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항 소 ...
- dure79
- 11:01
-
-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조...
- dure79
- 04/06
-
- 각하 : 도로확장 금지 가처...
- dure79
- 04/04
-
- 미일군사동맹의 새로운 《공...
- dure79
- 04/02
-
- 한라산
- dure79
- 03/30
50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엔도 : 아 ~~ 그렇읍니까 . 그러면 저의 경우인데요 , 어찌해서 허리 아픔이 사타구니에 나타나게 되는 걸까요 .
이소가이 : 우리들은 평면 위에서 생활하고 있지요 . 그리하면 바깥으로 벌려진 채로 굳어진 쪽의 다리가 길어지고 , 그 다리 쪽의 골반도 올라갑니다 ( 옮 : 사타구니 아픔은 짧은 다리 쪽이 아닌가요 ? ) . 그리되면 , 그것이 보통 평면 위에서의 생활에 멜짐이 되어 , 그 부분에 가까운 신경에 장애를 일으킵니다 . 그것이 사타구니로 나온다 라고 하는 것입니다 .
엔도 : 다리길이 다름이 골반의 비뚜름을 가져오고 , 그것이 신경에 영향을 끼친다 라고 하는 것은 알겠는데 , 내장에도 심한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까 .
이소가이 : 예 , 그 영향은 둘로 나뉩니다 . 예를 들어 , 왼다리가 긴 경우 , 왼 골반이 올라가지요 . 그리되면 척주가 오른쪽 ( 옮 : 보는 사람 시각에서 ) 으로 구부러지는 이치입니다 . 그 경우는 반드시 소화기계통의 위 , 십이지장 , 간장 , 창자 , 그리고 생리적인 기능장애 ? , 부인과적 질환 , 그리고 치질 , 오줌보염증 따위가 일어납니다 . 또한 어깨결림 , 머리아픔 , 허리아픔 따위은 오른쪽 몸에 생깁니다 .
엔도 : 저는 언제나 오른 어깨 ( 옮 : 상대편 시각에서 ) 가 올라가 있어요 . 왼 가슴을 수술하고나서 .
이소가이 : 오른 어깨가 올라가고 , 목이 오른 ( 옮 : 대담 중의 말실수 . 듣는 사람 시각에서는 왼쪽 ) 쪽으로 구부러져 있는가 ~~요 . 서 있을 때 , 목이 구부러져 있는 쪽의 다리가 깁니다 .
엔도 : 자 ~~ . 저는 역시 오른다리가 깁니까 .
이소가이 : 예 , 오른다리가 긴 사람은 척주가 왼쪽으로 구부러지는 겁니다 . 그리되면 , 이번에는 호흡기계통의 병이 나타나 , 감기에 걸리기 쉬운 체질이 되고 , 천식이 생긴다든지 , 그리고 가장 무서운 것이 심근경색인데요 . 그것과 , 어깨결림 , 머리아픔 , 허리아픔은 왼쪽 몸에 나타나게 됩니다 . 중추부의 신경장애에 뿌리가 있는 내과적인 병으로서는 , 호흡기계통과 순환기계통입니다 .
엔도 : 왼다리가 길던가 , 오른다리가 길던가에 의해 , 그러한 병이 일어난다 라고 하는 것은 왜 그렇읍니까 ? 통계적으로 ?
이소가이 : 아니요 , 통계 아닙니다 . 이론적으로 분명합니다 . 예를 들어 오른다리가 긴 경우 , 척주는 왼쪽 ( 옮 : 듣는 사람 시각에서 ) 으로 구부러집니다 . 그리되면 , 척주가 비틀어지지요 ( 옮 : 구부러짐과 비틀어짐의 혼용 , 잘못 ? 좌우 신경은 거의 같은데 ? ) . 척주가 비틀어지면 , 그 비틀어진 곳의 신경이 중추부에서 아프게 됩니다 ? . 신경이 장기의 기능을 지배하고 , 명령을 내리고 있기 때문에 , 비틀어져 아픈 신경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장기에 , 신경장애에 뿌리가 있는 기능장애가 일어난다 라고 하는 이치입니다 . 그 결과 , 생기는 것이 , 지금 말해지고 있는 내과적인 병입니다 . ( 옮 : 이 단락의 이론은 좀더 생리적인 연구가 필요한데요 , 중요한 것은 다리길이를 같게 하면 , 왼다리 긴 증상도 , 오른다리가 긴 증상도 모두 함께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_^)
절름걸이 바로잡기가 이소가이 건강법의 뿌리
엔도 : 그것은 , 어떠한 계기로부터 아시게 되었던 것입니까 .
