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2/06/12

 

어제 탈가정을 하고 청소년 인권활동을 하던 청소년이 친구와 있던 중에 자신이 살던 집 앞에서 친권자(부모 등)에게 강제로 끌려갔다는 이야기를 접했다. 탈가정과 탈학교. 우리 사회는 거기에 '위험'이란 딱지를 붙인다. 숨막히는 공간에서 벗어나 살 자유를 외쳐봐야 (구조를 읽지 않는 한) 혀를 차며 개탄해야 할 일탈일 뿐이다. 잠깐의 평온한 삶이 '허용되지' 않는 삶이다.
 
허용되지 않는 삶. 그 이야기를 듣고 스쳐 지나가는 장면이 있었다. '불법'체류자를 끌고가던 출입국사무소 직원들의 모습이었다. 이 사회에서 '허가받지' 못한 삶이라는 이유로 그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오죽하면 다쳐도 무허가의 삶이란 이유로 쫓겨날 것을 두려워해 상처입은 채 병원에서 도망치겠는가. 그러나 사람이 불법일 수 없다. 불법 사람은 없다.
 
스쳐지나가던 한 장면이 더 있다. 몇일 전 차를 타고 가다 무심결에 스쳤봤던 노랑 바탕에 '성소수자 허용하는 학생인권조례 반대'라는 현수막을 봤다. 허용이라. 누군가를 사랑하는 마음, 각자 삶의 선택권에 대해서 허용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그 오만함은 어디서 나오는가.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는 당신에겐 우리의 삶을 허락할 자격이 있단 말인가. 
 
어디 청소년, 이주민, 성소수자만이 그러겠는가. 노조를 하겠다는 사람, 철거민, 장애인 모두 이 사회에서 허락받지 못하는 사람이다. 아 그래, 자본과 권력이 있다면 다 할 수 있겠지. 그래서 우리는 항상 찌질찌질 한 시궁창에 산다. 그래도 삶의 어느 작은 한 부분은 '무허가'였으면 좋겠다. 어제 낮에 황망하게 겪었던 그 이들에게 뭐라 위로를 할까 하다가 입만 달싹거리다, 이런 글을 끄적이게 된다. 그냥 송경동씨의 시 '무허가' 를 붙인다. 이제 이 시의 의미를 아주 조금 나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같다.어제 탈가정을 하고 청소년 인권활동을 하던 청소년이 친구와 있던 중에 자신이 살던 집 앞에서 친권자(부모 등)에게 강제로 끌려갔다는 이야기를 접했다. 탈가정과 탈학교. 우리 사회는 거기에 '위험'이란 딱지를 붙인다. 숨막히는 공간에서 벗어나 살 자유를 외쳐봐야 (구조를 읽지 않는 한) 혀를 차며 개탄해야 할 일탈일 뿐이다. 잠깐의 평온한 삶이 '허용되지' 않는 삶이다.
 
허용되지 않는 삶. 그 이야기를 듣고 스쳐 지나가는 장면이 있었다. '불법'체류자를 끌고가던 출입국사무소 직원들의 모습이었다. 이 사회에서 '허가받지' 못한 삶이라는 이유로 그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오죽하면 다쳐도 무허가의 삶이란 이유로 쫓겨날 것을 두려워해 상처입은 채 병원에서 도망치겠는가. 그러나 사람이 불법일 수 없다. 불법 사람은 없다.
 
스쳐지나가던 한 장면이 더 있다. 몇일 전 차를 타고 가다 무심결에 스쳤봤던 노랑 바탕에 '성소수자 허용하는 학생인권조례 반대'라는 현수막을 봤다. 허용이라. 누군가를 사랑하는 마음, 각자 삶의 선택권에 대해서 허용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그 오만함은 어디서 나오는가.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는 당신에겐 우리의 삶을 허락할 자격이 있단 말인가. 
 
