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한 번째 여행 - 해파랑길 ③ 건너뛰면서 추암에서 덕산까지 걷는 32구간
첫째 날, 삼척 시내를 앞두고 건너뛰기(2016년 7월 9일)
이번 구간은 꽤 길다. 게다가 삼척 시내를 앞두고는 산길이다. 시내를 거쳐 가는 길이야 장미공원도 둘러보고 둔치를 걸으니 좀 낫긴 하겠지만. 죽서루에서 오십천도 봐야겠고, 시립미술관도 구경해야 하니 하루에 걷긴 무리다. 해서 느긋이 집을 나선다. 터미널쯤에서 마치는 걸로 하고.
추암은 지난번에 차 기다리면서 오래 있었던 곳인데도 또 한참을 있다 가게 한다. 그게 꼭 촛대바위 때문만은 아니고, 날씨가 좋아서인가. 바닷물에 비치는 모래가 어찌나 곱던지. 발까지 담그고 놀진 않았지만 ‘어이쿠 늦겠다’ 싶을 만큼 꽤 오래 머물렀다.
이름 때문일까? ‘후진’, 그것도 ‘작은 후진’이라는 이름말이다. 물론 바로 옆 추암보다야 덜 하긴 하지만. 한적한 곳에 자그마한 해변이라 호젓하게 놀긴 딱 좋은데, 뭣 때문인지 황량하기만 하다. 뭐 아직 피서철이 아니니 꼭 그렇지만은 않겠지만, 지금은 그렇다.
‘새천년도로’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해안길을 따라 비치조각공원을 지나고 나면 산길로 올라서야 한다. 헌데 별 생각 없이 숨을 헐떡이며 언덕을 오르다 느닷없이 짖어대는 개소리에 쫓겨 내려오고 만다. 뭐 해가 살짝 지고 있는 것 같아 걱정이라는 핑계로 산길을 건너뛰긴 했지만, 어찌나 놀랐던지.
이런 색도 다 있나 싶으리만치 다양한 장미가 있는 공원을 지나니 해가 저문다. 삼척 시내니 큰 문제는 아니겠지만. 아까 가슴 철렁하게 한 덩치 큰 개가 아니었음 밤길을 걸을 뻔 했겠다. 또 덕분에 산길도 피하고 오롯이 해안을 따라 걸었으니 몸도 가뿐하다. 이제 어디 맛난 밥만 먹으면 되려나.
둘째 날, 시내 천변길은 또 건너뛰고(2016년 9월 24일)
결국 죽서루엔 못 올라본다. 지난 번 걷기 후에 삼척 올 일이 있어 그때 시립박물관은 구경했고. 굳이 빙 돌아 올 필요가 없어 또 건너뛰어 오십천교부터 시작하니 그렇다. 날씨가 좋아 죽서루에서 보는 오십천이 볼 만하겠는데, 좀 아쉽다.
겉보기에도 흉물처럼 보이는데다 노동자 탄압으로 악명 높은 시멘트 공장은 먼지도 먼지거니와 어찌나 소음이 심하던지. 사진 찍는다고 가까이 가도 눈만 껌뻑이던 고양이 말고는 호젓하기 이를 데 없던 곳인데. 하는 수 없다, 서두르는 수밖에. 햇빛에 반짝이는 오십천이 눈에 밟히지만.
오분이라는 마을을 지나니 오르막길이 시작된다. 지도를 보니 한재로 이어지는 옛 7번 국도인 듯하다. 오랜만에 만나는 아스팔트 고개니 마음을 다잡고 오른다. 9월도 보름이 지났건만 여전히 햇볕은 따가우니. 그나마 등 뒤로 있으니 다행이다. 바람도 선선히 불어오고.
어디서고 탁 트인 곳에는 이름도 요상한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 한재공원 아래도 그렇다. 그 보기 좋은 풍경을 다 가로막고 서 있는 꼴이라니. 그것도 절벽에 콘크리트를 처발라 지어진 것들이다. 다행히 한재공원에는 이르니 한결 낫다. 산마루가 그늘도 만들고 눈에 거슬리는 것도 없고.
한참을 쉬었다 내리막길을 내려서는데 저 밑에서 얼굴 까만 아저씨 한 분이 올라오고 있다. 얘길 들어보니 부산에서 출발해 20여일 째 걷고 있는 중이란다. 부인은 같이 못 걷고 중간에서 기다린단다. 해파랑길을 걷는 사람을 만나는 것도 드문 일인데 완주하는 이라니. 힘내시라!!
맹방은 꽤나 큰 곳이다. 맹방초에서 잠깐 볼 일 보고 줄곧 걸었는데 상맹방, 하맹방. 한 시간은 족히 걸었다. 사람 많을 때 라면이야 여기저기 상점도 열었을 거고 그러면 화장실도 있었을 테지만. 한 달 도 더 전에 해수욕 끝났다는 안내문이 내걸렸으니 말 다했다. 겨우 해변에서 잠깐 쉬었다 간다.
삼척은 오랜 시간 핵발전소 문제로 정부와 싸우고 있는 곳이다. 덕봉대교 건너 팔이구공원은 그 싸움에서 이긴 삼척 시민들이 세운 기념탑이 있는 곳이고. 80년대부터 시작된 싸움이 지난 지방 선거로 끝을 맺나 싶은데 아직은 아닌가보다. 정부가 여전히 지정고시를 철회하지 않고 있으니.
해가 벌써 산 너머로 넘어갔고 노을마저 어둠으로 바뀌지만 발걸음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부안에서였던가. 집집마다 골목마다 새겨있던 원전반대 그림들도 떠오른다. 탑에는 그 고되고 지난했던 과정들을 그저 담담히 담고 있을 뿐이겠지만 그걸 어찌 모른다 할 수 있을까.

* 스물한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추암에서 덕산까지 이어지는 32구간은 22.5km로 꽤 긴 편이다. 아침 일찍부터 걸으면 해 지기 전에 마칠 수 있겠지만 오며가는 시간 때문에 두 번에 나눠 걸었다.
* 가고, 오고
해파랑길 홈페이지(http://www.haeparanggil.org/?main)에는 구간별 교통편이 자세히 나와 있다.
해파랑길 홈페이지(http://www.haeparanggil.org/?main)에는 구간별 교통편이 자세히 나와 있다.
* 잠잘 곳, 먹을 곳
삼척 시내를 벗어나 맹방으로 가는 길은 먹을 만한 곳이 없다. 편의점이나 동네 슈퍼도 없는데다 화장실은 여름 한철이 아니면 맹방초등학교 밖에 없다.
삼척 시내를 벗어나 맹방으로 가는 길은 먹을 만한 곳이 없다. 편의점이나 동네 슈퍼도 없는데다 화장실은 여름 한철이 아니면 맹방초등학교 밖에 없다.
Tag // 7번 국도 걷기,
걷기여행,
덕봉대교,
동해안,
동해안 바닷길,
동해안 바닷길 걷기,
맹방,
삼척,
새천년도로,
오분,
오십천교,
작은 후진,
죽소루,
추암,
팔이구공원,
한재,
한재공원,
해파랑길,
핵발전소,
후진
이 글에 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