
702peace14.jpg

702peace15.jpg
702peace15.jpg


Page:   1  2  3  4  5 

 

[ Prev ]      [ Next ]

평화,그 그리움으로 평화 그 그리움으로 작업게시판 및 공연의뢰 참가신청게시판
어느하루도 평화를 향한 날이 아닌 날 없게 총366일의 366회 공연을 향해..
 후원 및 지원금 온라인입금구좌번호 국민은행 438901-01-174296(신영철) 
copyleftⓒyegie 2008.7.2 www.yegie.com
예기촬영공연사진집  oncorea 예기인터넷방송 온코리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년6월30일사제단시국미사스케치25분동영상(onCorea news)

2008년7월2일부터 방송중
편성 및 촬영편집 :예기 신영철 019-696-2550(onCorea news )
예기작업후원 및 지원 온라인구좌번호 국민은행 438901-01-174296(신영철)
copyleftⓒyegie 2008.7.2  www.yegie.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