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창간호2면] 데카르트를 다시 보며[두번째 시간]

티거




데카르트 (René Descartes, 1596~1650)


나는 철학을 공부 하면서 데카르트를 공부하지 않고 넘어 간 적이 없다. 하지만 매 번 데카르트를 보면서 잘 이해하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었다. 그 이유는 데카르트 철학을 단순히 근대 철학의 시작으로 이해하는 수준에서 멈추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데카르트 철학에서는 이제까지 알고 있었던 데카르트의 철학보다는 데카르트의 삶이나 어떻게 하여 이런 철학을 하게 되었는지를 알고 싶었고 방법서설은 이 궁금증을 어느 정도 해결해 주었다고 본다.
이번에 [방법 서설]과 [철학과 굴뚝청소부]에 나온 데카르트 철학 부분을 함께 공부를 한 것이 나에겐 좋은 선택이었다. 왜냐하면 나는 이제까지 데카르트를 이해하는데 [철학과 굴뚝청소부]에 많이 의존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철학과 굴뚝청소부]에서는 근대철학의 딜레마를 이해하기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데카르트 한 사람을 알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 부족한 점을 [방법 서설]이 채워주었다고 생각한다.


중세의 철학
데카르트는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 알려져 있다. 이 말이 알려주듯이 데카르트는 중세의 시각을 벗어나 근대의 시각을 시작하였다. 중세는 신이 지배하는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에 데카르트의 철학이 남았다는 것은 데카르트의 처세가 좋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시대의 운이 좋았다고도 볼 수가 있다. 아무튼 이렇게 데카르트는 은근슬쩍 새로운 사고를 시작하였다.


코기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철학의 제1원리이다. 이 명제는 나라고 하는 주체가 존재하는 것은 바로 내가 생각한다는 것 때문이라고 본 점에서 ‘나’라는 존재를 신의 피조물이라는 중세의 관점에서 갈라서는 것이다. ‘나’라는 존재는 개인만의 것이 아니다. ‘나’라는 존재는 여럿이 있는데 그들이 모두 반박할 수 없는 지식, 즉 수학적 지식과 모두가 긍정하는 도덕적 지혜가 진리라고 말한다.


문제 설정
‘나’라는 주체가 신에게서 벗어나 진리를 알아가야 하는데 어떻게 알아 갈수 있는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데카르트는 이것을 본유관념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해결한다. 본유관념이라는 것은 인간의 이성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자연에 대한 확실한 지식의 원천을 말한다. 이것을 통하여 ‘나’라는 주체는 신이 없이도 사고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근대 철학의 출발은 신으로부터 독립한 ‘나’라는 주체가 이성에 내장되어있는 본유관념을 이용하여 확실한 진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육체와 정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라는 말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데카르트에게는 생각하는 것이 존재하는 것보다 우선한다. 생각하는 것은 정신이고 존재하는 것은 육체라 볼 수 있다. 정신과 육체가 별개로 존재하면서 인식하는 정신과 인식되는 육체가 어떻게 일치 하는가 즉 주체와 대상이 어떻게 일치하는 것인가 하는 것은 데카르트 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성을 얘기 한다. 이성은 완전한 것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성을 데카르트는 신이 주었다고 한다. 데카르트는 누가 이성을 주었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인간이 이성으로 완전한 것을 사고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점에 대해서 비판하는 사람이 많은데 데카르트가 근대와 중세의 중간에서 공존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데카르트는 분명하고 명확한 것이 진리라고 말한다. 그래서 과학과 수학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수학의 방식은 누가 보아도 맞는 답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가 ‘과학적’이라는 표현에 신뢰를 가지는 것은 근대의 과학이 가졌던 성격 때문일 것이다. 이 과학이라는 것은 데카르트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데카르트에게 통제가 되지 않는 육체는 불확실한 것이며 진리가 아니다. 그래서 육체의 활동을 이성의 통제 하에 두려고 하였고 이것을 데카르트의 도덕론이라 부른다. 자연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자연을 알아야 하듯이 육체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육체를 알아야 한다. 이에 데카르트는 해부학을 공부하고 근육과 심장의 움직임을 연구 하였다. 육체를 기계적 작동의 원리로만 이해하려 했던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몸은 통제되지 않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완전한 이성이 어떻게 통제를 할 것인가에 대해서 데카르트는 정신과 육체 사이에 연결선이 있다고 말한다. 이것을 통하여 정신이 육체를 통제할 수 있다고 말한다. 데카르트는 계몽주의의 선구자였던 것이다.


끝으로
데카르트에게 진리라는 것은 존재하는 것이다. 진리의 존재여부를 고민하지 않았다. 그래서 인간의 이성이 맞다고 생각하는 것이 맞는 것이며 많은 사람이 맞다고 생각하는 것이 진리에 가깝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모두가 인정할 수밖에 없는 명확한 지식을 찾으려 노력했을 것이다. 이것은 그의 시대의 스콜라철학이 불분명한 논리 위에 있었기 때문이다.
데카르트의 철학은 그 시대상으로는 새로운 전환이었을 것이라 판단한다. 하지만 우리는 분명히 데카르트의 철학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 우리가 데카르트를 공부하면서 데카르트의 생애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그의 생애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는 달랐고, 그 환경 속에서의 철학이며 시대적인 한계도 분명히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다시 데카르트를 보는 것은 근대 철학의 시작이며 근대 철학 딜레마의 시작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더욱 철학의 공부를 해 나아가면서 우리는 이 딜레마를 어떻게 해결해 나아가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데카르트의 저작 중 ‘방법서설’과 ‘정념론’을 읽었다. 방법서설의 번역은 이현복씨의 것을 추천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