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일본이 결국 후쿠시마를 포기했다고 합니다. 도저히 어찌할 방도가 없다는 걸 인정한 셈인데요. 20여 년 전 체르노빌을 떠올리자면 너무나 당연한 반응일지도 모릅니다. 다만 거짓말에 거짓말로 사건을 축소하고, 또 위기를 넘길 수 있을 것처럼 말해왔던 건. 핵발전을 포기하기 쉽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겁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정부도 첨단과학기술을 제쳐놓고 편서풍을 죽어라 외쳤던 건. 그래요. 마찬가지로 핵발전 정책을 포기하기 싫어서였겠지요. 난데없이 등장한 전력난이 여름을 지나 겨울에까지 계속되고. 한국형 원전은 다르다며 새삼 안전성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며. UAE에 이어 터키, 요르단, 인도까지 언급하며 원전 수출을 외치는 것들 말입니다. 그래도 아무리 편서풍 때문에 안전하다 해도 말이지요. 이쯤 되면 그야말로 ‘닥치고’ 원전 수준인데. 그 꼴을 보고 있으려니.
 
타산지석(他山之石) 
 
난데없이 이 말이 떠올랐습니다. 아마 얼마 전에 읽은. 독일이 어떤 과정을 거쳐 핵 발전을 포기하고 재생가능에너지로 전환을 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찾아서>란 책 때문이었을 겁니다. 책에는 독일의 정책전환 과정에서 체르노빌이 등장을 합니다. 물론 체르노빌이 결정적인 전환의 계기가 된 건 아니라고 하지만. 인식의 변화, 이미 시작된 전환의 물꼬를 확 열게 한 것은 분명하다는 걸 알 수 있지요.
 
그리고 그런 변화는 독일뿐만이 아니었습니다. 말하자면 전 유럽적으로 반핵, 재생에너지 열풍이 분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아무리 안전, 안전하다고 해도 단 한 번의 사고로 전 유럽이 세계대전 이후 가장 끔직한 공포와 충격에 빠졌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그 와중에서도 거꾸로 가는 나라가 있었으니. 후쿠시마 사고 때 호들갑을 떨었던 프랑스가 바로 그렇습니다. 일본이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지만 사고 발생 직후부터 핵 강국 미국을 제치고 더 관심을 보였던 핵 발전 강국 프랑스 말입니다. 지금도 프랑스는 꼭 어느 나라마냥 핵 발전을 포기하기보단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길을 걷고 있으니.
 
어째 얘길 하다 보니 독일이 어떤 과정을 거쳐 풍력, 태양열, 지열,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을 했는지가 쓰여 있는 책 소개보다는. 과거에 있었던 일을 앞으로 나갈 방향으로 삼지 않고 있는 두 나라에 대한 얘기가 됐습니다. 허나, 뭐 어떻습니까. 내용이야 직접 책을 읽어보시면 될 것이고. 덤으로 옳은 길이 어떤 길인지도 알 수 있으니 제쳐놓고. 반성은커녕 아니 되려 위험과 죽음의 재가 뒤덮인 길로만 가고자 하는 이들이 있으니. 무엇보다도 제대로 꼬집어주고 회초리를 들어야 하는 게 지금으로선 더 시급한 일이니.   
 
타산지석(他山之石)
 
이 옛말을 꼭 좀 들려줘야겠습니다, 그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29 20:36 2012/01/29 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