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남미) 민중적 통합을 위한 코차밤바 선언문

코차밤바 남미국가공동체 정상회담과 민중회담

2006년 12월 8~9일, 볼리비아 코차밤바에서 남미국가공동체(South American Community of Nations) 2차 정상회담이 개최됐다. 1차 정상회담은 2004년 페루 꾸르꼬에서 개최됐는데, 이 때 남미국가공동체를 출범시켰다. 좌파 성향의 정권들이 주도한 남미국가공동체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의 지역통합을 지양하고, 대안적인 세계화(지역통합)를 추구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남미국가공동체에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기아나, 파라과이, 페루, 수리남, 우루과이와 베네수엘라가 참여하고 있다.
남미국가공동체가 개최된 시기에 남미 민중운동 진영은 별도의 민중회담을 개최하면서 공식 정상회담에 개입했다.

아래는 코차밤바 민중회담에서 나온 선언문(한글본, 영문본)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

코차밤바 선언문

우리는 코차밤바 민중회담으로 시작된 이 중대한 역사적 순간에 경의를 표한다. 코차밤바 민중회담은 민중의 이해관계에 의거한 지역통합의 과정을 심화시키겠다는 과제를 안고 개최되었다.

미주 민중들은 시장근본주의, 사유화와 자유무역을 기반으로 한 경제모델 적용으로 고통을 받아왔다. 이런 경제모델은 불평등 심화, 노동조건 후퇴, 실업, 비공식부문 노동 급증, 환경 파괴, 여성에 대한 차별 심화, 빈곤, 원주민 및 농촌 공동체 주변화, 개발 및 경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국가 역량 약화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정책을 확대하고 강화한다는 목표 하에 미주자유무역지대(FTAA)와 지역 자유무역협정이 추진되고 있는데, 그러면서 정부들은 인권, 사회권, 경제권, 문화권과 환경권이 존중되고 내수시장에 기반한 자율적인 개발을 위한 모든 노력을 방기하고 있다.

미주 민중들은 이 모델에 대항해 투쟁의 주체였으며, 무역과 초국적 기업의 이해관계를 우선시하는 FTAA와 국가 간 협정들을 결렬시키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점차 커진 남미 민중운동의 물결은 원주민 공동체와 소농들, 도시 빈민과 여성, 젊은이, 학생, 노동자들과 모든 사회운동 조직들을 포괄한다. 이들은 민중의 요구에 민감하고 미국 정부와 기업으로부터 거리를 두면서 자체적인 길을 모색하는 새로운 정부들이 집권해가고 있는 이 새로운 정치적, 사회적 순간을 만들어갔다. 지금 남미에서의 이 정치적 순간은 민중을 위한 진정한 주권적 통합을 향해 전진할 수 있는, 우리가 놓칠 수 없는 역사적 기회를 제공한다.

남미국가공동체는 기본 재화와 천연자원의 수출, 외채 부담과 불평등한 부의 분배에 기반한 자유무역 모델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안된다.

진정한 남미국가공동체 구성은 민중적 요구를 외면하는 과정이 되어서는 안된다. 그렇기 때문에 실질적인 사회적 참여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경쟁보다 협력이, 상업적 이해보다 민중의 권리가, 농산업보다 식량주권이, 사유화보다 사회적 안녕을 제공하는 국가의 행동이, 이윤에 대한 욕망보다 평등이, 천연자원에 대한 약탈보다 환경에 대한 존중이, 노동의 성별 분업보다 젠더 평등이 우선시 되는 다른 형태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원주민 공동체를 주변화하고, 착취하고, 이들의 가치, 경제와 전통을 민속상품으로 전락시킬 것이 아니라 이들의 가치를 존중하고 촉진해야 한다.

남미국가공동체는 평화를 촉진하고, 민중의 인권을 보장해야 한다. 제국주의적 음모와 군부대 개입, 외국군 부대 설립과 다른 나라 점령군으로 참여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남미국가공동체를 출범시키기 위한 노력은 발전의 방향을 바꿔내고 국가들이 주권을 수호할 때에만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미주 민중들은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통합을 계속 추진할 것이며, 자체적인 요구와 제안을 가지고 참여할 것이다.

우리는 실질적인 결과를 낼 수 있는 대화를 추진할 의향이 있으며, 민중운동이 통합하는 과정과 진정한 민주주의를 만들어나가는 과정, 그리고 우리 민중의 안녕을 추진하는 과정에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우리의 저항 투쟁을 지속할 것이다.

민중의 통합을 위해, 다른 아메리카는 가능하다.

 

~~~~~~~~~~~~~~~~

 

COCHABAMBA MANIFESTO


We salute this important historic moment which opens with the Summit of Cochabamba, which holds the challenge of deepening a process of regional integration which expresses the peoples’ interests.

The peoples of America have suffered from the application of an economic model which is based on market fundamentalism, privatisation and free trade, which has led to a growth in inequality, the deterioration of labour conditions, unemployment, the spread of informal-sector work, degradation of the environment, deepening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poverty, marginalisation of indigenous and rural communities and the loss of State capacity to promote development and economic policies.

With the aim of widening and deepening these policies, there were attempts to create the Free Trade Agreement of America (FTAA) and regional Free Trade Agreements, by which Governments abandoned any attempt at autonomous development based on the internal market which respect all human,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rights.

The peoples of the Continent have been protagonists of a struggle against this model, contributing decisively to stopping FTAA and agreements between countries which privilege trade and the interests of multinationals.

This growing organisation of popular movements in South America includes indigenous communities, small-scale farmers, marginalised inhabitants of cities, women, young people, students, workers together with all the social organisations. They have defined this new political and social moment which is advancing in the formation of new governments sensitive to popular demands, who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agenda of the US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nd who seek their own path. This political time which South America is living offers an historical opportunity, which we can’t miss, to advance towards a true sovereign integration for the peoples.

The South American Community of Nations can not be an extension of the free trade model based on the exports of basic goods and natural resources, indebtedness and the unequal distribution of wealth.

The creation of a real South American Community of Nations can not be a process which excludes popular demands, therefore it needs an authentic social participation.

We consider that we need another type of integration in which cooperation prevails over competition, the rights of its peoples over commercial interests, food sovereignty over agroindustry, the actions of the State in providing wellbeing over privatisation, a sense of equity over the desire for profits, respect for the environment instead of the looting of natural resources and gender equity rather than sexual division of work. We also must prioritise the recognition, respect and promotion of indigenous communities’ contributions rather than the marginalisation, exploitation and conversion into folklore of their values and economic and traditional traditions.

The Community must be a promoter of peace and a guarantor of peoples’ human rights; and against imperial pretensions, opposed to the interference of troops, the installation of foreign military bases and the participation of occupying forces in third countries.

The efforts to construct a Community of South American Nations will only bear fruit, if we change the type of development and defend the sovereignty of nations

The peoples of the Continent will continue to promote integration, by and for the peoples, participating with our own demands and proposals.

We are willing to promote dialogue which leads to real results, maintaining our struggles of resistance which ensure the protagonism of popular movements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promoting true democracy and well-being for our peoples.

For the Integration of the Peoples, Another America is possibl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