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근 논설위원의 글은 시니컬하게 들리기도 하지만 명료하다. 그래서 나는 경향신문에서 이대근 논설위원의 글은 빠지지 않고 읽는다. 지난3월 나토의 리비아 공습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리비아 공습은 옳았다"(경향신문, 2011년 3월 30일)를 제외하면 나는 대체로 이대근 논설위원의 글에 동감하는 편이다. 이대근 논설위원의 이 글이 머리에 떠오른 건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통합이 사회적 이슈가 되었을 때 당시의 상황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이대근 칼럼]유시민, 떠나든가 돌아오든가(경향신문, 2011-05-05)
유시민은 열렬한 파병 반대파였다. 그래서 2003년 3월 “반전평화의 길을 밝히는 거대한 횃불을 만들자”며 이라크 파병 반대운동을 호소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노무현 대통령은 파병을 결정했고 열린우리당은 갑론을박했다. 어느 날 비공식 의총. 유시민은 정부와 대통령이 파병을 결정한 만큼 당론으로 찬성해야 한다며 김근태 원내대표를 압박, 파병 당론을 채택하게 했다. 그 때문에 파병반대 개인 성명까지 냈던 김근태였지만 2004년 2월 국회 표결에서 찬성해야 했다. 그러나 유시민은 반대표를 던졌다. 그런 그가 4개월 뒤 “사람 하나(김선일씨) 죽었다고 파병철회하는 나라가 어디 있느냐”며 파병지지 입장으로 선회했다. 그러나 6개월 뒤 추가 파병안 표결에서는 반대했다. 그 1년 뒤 파병 연장안 때는 찬성했다.
그는 열린우리당·민주당 합당론에 대해 “싫다는 상대에게 계속 결혼하자고 우기는 것은 지극히 부적절하다”고 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싫다는 대연정에 대해서는 “열 번도 찍어 보지 않는 것은 나무꾼의 도리가 아니다”라고 했다. 그전에 “한나라당, 조선일보가 반대하는 것이면 다 가치 있다”고 말한 그였다. 2002년 대선 때 권영길 후보 지지자에게 노무현 후보를 찍어달라고 호소했으나 노 후보가 당선되자 “민주노동당 표는 그리 영향력이 없었다”고 했다. 2004년 총선 때는 “민노당 후보 찍으면 사표 된다”고 주장, 민노당이 반발하자 “다른 당으로 가는 표를 모으는 것은 당연한 권리”라고 말했다. 그러나 작년에 “민노당이 민주당보다 성숙한 정당 같다”더니 최근에는 “동지는 (민주당보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에 많다”고 했다.
줄타기 정치로 자주 입장 바꿔
유시민에게는 신념의 정치인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강한 확신을 갖고 자기 생각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남다른 능력 덕이다. 그것은 그가 무엇을 하든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준다. 그러나 이렇게 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의 말과 행동의 연속선을 따라가 보면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물론 정치하면서 시종여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반드시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도 없다. 그러나 그는 너무 중요한 시기에 너무 중요한 문제를 너무 자주 바꾸었다. 노무현 정부 때만이 아니다. 그는 대선 직후 민주당 인기가 바닥일 때 대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그러나 선거에서 떨어지자 “낙선하더라도 몇 십년 만에 맺은 대구지역과의 인연을 바꾸지 않겠다”고 한 약속과 달리 몰래 주민등록을 옮겨갔다. 그리고 노 전 대통령 사망으로 추모 분위기가 뜨자 국민참여당을 창당, 서울시를 노렸으나 여의치 않자 경기도로 바꿨다.
유시민의 과거만이 아니다. 미래의 행적도 복잡해 보인다. 그의 대선전략은 만만한 군소정당을 묶어 비민주 단일후보가 된 뒤 민주당과 단일화하는 것이다. 그가 이런 줄타기를 마다 않는 이유는 딱 한 가지, 그 방법 아니면 대통령 후보가 될 전망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줄타기는 민주당과의 끊임없는 분란을 의미한다. 민주당과의 통합론이 나오지 않게 틈나는 대로 민주당을 자극하고, 진보가 아니면서 진보 통합에 참여하고 이들을 끌고 민주당과 건곤일척의 벼랑 끝 단일화 협상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민주당과 대립하면서 민주당 표를 모아 대통령 되겠다는 이 역설과 모순의 전략이 얼마나 사람을 지치고 짜증나게 할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건 정권교체를 바라는 시민을 롤러코스터에 태우고 현기증 나는 고위험의 묘기 대행진을 해보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그는 이미 대선·총선·지방선거·재보선의 크고 작은 모든 선거에서, 대구·경기·김해을의 모든 지역에서 졌다. 특히 단일화라는 유리한 조건에서, 다른 야당 후보는 잘도 이기는 선거에서 전패했다. 외곽 때리기의 정치적 효용성이 끝났음을 의미한다.
분란의 정치 버리고 ‘통합’ 나서야
그래도 계속 밖으로 돌겠다면 그는 점차 잊혀져가는 운명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느니 깨끗이 정계 은퇴하는 게 낫다. 그의 재능을 필요로 하는 곳은 많다. 만일 은퇴를 원치 않는다면 새로 시작하는 길밖에 없다. 분열과 갈등으로 한 줌의 지지자를 결속시켜 생존해가는 것은 한국정치를 위해서 좋지 않다. 물론 한국정치가 살기 위해 유시민이 죽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한국정치와 유시민 모두 사는 길이 있을 것이다. 민주당으로 돌아가라. 기교·임기응변·감각 이런 것 믿지 말고, 혼 하나만을 붙잡고 정면 승부해 보기 바란다. 그들의 마음을 훔쳐보라. 결단을 기다리겠다. 정계를 떠나든 민주당으로 돌아가든 다 괜찮은 선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