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연재소설<살아남은 자를 위...
- 최선을 다하는 자유
- 2005
-
- 이주노동자 결의대회를 다녀...
- 최선을 다하는 자유
- 2005
-
- 살아남은 자를 위한 변명 - ...
- 최선을 다하는 자유
- 2005
-
- 살아남은 자를 위한 변명 - ...
- 최선을 다하는 자유
- 2005
-
- 386세대에 대한 분석
- 최선을 다하는 자유
- 2005
“매일 4명씩 떨어져 죽고, 깔려 죽고” | |||||||||||||||||||||||||||||||||||||||||||||||||||||
노동부, 산재사망 줄이기 대책 마련 나서 | |||||||||||||||||||||||||||||||||||||||||||||||||||||
노동부가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를 줄이기 위해 다음달 중으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등 적극 나설 방침이다. 특히 노동부는 업무상 질병에 따른 사망재해에 비해 단기간 내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업무상 사고에 따른 사망재해 줄이기에 우선 초점을 둘 계획이다. 3일 노동부에 따르면 업무상 사고에 따른 사망자수가 지난 99년 1,456명, 2000년 1,414명, 2001년 1,551명, 2002년 1,378명, 2003년 1,533명, 지난해 1,537명 등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매년 하루에 4명씩 죽어가는 셈이다.<표참조>
우리나라의 업무상 사고 사망만인율(노동자 1만명 당 사망자수)은 1.47로 미국 0.60, 일본 0.33, 독일 0.29 등 다른 나라(2001년 기준)와 비교할 때 최대 5배 정도 높게 나타나고 있어 상황이 심각하다. 특히 업무상 사고의 상당수가 추락, 감전, 협착, 낙하 등 재래형 산재라는 점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이유이며 건설업(42.9%)과 제조업(25.1%)이 전체 사고의 68%를 차지하고 있어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들 업종의 예방대책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노동부는 “지금까지 사고를 유발한 사업장에 대해 사법처리, 영업정지 요청 등 사후규제 위주로 사망사고 예방노력을 유도했으나 일정한 한계가 있다”며 “사고가 다발하는 사망재해에 대해 근본적인 사고원인을 찾아내 개선토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노동부는 양대 노총, 학계, 재해예방단체 전문가 등 약 20명으로 구성된 ‘사망재해감소대책 T/F팀’을 3일부터 가동시켰다. 대책팀은 사망사고 다발작업에 대해 현행 제도 개선사항을 마련하는 등 종합적인 대책을 4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 |||||||||||||||||||||||||||||||||||||||||||||||||||||
김소연 기자 dandy@labortoday.co.kr | |||||||||||||||||||||||||||||||||||||||||||||||||||||
![]() ![]() ![]() | |||||||||||||||||||||||||||||||||||||||||||||||||||||
2005-03-03 오후 4:30:13 입력 / 2005-03-03 오후 5:36:04 수정(1차) ⓒ매일노동뉴스 |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