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중한번역

전리군(錢理群, 첸리췬) 선생님의 책을 번역하기로 했다. 구두 상 간접적으로 판권과 출판사 등의 문제가 어느정도 얘기가 되었다. 번역할 책은 올해 대만에서 출간 예정인 "모택동시기와 포스트-모택동시기(1949-2009): 또 하나의 역사서사"라는 책이다. 대만에서는 聯經출판사에서 출간할 예정인 것으로 알고 있다. 분량이 상당한데, 대략 계산해 보니 한글 신국판으로 약 1200페이지 정도 되고, 두 권으로 출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월부터 7월까지 상해에 머물 예정인데, 그 시간을 이용해서 초벌번역을 마칠 예정이다. 빠르면 9월 정도에 출간될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

 

한편, 한중 번역과 관련하여 중국어 고유명사 한글표기법과 관련한 기간의 논의에 대해 개인적 입장을 가질 필요성을 느낀다. 맹주억 선생의 논의는 현행 체계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 준다는 점에서 참고가치가 충분하다. 물론 한글 속의 한자의 위상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토론하지 않고 원음 표기를 지향한다는 점은 아쉽다. 결국 쟁점의 핵심은 양세욱 선생의 글에서 논의되는 한자의 위상의 문제(과거의 한글전용론과 일정한 관련을 갖는)이다. 한글전용을 전제한 상태에서는 자연스럽게 중국어를 외국어로 상대하고 그 한자를 탈각하고 외국어로서의 그 음성만을 취해 한글표기법에 포함시킨다. 문제는 한자가 단지 외국의 문자인 것만은 아니고, 한글의 유기적 구성부분이라는 점이다. 이는 한자가 문자언어로서 갖는 일정한 초국가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는 한글전용론과 중국어 원음표기 주장 속에서 이러한 한자의 초국가성이 민족주의/국민주의와 갈등적 관계에 있음을 본다. 

 

여하튼, 그동안의 혼란으로 볼 때 한자음표기를 대체하고자 하는 현행 표기법체계를 순순히 따를 수 없음은 분명하다. 한자음 체계로 되돌아가는 것은 이미 원음에 익숙하도록 변화된 상황에 있어 매우 어색하게 보일 수 있겠지만, 한자음 체계가 갖는 체계적 일관성, 언어적 경제성 등은 여전히 매력적이다.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 교육과 무관하다는 점은 다시 한번 강조되어야겠다. 모택동을 마오쩌뚱으로 표기한다고 한국인의 중국어 실력이 느는 것은 전혀 아니라는 점이다.

 

www.sinology.or.kr/srcll/html/conference/files_81/2-맹주억W.pdf

www.sinology.or.kr/srcll/html/conference/files_81/5-양세욱W.pdf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