어디 청소년, 이주민, 성소수자만이 그러겠는가. 노조를 하겠다는 사람, 철거민, 장애인 모두 이 사회에서 허락받지 못하는 사람이다. 아 그래, 자본과 권력이 있다면 다 할 수 있겠지. 그래서 우리는 항상 찌질찌질 한 시궁창에 산다. 그래도 삶의 어느 작은 한 부분은 '무허가'였으면 좋겠다. 어제 낮에 황망하게 겪었던 그 이들에게 뭐라 위로를 할까 하다가 입만 달싹거리다, 이런 글을 끄적이게 된다. 그냥 송경동씨의 시 '무허가' 를 붙인다. 이제 이 시의 의미를 아주 조금 나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같다.

 

어제 탈가정을 하고 청소년 인권활동을 하던 청소년이 친구와 있던 중에 자신이 살던 집 앞에서 친권자(부모 등)에게 강제로 끌려갔다는 이야기를 접했다. 탈가정과 탈학교. 우리 사회는 거기에 '위험'이란 딱지를 붙인다. 숨막히는 공간에서 벗어나 살 자유를 외쳐봐야 (구조를 읽지 않는 한) 혀를 차며 개탄해야 할 일탈일 뿐이다. 잠깐의 평온한 삶이 '허용되지' 않는 삶이다.
 
허용되지 않는 삶. 그 이야기를 듣고 스쳐 지나가는 장면이 있었다. '불법'체류자를 끌고가던 출입국사무소 직원들의 모습이었다. 이 사회에서 '허가받지' 못한 삶이라는 이유로 그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오죽하면 다쳐도 무허가의 삶이란 이유로 쫓겨날 것을 두려워해 상처입은 채 병원에서 도망치겠는가. 그러나 사람이 불법일 수 없다. 불법 사람은 없다.
 
스쳐지나가던 한 장면이 더 있다. 몇일 전 차를 타고 가다 무심결에 스쳤봤던 노랑 바탕에 '성소수자 허용하는 학생인권조례 반대'라는 현수막을 봤다. 허용이라. 누군가를 사랑하는 마음, 각자 삶의 선택권에 대해서 허용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그 오만함은 어디서 나오는가.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는 당신에겐 우리의 삶을 허락할 자격이 있단 말인가. 
 
어디 청소년, 이주민, 성소수자만이 그러겠는가. 노조를 하겠다는 사람, 철거민, 장애인 모두 이 사회에서 허락받지 못하는 사람이다. 아 그래, 자본과 권력이 있다면 다 할 수 있겠지. 그래서 우리는 항상 찌질찌질 한 시궁창에 산다. 그래도 삶의 어느 작은 한 부분은 '무허가'였으면 좋겠다. 어제 낮에 황망하게 겪었던 그 이들에게 뭐라 위로를 할까 하다가 입만 달싹거리다, 이런 글을 끄적이게 된다. 그냥 송경동씨의 시 '무허가' 를 붙인다. 이제 이 시의 의미를 아주 조금 나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같다.어제 탈가정을 하고 청소년 인권활동을 하던 청소년이 친구와 있던 중에 자신이 살던 집 앞에서 친권자(부모 등)에게 강제로 끌려갔다는 이야기를 접했다. 탈가정과 탈학교. 우리 사회는 거기에 '위험'이란 딱지를 붙인다. 숨막히는 공간에서 벗어나 살 자유를 외쳐봐야 (구조를 읽지 않는 한) 혀를 차며 개탄해야 할 일탈일 뿐이다. 잠깐의 평온한 삶이 '허용되지' 않는 삶이다.
 
허용되지 않는 삶. 그 이야기를 듣고 스쳐 지나가는 장면이 있었다. '불법'체류자를 끌고가던 출입국사무소 직원들의 모습이었다. 이 사회에서 '허가받지' 못한 삶이라는 이유로 그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오죽하면 다쳐도 무허가의 삶이란 이유로 쫓겨날 것을 두려워해 상처입은 채 병원에서 도망치겠는가. 그러나 사람이 불법일 수 없다. 불법 사람은 없다.
 
스쳐지나가던 한 장면이 더 있다. 몇일 전 차를 타고 가다 무심결에 스쳤봤던 노랑 바탕에 '성소수자 허용하는 학생인권조례 반대'라는 현수막을 봤다. 허용이라. 누군가를 사랑하는 마음, 각자 삶의 선택권에 대해서 허용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그 오만함은 어디서 나오는가.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는 당신에겐 우리의 삶을 허락할 자격이 있단 말인가. 
 
