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5/06

10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5/06/30
    보드리야르에 관한 신문기사를 읽다가
    바보새
  2. 2005/06/24
    언어란 힘의 한 요소이다(1)
    바보새
  3. 2005/06/24
    총알은 총구를 향한다
    바보새
  4. 2005/06/22
    단순한 것에는 힘이 있다
    바보새
  5. 2005/06/21
    <힘>에 대한 관심
    바보새
  6. 2005/06/17
    계급은 노자간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바보새
  7. 2005/06/16
    '노동의 쇠퇴'에는 ...
    바보새
  8. 2005/06/15
    브로델의 국가
    바보새
  9. 2005/06/13
    가라타니 고진이 말했다.
    바보새
  10. 2005/06/13
    케인즈경제학의 성격
    바보새

보드리야르에 관한 신문기사를 읽다가

6/30, 2005

 

1. 내가 모딜리아니의 그림을 좋아하는 것은

   순전히 '뒤틀린 관능미' 때문이다. 혹은 데포르마숑 탓이다.

 

2. 그렇지만 "사진은 왜곡을 밥먹듯 하는 매체다", "사진은 아무 것도 아니다"

   보드리야르의 가상현실에 대한 지적은 '그 무엇'에 관한 또 하나의 일깨움을 준다.

 

3. 그렇다면 뭐가 현실일까. 눈에 보이는 것, 혹은 귀로 듣는 것? 아님 그 이상인가.

   현실의 부조리는 또 뭘로 재단해야 하나? 최민식의 사진을 한번 더 봐야지

 

- 보드리야르에 관한 신문기사를 읽다가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언어란 힘의 한 요소이다

 

6/24,  2005

 

언어란 '사고의 집'이라고들 하지만

기실 언어란 힘의 한 요소이다.

 

종종

언어가 폭력이라고 느끼는 것은

그것이 주는 단순함에 기인한다.

그와 동시에

언어는 <힘>을 드러낸다.

 

- 비트겐슈타인 관련 서평을 읽다가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총알은 총구를 향한다

6/24,  2005

 

총알은 오로지 총구로만 향한다

칼이 겨눠야 할 곳은 상대방의 심장이다.

 

총칼의 미덕은 단순함에 있다

그래서 총칼은 힘이 세다

 

- 케테 콜비츠의 <전쟁은 이제 그만!>을 다시 떠올리며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단순한 것에는 힘이 있다

6/22,  2005

 

단순한 것은 힘 그 자체다

또한,

단순화시키는 것은 힘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힘>에 대한 관심

자연과학의 열역학, 유체역학도 그렇고

사회과학의 권력(힘), 역관계 개념이 그렇듯이

양대 과학에서 공통적인 것 가운데 하나는 <힘>에의 관심이다.

 

국가라는 말에서 떠오르는 것으로는

군대, 감옥, 청와대, 권력, 대통령 뭐 이런 이미지가 대부분이다.

결국, 국가의 본질도 힘에 있다는 말이렷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계급은 노자간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노자간에만 그러니까

노동자계급과 자본가계급만 있는 것이 아니다

 

남성과 여성간에도 계급은 존재한다 .

교육자와 피교육자간에도 계급은 존재한다.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그런 것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동의 쇠퇴'에는 ...

브레이브만의 '구상과 실행의 분리' 규정은 다시 보아도 탁월하다

그가 말한 '노동의 쇠퇴'에는

숙련의 쇠퇴,

산업프롤레타리아트의 쇠퇴는 물론

계급투쟁의 쇠퇴까지 함의하고 있었다.

 

계급투쟁의 쇠퇴에까지 동의를 표하기는 어렵지만

어쨌거나 그의 영감넘치는 계급적 상상력을 되새김질 해 볼 것!

 

- 브레이브만의 노동과 독점자본을 다시 보면서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브로델의 국가

 

 

국가는 "공공선의 이름으로 개인들을 억압할 권리를 가졌다."

그러므로 국가가 주먹을 휘두르고, 복종시키기 위해서 협박을 가하는 것은 자신의 직분을

다하는 것이다.

 

- 브로델(1996),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1, 737쪽에서 -

 

*  그의 유통중심적, 계서제적 자본주의관은 매우 독특하다.

   사회란 생산과 소비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내 생각에 비추어 본다면 ...

   동의하기 어렵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국가에 대한 관념은 정곡을 찌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가라타니 고진이 말했다.

 

 

 

가라타니 고진이 말했다.

"실현가능한 코뮤니즘은 분명 존재한다"

 

* 그러나 나는 그것이 아나키즘적 코뮤니즘이라고는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또한 그는 권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서 우연성 즉 제비뽑기를 도입하자고 했다. 

제비뽑기를 통한 권력자의 결정은 승계 문제도 파벌문제도 생기지 않을 것이다.

매수행위도 의미가 없다.

 

* 썩 괜찮은 발상이다.(6/13)

 

- 가라타니 고진과의 대화(녹색평론,2002) 를 읽다가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케인즈경제학의 성격

케인즈경제학이 제시한 소비와 고용은 맑스경제학에서 보정적 성격을 갖는다. 고전파 경제학 비판에도 불구하고, 맑스의 <자본> 또한 자본축적을 핵심적으로 분석하고 있기 때문이다(6/13).

 

-  윤소영(2005)의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을 읽으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