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사노위 출범 축하시-송경동] 모든 것이 돌아온다

모든 것이 돌아온다

- <사회주의노동자정당 건설을 위한 공동실천위원회> 출범을 맞아

 

송경동(시인)

 

 

 

유령들이 돌아온다

아무 것도 가지지 못한 자들이

무엇을 가졌다고 착각하던 이들이

헐벗은 몸으로, 찢긴 몸으로, 온몸과 정신에 쇠사슬을 감고

집단적으로 돌아온다

 

유령들을 따라 유령들이 돌아온다

인류의 뜨거운 열망과 생성 위에 구더기처럼 기생하며

풍요로운 대지의 자궁을 좀먹고 초토화시키던

자본의 유령들이

혼비백산 다급하게 돌아온다

 

모든 것이 돌아온다

끝났는지도 모른다던 혁명의 역사가 돌아온다

숨겨진 일상의 핏빛 적대가 결전을 향해

숨가쁘게 돌아온다. 낡고 죽은 노동의 똥통에서

찬란한 자유의 날개들이 퍼덕이며 돌아온다

 

돌아온다, 보라

모든 것이 돌아온다

살아 있다는 긍지, 잊어버렸던 연대의 따뜻한 손길

사적소유의 온갖 금기와 통제와 폭력을 넘어서는 참다운 용기의 무리들

그 새로운 인류들이 다시 돌아온다

자본의 공포와 협박으로부터 벗어난 생기발랄한 웃음들이

자유로운 농담과 춤이 경계 없는 상상이

 

돌아온다. 보라

모든 것이 돌아온다

그것은 하나로만 오지도

둘로만 오지도 셋으로만 오지 않는다

그것은 총체적으로 오고

그것은 근본적으로 발본적으로 전투적으로 온다

수치를 넘어 산술적 평준을 넘어

부문을 넘어 지역을 넘어 국가를 넘어

민족과 인종과 성의 분리와 차별을 넘어

착취받는 모든 존재의 굳건한 연대로, 총단결로, 총투쟁으로

전계급적으로, 전지구적으로, 전우주적으로

 

온다. 그것은 경이로움과 함께

무엇보다 내 안에서, 우리 안에서 온다

오랜 비만과 개량의 거푸집을 부수고

오랜 고립과 망상의 지하 생활을 뚫고,

오랜 위축과 자학의 번데기를 찢고

획일을 넘어 교조를 넘어

안일과 무지와 독선과 아집과 분열을 넘어

낡은 나와 우리를 찢는 고통 속에서

새로운 정치적 생명으로 아름답게 돌아온다

 

나의 당이, 우리의 당이

모든 피압박노동자민중의 당이 돌아올 때

이 모든 것이 돌아온다

독점자본의 금고 속에 억류당했던 인류의 모든 미래가 돌아오고

사람들이 빼앗겼던 온갖 자율적 창조적 권능이 돌아오고

자연의 모든 아름다운 가치들이 제자리로 돌아오고

퇴행했던 모든 것이 뼈저리게 계면쩍게 돌아오고

생기 잃었던 모든 존재들이

새로운 생의 활기로 벅차게 돌아와

대지는 새로운 관계로 요동치고

역사도 비로소 비틀린 얼굴을 바로잡으며

환하게 돌아온다

 

하지만 잊지마, 동지들

이제 막 다시 시작이라는 것을

혁명은 과시나 이벤트가 아니라는 것을

혁명적 노동자당의 당파성은 문건의 주장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권력 찬탈을 위한 상층의 이전투구를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진정한 선전과 선동은

때로 아무 말하지 않고 흘리는 실천의 피 한 방울에 있기도 하다는 것을

보이지 않되 굳건한 조직의 신경망 세포 한 줄기 한 줄기에 시퍼렇게 서려 있기도 하다는 것을

우리는 언제나 당당한 다수여야 하고 만인에 의한 만인의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자유로운 개인들의 창조적 발현이 모든 해방의 기초와 전제가 되는 세계의 건설

