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5202116005&code=960205
위화 지음·이욱연 옮김 | 문학동네
꿈도 균형을 잃고 ‘빈익빈 부익부’ 고도 성장 중국은 치료가 필요해
황경상 기자 yellowpig@kyunghyang.com
1990년대 후반 중국중앙방송(CCTV)은 어린이날을 맞아 각지의 아이들에게 가장 받고 싶은 선물이 무엇인지 물었다. 베이징의 한 사내아이는 장난감 비행기가 아닌 ‘진짜’ 보잉 비행기를 받고 싶다고 했다. 시베이(西北) 지방의 여자아이는 ‘흰 운동화를 갖고 싶다’고 수줍게 말했다.
중국 작가 위화(余華)는 이 이야기를 들려주며 말한다. “모든 것을 잃어도 꿈만 있으면 다시 일어설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꿈조차 균형을 잃었다. (…) 같은 시대의 아이들이지만, 한 아이는 오늘날의 유럽에 살고, 다른 아이는 400년 전의 유럽에 사는 것처럼 어리둥절하게 느껴진다.”
이런 이야기는 주머니 속의 송곳처럼 불쑥 우리를 찌른다. 우리가 믿고 있는 세상의 모습은 ‘진짜’일까. 작가는 뾰족한 사유를 툭툭 던진다. “어떤 사람들에겐 현실을 주시한다는 것이 텔레비전이나 인터넷을 보고 가까스로 아는 것임을 발견했다. <허삼관 매혈기>가 출판되고 2년이 지나서야 허베이(河北)의 에이즈 사건이 언론에 폭로되었다. 내가 쓴 매혈은 중국에서 벌써 반세기 동안 존재했다.”
저자는 “모든 사람은 그가 속한 사회에 책임이 있다. 그 사회의 병폐에 대해서도 역시 그러하다”고 말한다. 자신 또한 ‘한 사람의 환자’라고 자처하며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기보다는 차라리 치료법을 찾는 사람”이라고도 말한다. ‘문학 외에는 관심 없다’는 일부 문학계 사람들의 편협함을 질타하면서 그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렇다. “오늘을 사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삶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고, 특히 전혀 모르는 사람의 삶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른 사람의 삶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자신의 삶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본인의 치장에만 여념이 없다. 중국의 아파트들은 끊임없이 인테리어를 바꿔 작가가 사는 곳까지 소음으로 시끄럽다. 크게 보면 중국 전체가 건국 60주년 준비로 톈안먼 광장을 단장하고 ‘위풍당당한’ 열병식 준비로 바쁘다. 그러나 작가에게 “60주년이란 59주년보다 한 해가 늘었다는 의미”에 불과하다. 위층의 전기 드릴 소리가 멈추자 비로소 “정상적인 생활”이 돌아올 뿐이다. 중국의 고도성장이란 것도 결국 감춰진 많은 희생 위에 있다는, 그래서 “100위안을 지불하고 10위안을 받는”것이 아니었느냐는 반성도 내놓는다.
서구 사회도 다를 바 없다. 작년에 동료 작가에게 온통 류샤오보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대해서만 질문하던 노르웨이 기자들은 올해 잔뜩 긴장하고 준비했던 위화에게는 아무것도 묻지 않는다. 티베트 문제에도 맹목적으로 한쪽 편만 들기보다 역사와 맥락에 대해 더 공부할 것을 주문한다. 미국 노턴 출판사 이사장의 말을 빌려 서구 언론과 대중에 대한 냉소도 던진다. “당신 손가락이 화상을 입었을 때 언론이 보도를 하면 그것은 진짜고, 언론이 보도를 하지 않으면 그것은 가짜지요.”
이번 산문집에서 그는 작품의 창작일기에서부터 작가지망생 시절 이야기, 영화와 독서 편력, 미국 프로농구(NBA)를 보러 직접 미국에 건너간 ‘광팬’의 면모까지 소탈하게 털어놓는다. <인생> <허삼관 매혈기> 등으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작가가 내놓은 산문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