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저기서 가져온 또는 만든 자료들'에 해당되는 글 22건

Posted on 2005/04/26 10:38
Filed Under 머리굴리는 창고

 

신병현


- 무지하게 안 읽히는 책이었음. 아마도 이과생의 머리로 이해하기 힘든 문과적 접근방식과 서술 방식 때문이라 생각함.

- 의사파업 및 의사국가고시 등등의 정신없는 와중에 진행되는 바람에 별 관심없이 지나갔던 100인위 사건에 대해 다시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책이었음

- 노동자들의 문화와 일상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어떤 접근을 해야 할 지 대충 감을 잡는 수준임. 문화를 분석한다는 것이 중요성에 공감함.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작업장 정치를 하기위한 기본적 이데올로기를 만들고 유통시킬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음.

- 현재는 노동자적 이데올로기의 유통뿐만 아니라 생산도 되지 않는 갑갑한 상황이란 생각에 잠시 우울해짐. 어떻게 자본의 이데올로기에 먹혀버린 현장에 노동자들의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고 그것이 다시 일상을 관통하는 문화로 자리매김 하게 할 것인가? 라는 의문이 책을 읽고 난후 계속 머릿속을 떠다님. 답이 안 나와 대략 답답함.

- 일단 현장의 활동가들의 생각과 판단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확인해보고 드러나는 지점부터 파고들어야겠다고 생각함.


 

 

 



 

 

○ 노동자 문화란 기술조직, 생산조직으로 구성되는 노동과정을 대표하는 노동문화보다 확장된 개념임. 자본주의의 역사적 과정과 더불어 형성된 갈등적이고 대항적인 실천 형식들을 주요한 부분으로 함. 무차별한 폭넓은 범주로서 대중들의 생활방식을 상당부분 포함


○ 노동 자체는 산업혁명 이후 백여년과 달라진 것이 거의 없음. 여전히 자본은 노동을 착취하고 있을 뿐이며 공학적·기술적 발전을 통해 그 형태만 바뀌고 있음. 가장 핵심적인 변화는 문화 통제 기법의 변화임


○ 새로운 주체화 양식으로서의 문화통치가 등장.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관계를 이용하는 것과 더불어 새로운 가치로의 접합을 통해 노동자들을 통합 (가족관계 재편, 공공영역 창출, 인구활용 재편, 노조기구 수용, 국가기구 확장)


○ 핵심은 ‘생산적이고, 자율적이며, 창조적인’ 주체형태를 생산하려는 문화정치적 관심으로 귀결. 자발적이고 고몰입적인 주체 형성이라는 문화적 기획으로 표출


○ 항상적인 정리해고 가능성은 실업의 공포를 직접,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잔업’이나 감독직 눈치보기 등으로 해로운 노동규율 유형들이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노동시간은 작업준비 시간과 잔업 강화로 인해 한층 연장되고 있다. 생산적 복지는 실업자들의 노동할 의사를 강화시키기 위한 장치일 뿐 아니라, 살아남은 비실업자들에 대한 노동강도와 노동 규율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로 활용됨. 이는 활동가들에게도 적용되어 회사측의 시도방관, 단협의 ‘자발적’ 개악혐의에 연루


○ 시장전제적인 현 시기에 필요한 것은 현장에 기반을 둔 노동조합 및 활동가들에 의한 작업장 규제력의 회복


○ 노동력의 일상적 재생산 과정에 대한 정치, 이데올로기적, 문화운동적 개입이 요구되는 시기. 가족주의 및 유사 가족주의, 노동물신주의, 가부장제 및 조직의 극복을 지향하는 노동의 문화정치운동적 개입들로서, 노동자들의 신체 및 건강, 독자적인 시간 기획과 노동시간 단축운동, 독자적인 시공간 확보 노력, 가족, 여성, 육아, 교육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제도 확보 노력, 이것들을 지역사회, 환경, 국가의 문제로 확대시키는 전략의 문제, 연대와 결연의 문화 창출 노력, 독자적인 생활기획 등 노동자 민중의 독자적이고 인간적인 생활권의 주장에 이르는 엄청나게 다양한 문화, 예술운동 상의 개입의 지점



접근해야 할 영역 또는 분석해야 할 범주라고 생각되는 것들...


○ 자본의 이데올로기 유포 과정과 영향

- 다양한 형태의 교육, 광고, 사보, 슬로건, 선전물 등

- 패러다임적 변화에 준하는 경영철학의 변화

- 이에 대한 노동자들의 기억


○ 보편적 이데올로기 유포 과정과 영향

- 주되게 접하게 되는 대중 문화

- 그 속에 그려지는 노동자·민중의 삶에 대한 판단

- 문화와의 접합 지점에서 주되게 가지게 되는 생각·문제인식


○ 노동자들의 일상 재구성

- 아침부터 밤까지 하루 일과의 기술

- 주말과 쉬는 날, 퇴근이후의 활동에 대한 분석과 변화 양태의 사적 정리

- 활동가들의 일상과 가정생활

- 활동가들의 주된 고민의 변화, 갈등


○ 시공간에 따른 인식 분석

- 구조조정 시기

- 임단협 및 파업에 대한 인식 및 참여. 실천 양태

- 각종 선전물에 대한 인식

- 기억에 남는 투쟁의 사적 분석과 각각의 사건에 있어서 노동과 자본에 대한 평가


○ 현실적 또는 추상적 위협

- 고용불안에 대한 생각

- 노후화 대책

- 주된 걱정거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26 10:38 2005/04/26 10:38
TAG :

About

by 해미

Notice

Counter

· Total
: 425631
· Today
: 83
· Yesterday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