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5/03/09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5/03/09
    인터넷 신문 <대자보> 서평(2)
    종이거울

인터넷 신문 <대자보> 서평

 

 

 

 

 

 

 

 

 

 

 

 

최민식 사진글, 현문서가, 2004

 

 

 

인간의 진실, 현실, 그리고 사진

-[종이거울 속의 슬픈 얼굴]에 대한 짧은 서평

 

 

아우슈비츠의 참상을 언어로 되살리며 독일 시인인 파울 첼란은 <진실로 말하는 자는/어둠을 본다>(『죽음의 푸가』 중)고 했다. 인간 카니발리즘의 정점에 선 시인의 감수성은 고통을 통해 지옥이 도래했음을 단박에 깨쳤을 것이다. 그리고, 그 지옥의 집정관들이 현실을 냉혹하게 집행하고, 또 다른 방관자들이 피해자들로부터 등을 돌릴 때, 예술은 고통스럽게 일그러진 모양으로 그 당사자들을 불러 세우는 법이다. 현실은, 따라서 어느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 더구나, 그것이 고통과 가난과 죽음의 현실일 때는 더 그렇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어느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누구보다 그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 우리들 자신이라는 것을 말이다. 현란한 자본의 거리에서, 또는 시시각각의 정보들 속에서, 바쁘게 뛰어가는 일상 속에서 말이다. 우리는 달리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사는 데 너무 익숙하다.

 

최민식은 그런 우리들의 비겁한 패배주의에 직설적으로 말을 건다. 아니 다가와 단숨에 목을 잡아챈다. 이럴 경우 완곡하게 에둘러 충고하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것을 그는 안다. 사진이 곧 그렇기 때문이다. <사진은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고 할 때, ‘거짓’은 하루에도 수 천 수 만 장이 소비되는 광고 전단지 속의 예쁜 배우들의 몸매와 얼굴을 말하고자 함일 것이다. 하긴, 사진 자체가 리얼리티는 아니다. 그러나, 사진은 리얼리티를 존중해야 한다. 그것이 기본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리얼리티는 어디 있을까? 최민식은 그것이 주로 얼굴에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환하게 웃는 어린애들로부터 일에 찌든 노동자들의 피로한 얼굴과 세월의 강이 흐르는 노인들의 주름살에 이르기까지, 얼굴은 인간적 개별성이 첨예하게 표현되는 리얼리티의 장소다. 그리고, 최민식은 그 장소에서 벌어지는 표정의 사건들 중에서 가장 환하게 드러나는 사건을 포착한다. <빛과 인물과 풍경이 하나가 되는> 그 지점. 최민식이 사진을 통해 기술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이것이 전부다. 따라서, 한국전쟁 종전 직후부터 지금까지 일흔 해가 넘는 시간 동안 그가 올곶게 추구한 것은 삶을 치장하는 기술이 절대 아닐 것이다. 삶의 본성은 ‘벌거벗은 것’이다. 완전한 ‘날것’으로서의 삶, 그 순간이 바로 삶의 절정이며 사진의 리얼리즘이 담아야할 최고의 순간이며, 그것으로 충분하다.

 

가난한 사람들, 불구인 자들, 고아와 노숙자들. 최민식의 사진이 놀라운 것은 이들의 시선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것이다. 우리는 그럴 수 있는가? 철학자 레비나스는 세상의 가장 밑바닥에 있는 이들의 시선이야말로 가장 존귀한 타자의 시선이며, 우리는 그 시선을 똑바로 대할 때 신성하고 초월적인 윤리적 경험을 겪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는 일상 속에서 그렇게 하지 못한다. 비참한 자들의 시선을 피해간다. 그들이 어떤 위해를 가하지 않을까 불안해하며, 짐짓 경원시한다. 위선인 것이다. 사진은 위선을 참아낼 수 없다. 그들, 민중들 중에서도 가장 가난하고 불행한 자들의 시선은 최민식과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그대로의 모습일 것이다. 여기에 최민식의 현실인식과 사진에 대한 역사적 책무라는 것이 놓인다. 이쁘고, 보기 좋은 것을 담아내는 사진은 사진의 본령이 아니라고 그는 말한다. 그리고, 참 무던히도 흑백의 이미지만을 찍는다. 색깔이 아닌 명암이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서 있는 민중들의 의식을 표정으로 포착하는 데 긴요하다. 만약, 사진이 이 본래의 책무를 망각한다면 사진은 죽는다. 아무리 색감이 뛰어나고, 보기 좋다 하더라도 그것은 죽은 이미지만의 잔치일 뿐이다. 역사의식과 민중에 대한 애정과 사려가 담기지 않은 것은 최민식에게 ‘상업사진’일 뿐이다. 그리고, 화려한 기교와 초현실적인 이미지에 집착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시류에 따라 작가의식에 옷을 바꿔 입히는 짓을 마뜩찮아 하는 이 혈기왕성한 고령의 작가에게 중요한 것은 기교도 색감도 아니고, 그 철학의 깊이일 뿐일 것이다.

 

『종이거울 속의 슬픈 얼굴』에 실린 80여장의 사진과 그의 글들은 이와 같은 철학으로 보여지고 읽힐 수 있을 것이다. 난해하지 않고, 다만 ‘도발’하는 철학. 우리는 그 어떤 충격적인 사건이나 책에서도 느끼지 못하는 예술의 진정한 급진성(radicality)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파괴하지 않고 파괴하는 법을 최민식은 알고 있는 듯하기 때문이다. 궁륭을 날아다니는 예술은 숭고하지만, 삶의 모순에 도발하지 못한다. 그러나, 진창을 헤매는 예술은 어둠을 말함으로써 우리에게 ‘도발’한다. 그게, 누구도 따를 수 없는 최민식 사진의 고귀한 ‘권능’이다. - NomadIa

 

 

 

 

 

2005. 2.20 인터넷 신문
<대자보>에 게재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