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그랬다지요. 다른 당 후보도 아니고, 자기 당 후보들이 재차 물었으니 짜증도 났겠지만. 가뜩이나 과거를 망각한 채 되레 힘을 키우고 있는 일본에게 우리 정치권이 과연 따가운 일침을 던질 자격이 있는지 걱정인 판에. “과거에 모두 사시네요.”

 

하워드 진은 조지 오웰의 말을 빌러 이렇게 얘기합니다.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자들이 곧 역사를 기술할 수 있는 위치에 선다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그들이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우리의 미래까지도 결정할 수 있다. 콜럼버스에 관련된 역사를 논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이다.” 잔혹한 20세기 미국의 현재 모습을 바로 이해하기 위한, 그리고 미국이 어떤 미래를 만들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바로 콜럼버스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박정희’에 대한 물음은 단순히 과거에 어떤 일이 있었는가 하는 ‘사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민주화가 완성됐다는 지금, 우리 사회의 모습을 똑바로 이해하기 위해서, 그리고 21세기 한국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어떤 답을 찾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인 것이지요.  

 

그러니 아무리 같은 당 후보였지만 5.16에 대해 던진 질문에 저런 식으로 답해선 안 될 것이었습니다. 물론 김문수나 임태희 같은 사람들과 현재 한국사회를, 미래를 두고 논쟁을 벌인 건 아니었겠지만. 오히려 지난번에 “역사관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서로 존중하고, ‘이것은 결국 국민 판단 몫이고 역사의 몫이다’라고 하고 우리가 맡은 사명에 대해 충실히 노력할 때 오히려 통합이 이뤄진다.”라고 했던 말보다 더 후퇴를 했으니. 오히려 하워드 진이 명확히 지적하듯(?) 역사란 철학과 사상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절대 객관적일 수 없다는 걸 지적하며 치고 나갔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역사 공부를 시작하는 그 순간, 넘쳐나는 정보 중에서 특정 부분에 해당하는 정보를 얼마만큼 넣고 뺄 것인가를 선택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기까지 그렇게 오래 고민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선택은 자신의 관점에 따라 이루어지며, 모든 역사가와 역사 연구는 어떤 관점이 있습니다. 단순한 ‘사실’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p.105

 

“역사 연구는 곧 무엇이 중요한지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무엇이 중요한가는 실제로 현재 우리의 관심이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p.112

 

“역사는 수많은 사실들에서 선택하는 것이며,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따라 선택을 하게 됩니다. 역사는 객관적일 수 없습니다.” p.281

 

아버지 박정희 후광으로 여당 대선후보에까지 오른 박근혜에게 5.16은 대선이 끝나는 날까지 따라다닐 겁니다. 그것도 박근혜 후보 자신이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든 얼렁뚱땅 넘어가든 말이지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문제가 박 후보에게나 다른 대선 후보들에게 모두 좋은 공격 수단으로, 아킬레스건 정도로 생각돼서는 안 됩니다.     

 

앞서 하워드 진으로부터 배웠듯이 이 문제는 역사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배울 것이며 어떤 미래를 만들어 갈 것인지 분명하게 답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또 콜럼버스와 박정희가 여전히 영웅으로 떠받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이기도 하니까요.

 

“콜롬버스를 20세기 기준으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이런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나는 기본적인 도덕률은 20세기이든 15세기이든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p.27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9/04 13:31 2012/09/04 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