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이라크선거는 미국 국내 선전용

2005년 1월30일 실시된 이라크 선거는 교과서적 정의에서 ‘시위용 선거’다.

 

20세기 들어서면서 아메리카는 선거를 자국에 종속된 제3세계 국가 관리 도구로 이용해왔다. 그런데, 선거의 기능은 관리자들에게 부여되는 요구의 변화에 따라 바뀌었다. 선거를 치르는 목표는 언제나 ‘안정’을 보장하는 것이다. 20세기 전반부에는, 안정에 대한 위협이 언제나, 내부 혼란에 빠지기 쉽고 그래서 ‘독립’을 잃을 위험에 처한 종속국 내부에서 전적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최근 몇십년동안은, 심각한 도전이 아메리카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이런 기능적 요구의 변화가, 선거의 지향을 (아메리카) 국내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쪽으로 옮겨갔다. 이를 우리는 ‘시위용 선거’라고 지칭한다. (에드워드 S. 허먼, 프랭크 브로드헤드, <시위용 선거: 아메리카가 도미니카공화국, 베트남, 엘살바도르에서 실시한 선거들> 사우스엔드 프레스, 1984, 1쪽.)

 

 

The January 30, 2005 elections in Iraq are the textbook definition of "demonstration elections":

 

Elections have been used by the United States as an instrument of management in Third World client states since the turn of the century. The functions which they have served, however, hav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ifting demands placed upon the managers. The aim in holding such elections has always been to ensure "stability". In the first half of this century the threat to stability came almost exclusively from within the client states, which were subject to internal turmoil and thus threatened with a loss of "independence." In recent decades, serious challenges have arisen from within the United States itself. It is this shift in functional need that has led to the emergence of elections oriented to influencing the home (U.S.) population, which we designate "demonstration elections." (Edward S. Herman and Frank Brodhead, Demonstration Elections: US-staged Elections in the Dominican Republic, Vietnam, and El Salvador, South End Press, 1984, p. 1)
Critical Montages에서 재인용.

 

이번 이라크 선거도 아메리카 국내 선전용이었음은, 투표율에 대한 아메리카 주류 언론의 보도에서 쉽게 확인된다. 언론들은 처음에 예상 투표율이 자국 정부가 기대하는 수준에 가까운 72%라고 보도했으나, 몇시간만에 예상 투표율은 15%나 낮은 57% 정도로 떨어졌다고 한다. 이는 1967년 9월3일 베트남 전쟁을 보도한 뉴욕타임스 기사를 연상시킨다고 한다. 이 기사의 제목은 ‘아메리카, 베트남 투표에 고무되다’이다. 누군가 어렵사리 찾은 1967년 기사의 PDF 파일이 인터넷을 통해 알려졌다. PDF 파일 보기

 
이 이야기는 Critical Montages의 글 두개를 종합한 것임. 1967년 뉴욕타임스 기사 관련 글 || 이라크 선거 예상 투표율 관련 글
2005/02/15 17:50 2005/02/15 17:50
댓글0 댓글

트랙백0 트랙백
먼 댓글용 주소 :: https://blog.jinbo.net/marishin/trackback/123

앞으로 뒤로

외국 진보 진영의 글을 번역해 공개하는 걸 주 목적으로 하지만 요즘은 잡글이 더 많습니다. mari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