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많은 말을 했지만, 정작 가장 좋은 것은 아예 인간관계라는 것을 잊고 관계학을 잊는 것이다. 관계를 통해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실은 막다른 골목에 빠졌다는 것이며, 궁지에 몰렸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한 사람이 전력투구로 배움에 몰두하고 ,일에 노력하고 ,진실하고 성실하며, 사람을 선하고 평등하게 대하며, 언제나 건강한 심성으로 성취를 지향한다면, 자연히 대인관계와 인간관계가 순탄해질 것이다. 순간 껄끄럽게 되거나 오해받는 것을 짧은 과도기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관계란 정해진 것이 아니다. 관계는 파생되는 것이며, 또한 자연스러운 것이다. 인간관계란 소홀해서 손해를 보는 것보다 너무 총명하고 타산적이어서 손해를 보는 것이 더 하책이다. 명심할 일이다.
- 책 중에서 <나는 학생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9/03 10:22 2005/09/03 10:22
“개 복제와 난치병 치료 구분해야”
     
시민단체, 생명공학 기술에 ‘성찰’요구

일다 기자
2005-08-11 13:36:56


황우석 교수 등 국내연구진의 개 복제 실험 성공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이 “과대 포장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8월 4일 여성환경연대, 녹색연합, 한국여성민우회, 시민과학센터 등 9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생명공학감시연대’(이하 감시연대)는 과학기술부 등이 이번 실험의 성과에 대해 실제 이상으로 과대포장하고 있다며, “개 복제와 줄기세포연구를 통한 난치병 치료는 구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감시연대는 성명을 통해 “개 복제 성공은 당장 인간 난치병 치료에 기여하기 보다는 오히려 인간개체복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증폭시킬 것”이라며, 그 증거로 “황우석 교수는 지난 1997년부터 작년 인간배아복제 성공 이전까지 인간개체복제가 동물복제보다 쉽다고 수 차례 발언한 바 있다”고 밝혔다.

또, 복제를 통해 한국늑대와 같은 멸종위기 동물을 복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생태계 파괴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을 복제한다는 발상 자체가 생태계 파괴에 대한 인간의 책임회피와 무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지적이다. 감시연대는 “백두산 호랑이 복제 해프닝에서 드러난 것처럼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 수는 있겠지만, 생태계 복원이 전제 되지 않는 한 사라진 동물을 복원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일침을 놓았다.

감시연대는 배아연구로 대표되는 최근의 생명공학 기술에 대해 “사회적 성찰과 사회적 합의가 진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관련 연구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사이도 없이 마치 금방이라도 난치병을 치유할 것 같은 환상을 심어주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 이를 위해 감시연대는 앞으로 생명공학자들의 무분별한 행위를 점검하고, 각종 생명공학의 진전으로 파생되는 사회문제들에 대해 평가하고 통제할 계획이다.

ⓒ www.ildaro.com
* '일다'에 게재된 모든 저작물은 출처를 밝히지 않고 옮기거나 표절해선 안 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8/19 14:50 2005/08/19 1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