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발견

/*

 

발견 : 하늘에서 본 지구 366,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새물결, 2003년 11월

Reflections On Our Earth

 

*/

 

시각은 확실히 청각보다 더 설득력을 가지는 것일까?

 

그림책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건, 고등학교 다닐 때 매달 홍역을 앓듯이 치뤄야했던 웬종일의 모의시험을 치고 나서였다. 난 어김없이 저녁도 거른 채 만화방에 죽치고 앉아 있었다. 물론 그리 재미있는 만화가 있었다고 기억되진 않지만, 보는 즐거움을 누가 말리리.

 

최근에 두권의 사진집을 찾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발견'이다.

 

사진작가는 수년간을 기구를 타고다니면서 황지우 시인이 '우주 기적'이라고 불렀던 '초록별 지구'를 들여다 보았다. 물론 사진동아리 친구들이 항상 아껴쓰던 값비싼 ASA Film으로 찍은 사진집이다. 366이라는 이름은 사진집이 짤막한 해설이 덧붙혀진 365일의 사진과 표지사진 1장 으로 구성되어서 인 것 같다. 물론 들고다니기에, 무거운 책이다.

 

수년간 위험한 기구를 타고 사진집에 실린 거의 모든 사진을 그가 만들어 냈으니, 얼마나 많은 열정을 쏟았을지는 상상에 맡기리라. 아름다움과 환경문제에 천착해서인지 어떤 사진은 그 화려한 천연색에도 불구하고 씁쓸한 기운을 느끼게 한다.

 

그런데 이 도무지 끝날 것 같지 않은 제3세계의 빈곤과 더욱 광폭해지는 환경파괴로 좀먹히는 지구라는 공간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어버린다. 사진집을 보는 내 눈이 '삐었던가'? 아님 머리가 멎어버렸기 때문인가?  그런데, 이 묘한 느낌이 그리 불편하지만은 않다.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제목
    그리운 지난 것 혹은 두려운 올 것로의 떠나기
  •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 설명
    아무 얘기나 써볼까라고 생각한 2004년 7월 27일이 처음이었다.
  • 소유자
    REDONE

찾아보기

Support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