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fisher & picnic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villag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villag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bridge

        이 다리는 네팔에서 강 위에 사람 다니는 다리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anapurna himalaya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villag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추억에 낳머잇는 명동성당

명동성당 은 이주노동자의 고양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서울 경기 인천 이주노동자 노동 조합 위원장 (안와르) 동지


“더 많은 지원과 연대를 바랍니다”


지난 5월 17일 청주 외국인보호소에 수감돼 있는 아노아르 동지를 면회했다. 아노아르는 연행 과정에서 당한 부상 때문에 몸이 매우 불편했는데도 우리를 환하게 맞아주었다.


“이것은 완전히 표적 연행이다. 정부는 나 개인을 탄압한 것이 아니라 이주노조를 탄압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불법체류자들이 노조 만들 권리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어디를 가든 우리 노동자들에게는 노조를 만들 권리가 있다.

이주노조는 합법·불법을 떠나서 함께 투쟁한 사람들이 만든 노조이다. 정부가 인정하지 않아도 우리는 계속 싸울 것이다.

나를 잡아 가두고 추방을 시켜도 우리 조직이나 운동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연행당하기 전에 우리는 연대 단체들과 함께할 계획들을 세우고 있었고, 이주노조를 힘있게 세우기 위한 활동들을 막 시작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연행된 것이 너무 안타깝지만 내가 연행된 뒤에도 새롭게 나서고 있는 동지들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힘을 얻었다.

나는 여기서 끝까지 싸울 것이다. 나를 본국으로 추방해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한국에서 우리의 투쟁이 승리하는 것을 꼭 볼 것이다. 그 때까지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이 곳에서 하루 종일 밖에 있는 동지들에게 전화를 건다. 동료들에게는 기운 빠지지 말고 힘내서 투쟁하고 단결하자고 호소한다. 그리고 연대 단체 활동가들에게는 우리 투쟁을 지원해 달라고 호소한다. 더 많은 지원과 연대를 바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맑스와 함께* vs 맑스를 넘어

“맑스와 함께” vs “맑스를 넘어”
[맑스코뮤날레](전체주제) - 맑스주의 둘러싼 쟁점, 3주제 5섹션 진행
맑스꼬뮤날레취재팀 
“맑스, 왜 희망인가?”라는 화두로 열린 제2회 맑스코뮤날레는 1, 2, 3부의 전체주제로 나뉘어 진행됐다.


제1부 “맑스의 코뮤니즘, 어떻게 가능한가?”는 서관모 충북대 교수의 사회로 자율평론의 조정환 연구자와 빛나는 전망의 황선길 연구자는 공산주의와 삶의 정치, 평의회 공산주의에 대해 발표하고 논의하였다. 조정환 자율평론 대표는 “맑스에게서 현재의 운동으로서 코뮤니즘과 미래의 사회 형태로 제시되는 코뮤니즘 상을 발견할 수 있는데, 탈근대의 상황 속에서 다중의 새로운 삶 정치로서의 코뮤니즘을 운동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황선길 연구자는 “평의회 공산주의의 대표적 이론가인 판네쿡과 코르쉬의 입장을 재조명하면서 정당하게 평가되지 않았던 평의회 공산주의의 의의를 밝혔다.


제2부 “맑스와 함께/너머”는 맑스코뮤날레 행사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모은 토론이었다. 플로어를 가득 메운 참석자들이 다양한 질문과 비판을 냈지만 정해진 시간 상의 이유로 논쟁과 대립의 각이 예리하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 먼저 박영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연구자는 ‘모순의 변증법’이 ‘차이의 철학’으로 역전되는 속에서 포스트적 담론이 권력의 문제를 정치학적 접근이 아닌 윤리학으로 만들어가고 있는 상황을 비판하고 “적대 정치학에 기초해서 차이의 정치학의 문제의식을 포괄해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진경 서울산업대 교수는 거꾸로 “대립 이전에 차이가 존재한다”며 차이의 정치학, 새로운 구성의 정치학을 기본입지로 적대의 정치학과 함께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2부 두 번째 순서로 박주원 이화여대 교수가 오웬과 푸리에의 코뮨 실험들을 짚어보면서 “이들의 문제의식, 자본과 국가가 아닌 다른 시선으로 살아가고자 했던 여러 시도들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시사 받을 점들이 있다”고 말했다. 홀거 하이데 전 독일 브레멘대 교수는 맑스의 위기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노동사회로부터의 해방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지 모색했다.


제3부는 “맑스와 현 시기 한국의 좌파운동”이란 주제 하에 다양한 논의들이 오갔다. 특히 3부의 경우 현 정세에 대한 공통의 고민 속에서 발표자들의 각기 다른 주장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3부에서는 현대공동체운동, 한국 좌파 문화운동에 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현 시기 노동자대중운동과 좌파운동, 좌파의 합법 정치전술에 대한 논의까지 다양한 심급의 고민과 주장이 제출되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narendra & kajiman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