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위 책에 대한 내용 5%와 나머지 사적인 주절거림으로 나열됨>

 

문학평론?

 거의 0에 수렴하는 관심분야다.

 

어쩌다 아는 분의 부탁으로 이 책을 도서관에 빌려다 드리고,

오늘 돌려받았다.

 

이명원의 한국문학탐사라는 부재가 붙은

근현대 작가들에 대한 짤막한 비평글 모음이다.

 

그중 세편을 골라 읽었다.

공선옥, 전경린, 한지혜

 

책을 돌려주며 공선옥과 전경린 부분을 읽어보라 했던 그 분의 말씀 때문이기도 하였지만,

또한 이전 시기의 작가들에 대해 무관심한 탓도 있다.

 

몇달전 공선옥의 소설을 읽고 이런 이야기를 했었다.

"공선옥 소설은 불편해요. 예전의 나라면 어찌 읽었을지 모르지만,

솔직히 지금은 너무 불편하고, 읽기 싫고 숨이 막혀요.

소설에서까지 무거운 세상을 대면하고 싶지 않아..."

그래서 안 팔리는 작가이지 않겠냐고 나 스스로를 애매한 위치에 놓은 채

비판이라기보다 투정을 했었다.

 

공선옥을 그의 인터뷰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고통에 무심한 우리 사회의 고통불감증을 규탄에 가까운 어조로 비판했다 한다.

절바간 생의 궁지에 몰려 있는 사람들의 고통에 대해...

왜 불감증에 빠져 있냐고...

 

사실 그렇다.

내가 느낀 불편함의 실체 중 하나는 나 자신의 불감증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 소설을 읽으며 다만 불편했을 뿐 더이상 나는 그들의 편이라고 약자의 편이라고

말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그것이 불편함의 진짜 원인일지도 모른다.

나는 누구 편인가.

편가르기에 진절머리가 난 나는 계급성을 상실했다.

그것이 어쩌면 학생의 조건... 이라고 나는 속으로 또 자기 합리화를 시도한다.

 

노력한다고 될 일 아니다.

 

그러나 어처구니 없게도 나의 물질적 조건은

겉만 번지르르한 한달 수입 0의 건달일 뿐이다.

공장에서 도망치듯 나왔을 때 그곳에서 20대 절반을 놓고 나왔다고 생각했는데,

아니 그보다 다른 것도 놓고 나왔다.

 

그리고 계속 나는 희미하다.

무엇으로도 규정하고 싶지않지만

사실 규정되어진 수많은 a일 뿐임을 순간순간 자각하는 희미한 나일 뿐이다.

나는 버렸다고 생각한 것들도 여전히 어딘가에는 붙어있고,

갖고 싶다고 생각한 것들은 나의 기표가 아니다.

 

그래서 어떠한 계급성을 원하냐고 다시 묻는다.

그것이 원한다고 들러붙는 것이냐고 또 묻는다.

이미 불감증의 수준에 닿아있으니 어쩔 것이냐고 또 묻는다.

 

얼마전 누구와 술을 마시며 얘기했더라...

공부를 죽도록 했는데, 그 결과가 내가 원치 않던 결과가 나오면 어쩔 것이냐고

그럼 무엇을 지향할 것이냐고 했다.

아... 어쩌면 바보같은 질문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11/03 14:42 2007/11/03 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