이소가이 : 저는 처음에 , 중풍 환자나 소아마비 환자의 절름걸이를 보고 , 그것을 무엇인가를 해서 고칠 수 없는 것인가 라고 생각하여 연구를 시작했었읍니다 . 서양의학에서는 , 절름걸이의 원인은 , 뇌의 운동신경장애이다 라고 정해져 있어요 . 그러나 그것 밖에도 원인이 있었던 것입니다 . 그것이 저의 이론의 계기였던 것인데 , 절름걸이라는 것은 , 좌우 다리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되지요 ?
엔도 : 예 .
이소가이 : 그래서 저는 , 한장의 렌트겐 필름으로는 작아서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 위를 보고 바로 눕힌 회원에게 납으로 된 표시를 붙여 놓고 , 찍은 필름을 이어 붙여서 , 좌우 다리뼈의 길이를 비교해 보았던 것입니다 . 그 결과 , 소아마비 따위의 경우는 발육차이라고 해서 , 아기 때부터 피 흐름이 나쁜 뼈가 --- 이것은 어른이 된 시점의 키에 의한 것인데 --- 2 센티나 3 센티 짧은 경우가 있어요 . 그러나 중풍 따위의 절름걸이의 경우는 , 다리 뼈의 길이가 다르지 않은데 , 그것이 일어나고 있어요 . 이것은 무엇인가 원인이 있다 라고 생각했던 것이지요 .
엔도 : 음 , 과연 ~~~
이소가이 : 그래서 , 이리저리 해 본 결과 , 발의 관절과 무릎 관절은 앞뒤로 똑바로 이어져 있는 뼈잇음매이어서 , 어떻게 비뚜러져도 길이 다름은 생기지 않는 것이지만 , 엉덩 뼈잇음매는 바깥으로 비틀어져 벌어지면 다리가 길어지고 , 안쪽으로 비틀어지면 다리가 짧아진다 라고 하는 것을 발견했어요 . 즉 엉덩 뼈잇음매 빠짐 따위도 , 한쪽 다리를 2 . 5 센티 짧게 하고 , 그 위에 한쪽의 다리를 2 . 5 센티 길게 하면 , 5 센티의 어긋남이 금방 줄어들어 , 절름걸이가 바로잡히는 이치이지요 . 그것을 발견하여 , 열심히 절름걸이 회원을 바로잡고 있었어요 .
엔도 : 나앗읍니까 .
이소가이 : 잠깐만에 , 아프지 않게 낫았읍니다 . 그리되면 , 회원 이라는 사람은 자기가 낫은 것과 같은 병을 가진 사람을 데려 오는 법이지요 . 그런데 , 절름걸이가 낫은 사람이 절름걸이 회원을 데리고 왔을 때 , 선생 , 저는 이전에 여기서 절름걸이를 바로잡은 뒤부터 , 위 헗음이 낫았어요 , 라던가 , 머리아픔이 낫았어요 , 어깨결림이 낫았어요 , 라고 하는 소식이 아주 많이 늘어나게 되었던 것입니다 . 그래서 , 그런식으로 윗몸에도 영향을 주는가 라고 하는 생각에서 , 연구를 온몸으로 넓혀 갔읍니다 . 그래서 절름걸이를 바로잡는 것에 의해 , 골반을 통하여 척주가 생리적인 구부러짐으로 되고 , 그 결과 , 내장의 기능도 건강하게 된다 , 라고 하는 생각에 이르렀던 것입니다 .
척주가 생리적으로 좋은 구부러짐으로 되면 , 역학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나는 머리아픔 , 어깨결림 , 허리아픔 따위도 낫는 이치입니다 .
