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맑고 향기롭게」 법정스님 가을 정기법회 : 2006/10/15(일)

"「세계연례보고서」에 의하면 FTA에는 미국형과 유럽(EU)형이 있는데 미국형이 가장 잔인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농민은 전체 인구의 7%인 350만명으로 그나마 모두 60세 전후의 노인들입니다. 농촌에서 아이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은 지가 오래 되었는데 이것은 미래가 없다는 증거입니다. 농업문제를 농민에게만 맡길 수는 없습니다. 한미자유무역협정은 어떤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합니다.

여러분에게 숙제 하나를 내드리겠습니다.
우석훈 교수가 녹색평론에서 펴낸 「한미 FTA 폭주를 멈춰라」를 꼭 읽어보십시오. 제 인격을 걸고 추천합니다. 그 책에 의하면 ‘FTA가 체결되면 4인가족 기준으로 1년에 수입이 6천만원 미만인 사람은 빨리 이민을 가야 한다’고 합니다." -「맑고 향기롭게」 법정스님 가을 정기법회 : 2006년 10월 15일(일)



법정스님 "한미FTA 끝까지 막아내야" (연합뉴스, 2006/10/15 15:09)
가을 정기법회서 정부정책 강력 비판


농사는 흙이 지닌 덕(德)을 아는 것
   
-「맑고 향기롭게」 법정스님 가을 정기법회
- 일시: 2006년 10월 15일(일)
- 장소: 길상사 극락전
- 참석자 : 2,000 여명

올 가을에는 전국적으로 가뭄이 들어 모든 것이 말라있습니다.
산에 살다보니 제 몸도 자연의 생태를 닮아 조금 말랐습니다.
그러나 건강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오늘은 농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수타니파타」를 보면 농사에 대하여 부처님과 농부의 대화가 나옵니다.

농부가 부처님께 말했습니다.
“사문이여, 나는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 밭을 갈고 씨를 뿌린 후에 먹습니다. 당신도 밭을 가십시오. 그리고 씨를 뿌리십시오. 갈고 뿌린 다음 먹으십시오.”
그러자 부처님은 대답했습니다.
‘나도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 갈고 뿌린 다음에 먹습니다.”
농부가 말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당신의 쟁기나 호미, 작대기나 소를 본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 당신은 어째서 ‘나도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 갈고 뿌린 다음에 먹습니다’라고 하십니까? 당신은 농부라고 자처하지만 우리는 일찍이 밭가는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당신이 밭을 간다는 사실을 우리들이 알아듣도록 말씀해주십시오.”
부처님이 다시 대답했습니다.
“나에게 믿음은 씨앗이요, 고행은 비이며, 지혜는 쟁기와 호미, 부끄러움은 호미자루, 의지는 쟁기를 매는 줄, 생각은 호미날과 작대기입니다. 몸을 근신하고 말을 조심하며, 음식을 절제하며 과식하지 않습니다. 나는 진실을 김매는 일로 삼고 있습니다. 부드러움과 온화함이 내 소를 쟁기에서 떼어놓습니다.”

인도에서 수행자는 걸식하는 자를 말합니다.
「유교경」에서는 수행자에게 밭을 갈지 말라고 했는데, 「비구」라는 말을 우리말로 하면 「거지」란 뜻으로 빌어서 먹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다만 수행자가 일반 거지와 다른 것은 안으로 법을 빌어서 밖으로 이웃에게 이로움을 전한다는 점입니다.

인도와 전통이 다른 중국과 우리나라에 와서 수행자의 걸식이 보다 생산적이고 창조적으로 변환되어 중국의 백장선사는 「반선반농(半禪半農)」의 가르침을 폈습니다.

사찰 방장이었던 백장 선사는 손수 농사를 지어가며 가르침을 실천했는데 어느 날 그의 제자가 노스님의 딱한 모습을 보고 쟁기를 감춰 일을 못하게 하자, 그는 공양을 받지 않고 참선에만 몰입했습니다.
제자들이 그 이유를 묻자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겠다(一日不作 一日不食)」는 유명한 말씀을 남기셨습니다.

스스로 갈고 뿌린 다음에 먹어야 곡식 낱알 하나도 아깝게 여길 줄 압니다.
그래서 옛 스님들은 시주물을 무섭게 여겼습니다.
현재 한국 불교에서 눈 밝은 수행자가 나올 수 없는 것은 농사일을 통한 공동체 정신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한말 내장산에 학명스님이란 분이 계셨는데 그 분은 반은 참선 반은 농사짓는 것을 수행으로 삼고 「농사가 곧 참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가만히 앉아있는 것만이 수행이 아니고 생산을 위한 노동이 곧 수행이라면서 오전에는 간경(看經), 오후에는 농사, 밤에는 좌선을 하였습니다.