그것만이 우리의 유일한 영예이며 기쁨이며 보람이라는 것을

 

잊지마, 동지들

당당하되 겸허하게

투철하되 아름답게

오늘부터 쓰여지는 새로운 세기의 역사가

우리의 자랑을 넘어

모든 피압박노동자인민의 자랑이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마, 동지들

모든 것이 돌아오고 있다는 것을

그 전율을, 그 긴장을, 그 전쟁을, 그 환희를, 그 적개심을, 그 사랑을

우리가 그 모든 것들을 불렀다는 것을

불러 깨워 함께 가자 했다는 것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견우를 그리워하며1] 어머니의 마지막(?) 자존심

[견우를 그리워하며1] 어머니의 마지막(?) 자존심

 

 

어머니의 호인 ‘견우’가 牽牛인지 見牛인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천천히 알아 볼 생각이다.

급할 것은 없다.

견우가 이제는 이 세상에 없기 때문이다.

벌써 열흘이 지났다.

 

지난 열흘간 어머니의 영정을 볼 때마다 자꾸 떠오른 것은, 그래서 눈물을 가눌 수 없게 하는 것은 지난 3월 11일, 그러니까 돌아가시기 3주 전 제주대학교 병원에서의 어머니의 모습 때문이다.

 

***

 

제주대 병원에서의 하루 밤은 마치 전쟁을 치르는 것 같았다.

어머니는 병원에서 모든 식사를 거부했다. 통증 때문에 밤새 잠도 주무시지 못했다.

“어머니! 식사를 해야 약도 드실 수 있고, 약을 드셔야 밤에 잠도 주무실 수 있지 않으꽈?”

“싫다.”

“무사마씨?”

“먹기 싫다. 설사를 자꾸하는데 먹으면 또 설사할 것 같다.”

 

***

 

“저 *(요양사)이 우리집 망허게 할 거라”

“무사 경 말햄수꽈? 어머니 도와주시는 분인디”

“우리집 망허게 할 거라”

“어머니! 돈 때문에 걱정햄꾸나”

“맞아”

“돈 걱정하지맙써. 우리집 안망헙니다. 경허고 어머니가 걱정헌덴허영 방법이 이수과?”

“그건 맞아”

 

***

 

밤새 허리 통증, 가슴 통증 때문에 잠을 못 이루시자 어머니께

“경해도 좀 자려고 해봅서”

“무사 내가 이렇게 아픈지 모르커라. 무사 내가 이렇게 아파야허는지 모르커라.”

“밤새 앉아 있지만 말고, 누워서 자젠해 봅서게. 어머니가 안 자난 나도 못잠수게. 나도 잠을 자사 내일 일 나갈 수 이신디---”

“그건 맞아. 경헌디 내가 무사 이렇게 아파야 하는지 모르커라.”

 

***

 

한밤 중 담배 피려고 잠깐 자리를 비운 사이, 어머니는 병실에서 복도로 나오셨다.

다시 모시고 들어갔다. 몇 번이고 되풀이됐다.

“어머니, 지금 한밤중이고 다른 환자들도 자고 이시난 복도밖으로 나오면 안돼마씸”

“집에 가야메. 집에 아버지한테 가야메”

“아버진 내일 아침 일찍 오켄해수다. 오늘 병원이 마지막날이니까 잡서게.”

“아니라. 아버지 안올꺼라. 내가 가야메. 내가 가야메.”