-37
27 . 글자를 가로로 쓰면 한쪽으로 치우친다 . 공책을 비스듬이 놓고 글을 쓴다 . ( 앞 위치바뀐 쪽 )
28 . 눈을 감고 똑바로 가게 하면 , 다리 긴쪽으로 치우쳐 간다 . ( 앞 위치바뀐 쪽 )
이상과 같은 아이는 , ` 아기 , 어린아이의 바로잡기법 ` 을 끈기 있게 실행하여 , ` 일상동작에 의한 바로잡기법 ` 을 버릇들이면 , 근육계가 부드럽기 때문에 , 눈에 띄게 건강하게 된다 .
Ⅳ. 이소가이 역학건강법에 의한 , 병의 바로보기 , 바로잡기 , 미리막기
1 . 엉덩 이음마디의 위치바뀜에 의해 생기는 병
역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 엉덩이음마디의 잘못된 상태는 온몸에 영향을 미치고 , 총체적인 비뚜름을 일으켜서 , 몸의 여러 곳에 병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 모든 병의 뿌리 원인은 , 엉덩 이음마디의 위치바뀜이다 라고 말해도 심한 말이 아니다 . 엉덩이음마디가 정상이지 않으면 , 척주도 정상으로는 있을 수 없는데 , 척주의 잘못됨이 , 여러가지 기능장애를 일으켜서 , 병의 원인으로 되는 것은 , 종래에도 많은 사람이 지적했던 것이다 .
그 기능장애들은 , 가볍다면 병으로서 느껴지지 않는다 . 스스로 느껴서 , 이른바 병이 생겼다 라고 여겨지는 곳은 , 기능장애의 정도가 가장 커다란 곳이다 . 엉덩이음마디의 위치바뀜의 상태나 그 정도에 의해 , 몸의 어딘가에 기능장애가 일어나는가가 정해져 있다 .
ㄱ . 다리에 생기는 병
① 엉덩이음마디의 앞 위치바뀜 ( 넓적다리가 바깥으로 비틀어져 있는 상태 ) 에 의한 것
신경통 , 류마티스 , 각기병 , 무릎관절병 ( 무릎관절 굳어짐 , 뼈막염증 , 골수염 , 카리에스 ? , 수종 따위 ) , 아랫다리 마비 , 아랫다리 비틀어짐 , O 다리 , 탈저 , 통풍 , 동상 , 혹 , 다리 관절병 ? 따위 .
② 엉덩이음마디의 뒷 위치바뀜 ( 넓적다리가 안쪽으로 비틀어져 있는 상태 ) 에 의한 것
신경통 , 류마티스 , 각기병 , 종아리 쥐남 , 아킬레스 힘줄 굳어짐 , 아랫다리 마비 , 아랫다리 비틀어짐 , X 다리 , 다리 변형 ? , 냉증 ( 피흐름 장애 ) , 동상 따위 .
위와 같이 , 거의 모든 다리의 병은 , 엉덩이음마디의 위치바뀜과 관련되어 있다 .
ㄴ . 윗몸에 생기는 병
엉덩이음마디의 이상 상태는 , 반드시 척주의 위치바뀜 , 비틀어짐을 일으키는데 , 척주가 위치바뀌는 곳은 , 엉덩이음마디의 위치바뀐 각도나 , 그 밖의 조건에 의해 , 각각 다르게 된다 . 그리고 척주가 위치바뀐 곳에 따라서 , 곳곳에 자각증상이 있게 된다 . 병이 생기는 곳은 , 척수가 눌린 곳에 의해 정해지는데 , 같은 한 사람이라도 , 척수가 눌리는 곳은 아래위로 옮기는 적이 있어 , 병도 그것에 따라서 변화한다 .
어쨋든 , 엉덩이음마디의 잘못됨이 있는 한 , 이것에 비례하여 골반이 비뚜러져 있다 . 그리고 그 골반의 비뚜름에 대하여 , 총체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 척주의 비뚜름이 어딘가에 나타나게 된다 . 따라서 엉덩이음마디의 잘못됨을 바로잡지 않고 , 척주를 바른 상태로 되돌리게 하는 것은 되지 않는다 . 척주의 위치바뀜과 총체적인 비뚜름과 관련하여 나타나게 되는 증상은 , 다음대로인데 , 그 뿌리 원인은 엉덩이음마디의 잘못됨이다 .
