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보운동

정보운동이 도대체 무엇인지 새삼 궁금해졌다. 내가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지 새삼 모호해졌다. 옛 자료들을 뒤적였다. 그리고 찾아 낸 것들. 한동안 잊고 있었던 것들.
아직 우리나라의 진보운동 진영은 변변한 자신의 통신수단 혹은 네트워크 수단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사회단체들은 상업적인 통신망에 자신의 근거지를 마련하고 있지만, 자본에 의해 끊임없는 장애를 받기도 하고 기본권의식이 약한 국가당국으로부터 검열의 위협을 받기도 하여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쉽지가 않습니다. 게다가 각자가 여러 상업통신망에 뿔뿔이 흩어져 있어 대중이 접근하기가 또한 쉽지 않습니다. 이제 우리나라의 사회운동도 서로 힘을 모아 정보통신 공간에서 자신들의 실체를 드러낼 수 있는 전략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통신 네트워크는 단지 자료의 전달 수단이 아니라, 사회운동을 보다 활성화하고 단체사이에 소통과 연대를 확장할 수 있는 시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 안에서 전 세계의 민중들과 만날 수 있습니다. 자본의 정보화는 빠르게 진전하고 있습니다. 자본의 전세계적인 횡포에 맞서고 사회운동의 정보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정보화가 또한 진보적인 운동의 성격을 갖게 하기 위해 사회운동의 바른 정보화를 이룩하는 작업은 현 시대를 움직여가는 여러분의 당연한 권리이며 책임입니다. 이러한 사회운동의 정보화에 진보네트워크센터가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김진균, [진보네트워크센터 추진위원회 발족식 자료집] 중, 1998.07.01
지금 우리는 '변변한 자신의 통신수단'을 가지고 있는가?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쉬워졌나? '대중이 접근하기'는 쉬워졌는가? '사회운동을 보다 활성화하고, 단체사이에 소통과 연대를 확장할 수 있는 시공간'은 있는가? 이것들은 이미 모두 불가능한 것으로서 판명되었는가? 지금까지 불가능했다고, 쉽게 포기해버려도 괜찮은 것들인가? 또 하나의 글.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우리는 '정보운동'을 하나의 부문운동(혹은 부문운동들의 총합)으로 보지 않는다. 즉, 현대사회의 특수한 '이슈'로 보거나, 통신공간의 민주화 운동 등으로 한정시키지 않는다. '정보운동'은 새로운 생산/사회관계의 창출을 위한 변혁운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렇다고 기존 변혁 이념의 새로운 공간(cyberspace)으로의 확장으로도 보지 않는다. 정보화사회에서도 결국 자본관계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는 결론만을 확인하는 기존의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보자면, 통신공간은 운동공간의 양적 확대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현실 모순관계의 특수성에 대한 해명이며, 우리는 그 정점에 정보문제를 둘러싼 제반 모순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 아직 통신공간은 어떠한 질서도 정립되지 않은 이제 개척되고 있는 사회이다. 때문에 무척 무질서하게 보일 수 있으며, 특정한 문제점을 둘러싼 해결책 역시 전범이 없다. 그래서 통신 내외적인 권력선점의 각축이 벌어지고 있는 곳이기도 한 것이다. 바로 통신공간을 통제하기 위한 자본/국가권력과 그 쌍방소통의 가능성을 활성화시켜, 새로운 소통과 연대의 형식을 모색하고자 하는 진보적인 흐름 사이에서 말이다. 군사/학술망으로부터 출발한 인터넷은 이제 세계 각지의 네트워크를 묶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가 되었고, 자유로운 소통을 욕망하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점점 자신을 불려나가며, 아직 어느 특정 세력에 의해 통제되고 있지는 않다. 누구의 소유도 아니기 때문에 어떠한 규정과 통제도 없으며, 다양한 정보가 오가고 갖가지 실험이 행해지며, 다양한 성격을 가진 수많은 단체들과 개인들이 각자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쌍방향적인 소통을 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그 상업적 가능성을 포착한 자본이 발바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변모해 나갈지는 단언하기 힘들지만, 단일한 중앙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탈중심적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인터네트를 통해 새로운 권력형태의 가능성을 실험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대부분의 매체는 소수의 정보제공자와 그것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이분화된 구조 속에서 정보에 대한 통제권이 독점 되어 왔었다. 하지만, 인터네트에서는 정보의 제공자와 소비자가 따로 구별되지 않고, 누구나 정보를 제공하고, 자신의 의지에 따라 정보를 선택하므로 정보생산자/소비자의 구별이 무의미해진다. 단일한 중앙을 갖지 않는 사회가 어떤 식의 질서를 형성해 나갈지 선험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네트워크를 독점적으로 통제하려는 세력에 대한 반대, 토론을 통한 새로운 합의 구조의 창출, 자율적인 네트워크의 계속적인 결합을 통한 말그대로 인터-네트의 풍부화를 도모해볼 수는 있지 않겠는가? 오병일, {정보와 진보운동}, [SING A SONG Vol.1 #0], 1996.01.17
'권력선점의 각축'은 이미 끝났는가? 이대로 끝나도 좋은가? 누가 '쌍방소통의 가능성을 활성화시켜 새로운 소통과 연대의 형식을 모색'하고 있는가? 누가 '새로운 권력형태의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는가? 누가 '인터-네트의 풍부화를 도모'하고 있는가? 또 하나의 글.
하지만 통신망은 고급예술과 저급 문화환경의 경계를 잠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한다. 이제 우리는 마침내 금박 입힌 억압을 깨고, 문화계의 기생적인 제사장과 문화병자들을 제쳐버리고, 보통 사람들의, 보통 사람들에 의한, 보통 사람들을 위한 평등의 예술을 건설할 수 있는 소통 매체를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전체주의적인 강제적이고 위계적인 사회적 리얼리즘이 아니라, 반위계적이고 현실감각 있는 컴퓨터 낙서이다. 그것은 풀뿌리 민주주의예술의 가능성을 내재한 것이다 신문의 사설이 아니라 글과 글들이 꼬리를 문 바로 우리의 토론이 우리의 가치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다. 01410문제를 보아라. 어느 신문지상에 이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인가? 높으신 학자와 정부기관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리 스스로에 의해 지식/가치 체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우리에게 열려 있는 것이다. 지식의 소유권은 이제 끌어내려져야 한다. 과거 진보진영의 학습체계가 대학제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신들 스스로에 의한 것이었음은 명백하다. 그들은 맑시즘의 생산자이자 동시에 소비자였던 것이다. 지식의 소통을 우리 스스로에게로 끌어내리자. 이것은 진정 무한대 소통을 전제로 한다. 나의 글이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러하며 앞으로도 그러할 보석처럼 빛나게 하지 말아야 한다. 나의 지식이 나만의 것이 아니듯 나의 창조물도 더 이상 나에게만 머물러 있지 않고 그것에 풍부히 덧붙여진 모습으로 돌아다닐 수 있게 하자. 심지어 값싸고 잡다하며 불결하기까지 한 것 까지도... 황규만, {Copyleft운동을 제안하며}, [SING A SONG Vol.1 #2], 1996.03(추정)
지금 '반위계적이고 현실감각 있는 컴퓨터 낙서'는 어디에 있는가? 지금 '글과 글들이 꼬리를 문 바로 우리의 토론'은 어디에 있는가? 지금 그곳에 우리는 있는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