“아버지 아침 일찍 오켄해수다. 꼭 옵니다. 걱정하지맙서”

“아니라, 집에 가야메 --- 집에 가야메 ---”

 

***

 

“병원에서 나가믄 우랭이(어머니 고향)에 가게”

“경헙주게. 겐디 우랭이에 옛날집 다 어서진거 알아? 다 아파트가 들어서서--”

“경해시냐? 경해도 우랭이에 가게 --- 우랭이에 가게”

 

밤새 어머니와 치르는 실랑이 속에서 어머니가 회복하기 힘든 과정을 가시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머니는 왜 자신이 통증 때문에 이런 고통을 받아야 하는지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그 고통 속에서도 어머니는 당신만의 마지막 ‘자존심’을 지키려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로 곁에서, 그 자존심을 지키시려는 어머니를 위해 자식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다는 그 무력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탱고5] Adios nonino. ‘잘 가요, 할아버지’

Adios nonino. ‘잘 가요, 할아버지’

 

탱고의 ‘레퀴엠.’

현대 탱고의 거장 아스트로 피아졸라 곡 가운데 ‘보석 중의 보석.’

 

피아졸라는 1959년 10월에 ‘아르헨티나 탱고단’을 구성하여 푸에르토리코에 공연을 갔다가 아버지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뉴욕으로 돌아와서 부엌에서 눈물을 흘리며 이 곡을 작곡했다고 합니다. 피아졸라가 38세 때입니다.

‘nonino’는 이탈리아말로 ‘할아버지’란 애칭이고, 피아졸라와 그 자녀들은 할아버지를 ‘노니노nonino’라고 불렀습니다. 할머니는 ‘노니나nonina’라고 합니다.

부친을 위한 장송곡, 혹은 추모곡인 셈입니다.

실제 ‘Adios nonino’를 들어보면 아버지에 대한 추억, 슬픔이 애절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 1980년 서독방송에서 피아졸라의 공연

http://www.youtube.com/watch?v=QCmP4bEJfOg

 

* 1983년 스위스 루가노에서 Cologne Radio Orchestra와 피아졸라의 실황 레코딩

http://www.youtube.com/watch?v=VTPec8z5vdY&feature=player_embedded

 

* 1989년 영국 BBC에서 피아졸라의 생방송 공연

http://www.youtube.com/watch?v=ccY5IcwWyV8

 

‘Adios nonino’는 1959년에 작곡된 이후에 20번 이상 다르게 편곡되고 수천 번 이상 연주될 정도로 유명한 곡인데, 피아졸라 스스로도 “아마도 나는 천사들에 둘러싸였던 것 같다. 나는 최고의 곡을 작곡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이보다 더 잘할 수 있을 지 모르겠다. 아마 못할 것 같다.”고 말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피아졸라 전기>에 따르면, 이 곡은 피아졸라 탱고의 역사에서 하나의 분기점을 형성하는 계기이기도 합니다.

사실 어릴 때 클래식 음악과 재즈를 더 좋아했던 피아졸라로 하여금 탱고로 이끌어주고, 처음으로 반도네온을 사주었으며, 피아졸라에게 ‘아르헨티나인’이 될 것을 강하게 요구해 왔던 사람이 아버지였는데, 아버지의 죽음은 그 이전까지 자신의 내부를 지탱해 왔던 하나의 구조가 무너지는 것을 뜻했습니다.

아버지 ‘nonino’가 죽은 이후에 피아졸라의 창조성이 최대한 발휘되고, 과거 자신이 가져왔던 클래식 음악과 재즈에 대한 사랑을 탱고와 결합시키면서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만들어 내게 된 것입니다.

 

피아졸라는 1960년 6월에 뉴욕에서의 활동을 정리하고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향합니다.

그리고 뉴-탱고의 시대를 열어가게 됩니다.

“이제 나는 탱고에 대한 내 개념을 강조할 것이다. 나는 단지 소수 마니아를 위해 음악을 만들지 않을 것이다. 나는 다양한 대중을 정복할 자신이 있다. 앞으로 지켜보면 알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그렇게 됐습니다.

 

* 기타 4중주, Del Mar College Guitar Quartet, the University of Texas Brownsville Guitar Competition에서

http://www.youtube.com/watch?v=ns3_RlZNvpg

 

* 2006년 11월, Helycon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의 연주

http://www.youtube.com/watch?v=k36ifoCd_e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