이것은 ‘자신의 먹을 것을 자신이 마련하라’는 뜻으로 동안거는 좌선을 중심으로, 하안거는 간경을 중심으로 했습니다.
경전만 보고 기도, 참선에만 열중하면 시주물 고마운 줄을 모릅니다.
울력은 일차적으로는 생산적인 측면이 있지만, 이차적으로는 그것을 통해 일체감을 갖게 합니다.

농사는 흙이 지닌 덕(德)과 질서를 알게 합니다.
농업은 기초산업이자 생명산업입니다. 농업은 결코 돈으로 따질 수 없는 대지의 은혜입니다. 우리는 땅에서 나는 채소와 곡식을 먹어야 살 수 있습니다.
컴퓨터, 휴대전화, 자동차만으로는 살 수가 없습니다.

요즘 「한·미 FTA(자유무역협정)」로 농업이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한·미 FTA는 말은 ‘자유무역’을 하자는 것이지만 실상은 ‘강자의 보호주의’에 불과합니다. 미국의 기업과 투자자를 위한 협정에 불과합니다.

‘한국은 무조건 개방하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현재 대외무역의존도가 70%를 넘었습니다. 미국은 20%를 개방했고, 일본은 22%를 개방했는데 우리나라의 대외무역의존도는 이들 나라의 3배가 넘습니다.
우리 경제가 취약한 것은 내수가 약하기 때문인데, 대외무역의존도가 높은 것이 자랑이 아닙니다. 외부의 영향으로 충격을 더 많이 받습니다. 미국의 농업은 기업농으로 농업을 없다고 생각하고 무역협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대통령이 「한미 FTA로 농민들이 피해를 보면 농민들에게 생활보조비를 줘 먹여 살리면 된다.」고 말했는데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이 국정을 책임지고 있기 때문에 나라가 불행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농업은 단순한 하나의 산업이 아니고 사회전환프로그램입니다. 이 시대 농업을 말살하려는 한·미 FTA협상은 무슨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합니다. FTA가 체결되면 고급 공무원, 재벌언론사 등 몇몇은 이익을 보겠지만 대다수의 서민들, 특히 토지에 기반해 살아가는 농민들은 큰 어려움에 부딪칠 것입니다.

우리나라 국토 가운데 산지가 64%, 농지가 20%입니다. 전체 면적 중 84%가 사실상 농민들이 관리하는 땅인데 농업이 죽어버리면 이 생태계를 관리하는 사람이 사라지게 됩니다. 한ㆍ미 FTA에는 생태계를 보전하는 농민들을 위한 장치가 없습니다. 일본과 중국은 미국과 FTA(자유무역협정)을 맺지 않았습니다. 자국 국민을 위한 보호장치가 없기 때문에 맺지 않은 것입니다.

「세계연례보고서」에 의하면 FTA에는 미국형과 유럽(EU)형이 있는데 미국형이 가장 잔인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농민은 전체 인구의 7%인 350만명으로 그나마 모두 60세 전후의 노인들입니다. 농촌에서 아이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은 지가 오래 되었는데 이것은 미래가 없다는 증거입니다. 농업문제를 농민에게만 맡길 수는 없습니다. 한미자유무역협정은 어떤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합니다.

여러분에게 숙제 하나를 내드리겠습니다.
우석훈 교수가 녹색평론에서 펴낸 「한미 FTA 폭주를 멈춰라」를 꼭 읽어보십시오. 제 인격을 걸고 추천합니다. 그 책에 의하면 ‘FTA가 체결되면 4인가족 기준으로 1년에 수입이 6천만원 미만인 사람은 빨리 이민을 가야 한다’고 합니다.

지금 5년 단임의 대통령제는 너무 막강한 권한이 있어 문제가 많습니다.
1987년 독재정권을 견제하기 위해 개헌하면서 대통령에게 너무 많은 권한을 부여해 국회도 손을 쓸 수 없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대통령이 그런 정치적 횡포를 부리고 있습니다.

밖에서 뙤약볕에 법문 듣는 분도 있어 이만 하겠습니다.
모두 건강하십시오.

(대중들 목탁소리와 함께 스님께 합장 반배)


[정리-학륜 이성학]

※ 법문제목은 정리자가 임의로 붙였습니다.
※ 법정스님의 법문을 정리자가 약간 윤문하였습니다.<끝>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