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맑스를 꼼꼼히 읽으면 훈고적?

[맑스 오해하기] 댓글이 길어져 새로 올리는 글.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라는 화두와 거기서 나온 여러 의견을 가지고 변혁을 모색한다는 취지에 동감해요. 진보 담론 포함해서 많은 경우에 어떤 책에 대한 해설을 읽고 그에 대해 다시 해설을 붙이는 경우가 많지요. 그리고 본문 내용 중 눈에 확 띄는 한 구절만 발췌해서 여기에 해설을 붙이고 여기에 다시 해설이 붙는 경우도 많지요. 모든 책을 다 읽을 수 없는 물리적 제한이 있기에 이것도 의미있는 일이지요. 그래서,


가끔 해설서나 발췌문은 도대체 어떤 맥락에서 씌였나 알아보고 싶을 때가 있지요. 시간의 제한 때문에 물론 이것도 다 가능한 것이 아니지요. 그래도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라는 저 유명한 말은 원전을 살펴보게 만들더군요.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라는 말에는 그 의식이 바람직한 의식인지 바람직 하지 못한 의식인지에 대한 가치판단이 없지요. 그런데 이것을 "모든 노동가는 저항의식을 갖는다" 로 바꾸는 순간에는 "모든 노동가는 억압을 깨려는 바람직한 저항의식을 갖는다" 라는 가치판단이 들어간 가설로 비약하지요. 너부리님, 리우스님, 몇 해 전 홍세화님 같은 분들이 말한 것은 바로 이 가치판단이 들어간 가설에 대한 비판이지요. 당연히 그런 비판과 취지는 타당해요. 그러나 이 가설을 맑스의 테제로 이해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해요. 맑스를 발췌 해설한 사람들의 테제는 될 수 있어도 맑스의 테제는 아니거든요. 이러면 어떻고 저러면 어떠하리 하고 말하면 할 말 없지많요. 맑스의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라는 테제는 "의식이 존재를 규정한다" 라는 관념론 테제에 대한 유물론적 반격이지요. 풀어말하면 "의식, 언어, 생각 등이 먼저 있고 그것들이 사람들의 삶을 만들어 나간다" 라는 관념론 주장에 맑스는 "아니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과정에서 의식, 언어, 생각 등이 생긴다" 라고 말하고 있죠. 맑스의 테제를 비판하려면 유물론의 오류를 지적하고 관념론을 타당성을 논증하거나 아예 폭을 넓혀 서양철학의 관념/물질, 본질/현상, 의식/존재 등에 대한 비판, 혹은 유물론, 관념론 2분법에 대한 비판으로 나아갈 수도 있지요. 맑스의 텍스트를 우리 상황에서 재해석하고 비판하고 변혁의 도구로 써야하지 텍스트를 우상화 하면 안 된다는 논지에는 모두 동감할 거에요.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텍스트를 꼼꼼히 읽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요? 물론 다 읽을 수는 없지만 적어도 중요한 테제가 나오는 부분만이라도요. 텍스트를 꼼꼼히 읽는 일이 그 텍스트를 무비판적으로 신봉하는 일과 같은 건가요? 맑스 해설, 발췌문에 대해 의문을 갖고 문맥을 꼼꼼히 살펴 보는 일이 훈고학적이고 교조적이고 망해가는 방식이고 독선적일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