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함다~^^ 그러게요.. '근대화(내지 자본주의적 성장)'를 덮어놓고 금이야 옥이야, 어쩔 수 없는 차악이야 하는 발전주의 노선 자체의 해악이 갈수록 공공연해지는 마당에, 이런 노선 자체를 문제화하질 못하다 보니 그런 거란 생각이 듭니다. 복지의 기본을 발전주의의 보완으로 삼는 한에서야 그게 아무리 역동적이라 한들, 무척 세련화되고 변주된 발전주의 뿐일 테니까요. 폴라니가 자기조정적 시장, 근까 요즘들 한창 살려야 한다는 '시장경제'야말로 유토피아적 몽상이라고 했던 것처럼 말이죠. 장기 비전 면에서, 능동적 복지 개념이 기실 이 시장의 외부가 아니라 엄연히 내부라면 이 복지의 미래도 뭐.. 폴라니의 결론을 따라가는 걸 테고요.
만약 '복지'란 말이 적극적 의미 내지 실질적인 폭발력을 지니려면, 이런 발전주의 노선을 국지화시켜버릴 사회정치적 힘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쓰여야잖겠나 싶네요.. 결국 복지 담론 중에서 제일 좋은 얘기들만 조합한단 식의 접근으론 안 되겠죠. 노동자-주민들의 자기결정권과 자기조직화를 형성, 강화하는 방법 내지 정치의 일환으로서 다뤄야 한달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