① 주로 목뼈 ( 목에 해당하는 부분의 척주 ) 의 위치바뀜에 관련된 것
* 눈의 병 : 백내장 , 녹내장 , 눈물선의 이상 , 안개 낀 눈 , 사팔뜨기 , 여러가지 염증 , 좌우 눈의 크기가 다름 따위가 그 주된 것인데 , 원시 , 근시 , 색맹 따위도 , 이 목뼈의 위치바뀜의 각도나 총체적인 비뚜름과 관련되어 있는 ? 것이 예상되고 , 더욱 연구가 필요하다 .
* 귀 , 코의 병 : 코 고름 , 콧물 많은 병 , 편도선염 , 아데노이드 ( 옮 : 인두편도 커짐 병 , 코가 막힘 ) , 중이염 , 난청 따위가 , 그 주된 것인데 , 고막이 있는데도 말을 할 수 없는 벙어리 따위도 , 이 관점에서의 살펴보기가 필요하다 .
* 그 밖의 병 : 바세도우 씨 병 ( 옮: 갑상선 기능항진증 ) , 얼굴신경통 , 침 많은 병 , 혀가 잘 나오고 들어가지 않는 병 , 발음장애 , 치과질환 , 목뼈에서 나오고 있는 신경이 지배하는 장기의 병 따위는 , 어느것이라도 , 주로 목뼈의 위치바뀜이 원인이 되어 생긴다 .
② 주로 흉추 ( 등에 해당하는 곳의 척주 ) 의 위치바뀜에 관련된 것
가슴질환 , 갈비 막염 , 갈비 사이 신경통 , 심장질환 , 유선염 , 유방암 , 위장병 ( 위 처짐 , 위 헗음 , 위 암 따위 ) , 당뇨병
- 28
옮 : 전문가가 되려는 분들을 위한 글이라 , 직역합니다 .
인류의 90 % 이상의 사람이 , 역학적으로 참 건강체이지 않기 때문에 , 그 사람들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 64 종류의 다리 이상 각도를 각각에 맞추어서 , 정반대로 바로잡아 갈 필요가 있다 .
따라서 , 바로잡기에 임하는 시술자는 , 충분히 , 실제의 바로잡기를 경험하지 않으면 , 라고 한다면 착각을 일으킨다 .
요사이 , 의사 , 맛사지 , 침 , 뜸 따위의 선생분인 견학자가 급증하고 있다 . 일본인은 흉내내는 것을 잘하는데 , 이소가이 건강법은 언뜻보아 단순해 보여도 , 아주 미묘한 주의가 필요해서 , 바로잡기 풍경을 견학하는 것만으로 , 단순히 흉내낼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 빨리 삼킨 사람이 있어 , 재빨리 실험하고 실패하신 예도 있어서 ,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
엉덩관절의 전위각도를 , 잘 이해한 위에서 , 늘 몸 전체의 균형과 , 내과적 , 외과적 , 그 밖의 온몸의 종합증상을 머리에 두고 , 바로잡지 않으면 안된다 . 실패는 결코 허용되지 않는다 .
① 오른쪽으로 몸을 비튼다 ② 왼쪽으로 비튼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온 몸
①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②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음식을 씹을 때
① 왼쪽으로 씹는다 ② 오른쪽으로 씹는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귀울림
① 오른 귀부터 시작됐다 ② 왼 귀부터 시작됐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바로 앉기 때의 발끝
① 왼 발끝이 위에 있다 ② 오른 발끝이 위에 있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배꼽의 위치 , 아랫배의 크고작음
① 배꼽은 오른쪽으로 치우치고 , 오른 아랫배가 크다
② 왼쪽 , 왼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무릎 한 쪽을 세울 때
① 오른다리를 세운다 ② 왼다리를 세운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색시처럼 옆으로 앉을 때
①오른쪽으로 다리를 내민다 ② 왼쪽으로 다리를 내민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양반앉기를 할 때
① 왼다리를 안쪽으로 꼰다 ② 오른다리를 안쪽으로 꼰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 의자에 앉을 때
① 오른다리보다 왼다리가 앞으로 나온다 ② 왼다리보다 오른다리가 앞으로 나온다 ③ 어느쪽이라 할 수 없다
◆ 의자에 앉아 다리를 꼴 때
① 왼다리를 위로 꼰다 ② 오른다리를 위로 꼰다 ③ 어느쪽이라 말할 수 없다
isogai.kr 이소가이 코리아 건강법
51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