어디 청소년, 이주민, 성소수자만이 그러겠는가. 노조를 하겠다는 사람, 철거민, 장애인 모두 이 사회에서 허락받지 못하는 사람이다. 아 그래, 자본과 권력이 있다면 다 할 수 있겠지. 그래서 우리는 항상 찌질찌질 한 시궁창에 산다. 그래도 삶의 어느 작은 한 부분은 '무허가'였으면 좋겠다. 어제 낮에 황망하게 겪었던 그 이들에게 뭐라 위로를 할까 하다가 입만 달싹거리다, 이런 글을 끄적이게 된다. 그냥 송경동씨의 시 '무허가' 를 붙인다. 이제 이 시의 의미를 아주 조금 나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같다.
어제 탈가정을 하고 청소년 인권활동을 하던 청소년이 친구와 있던 중에 자신이 살던 집 앞에서 친권자(부모 등)에게 강제로 끌려갔다는 이야기를 접했다. 탈가정과 탈학교. 우리 사회는 거기에 '위험'이란 딱지를 붙인다. 숨막히는 공간에서 벗어나 살 자유를 외쳐봐야 (구조를 읽지 않는 한) 혀를 차며 개탄해야 할 일탈일 뿐이다. 탈가정-탈학교의 삶은 잠깐의 평온함도 '허용되지' 않는 삶이다.
 
허용되지 않는 삶. 그 이야기를 듣고 스쳐 지나가는 장면이 있었다. '불법'체류자를 머리채를 붙잡아 끌고가던 출입국사무소 직원들의 모습이었다. 스쳐지나가던 한 장면이 더 있다. 몇일 전 차를 타고 가다 무심결에 스쳤봤던 노랑 바탕에 '성소수자 허용하는 학생인권조례 반대'라는 현수막을 봤다. 
 
허용이라. 누군가를 사랑하는 마음, 각자 삶의 선택권에 대해서 허용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그 오만함은 어디서 나오는가.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는 당신에겐 우리의 삶을 허락할 자격이 있단 말인가. 아 그래, 자본과 권력이 있다면 다 할 수 있겠지. 그래서 우리는 항상 찌질 찌질 한 시궁창에 산다. 노조를 하겠다는 사람, 철거민, 장애인 모두 허락받지 못하는 사람이다. 
 
그래도... 삶의 어느 작은 한 부분은 '무허가'였으면 좋겠다. 
 
어제 낮에 황망한 일을 겪었던 그 이들에게 뭐라 위로를 할까 입만 달싹거리다 이런 글을 끄적이게 된다. 그냥 송경동씨의 시 '무허가' 를 붙인다. 이제서야 이 시를 아주 조금이나마 나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같다.
 
무허가
송경동 
용산4가 철거민 참사현장
점거해 들어온 빈집 구석에서 시를 쓴다
생각해보니 작년엔 가리봉동 기륭전자 앞
노상 컨테이너에서 무단으로 살았다
구로역 CC카메라 탑을 점거하고
광장에서 불법텐트생활을 하기도 했다
국회의사당을 두 번이나 점거해
퇴거불응으로 끌려나오기도 했다
전엔 대추리 빈집을 털어 살기도 했지
허가받을 수 없는 인생
그런 내 삶처럼
내 시도 영영 무허가였으면 좋겠다
누구나 들어와 살 수 있는
이 세상 전체가
무허가였으면 좋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7회 서울인권영화제 및 말하는 건축가 초간단 감상평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해서 도저히 최근에 봤던 영화들 감상문을 쓸 수가 없을듯. 초간단 정리만하고 나중에 복기해야할듯;;;
 
- 카사블랑카의 여자들 : 주요 배경인 유럽의 마을과 지중해, 그리고 1세대 트랜스젠더인 3명의 여주들을 더욱 매력적으로 부각시켜주는 영상이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주인공들이 백인이 아니라 흑인 혹은 동양인이었다면 어땠을까라는 질문도 던지게 된다. 60이 넘었지만 관계에서 자유롭지 않은 그이들의 모습도 기억에 남음.
 
- 새로운 학교 : 학생인권조례? 그게 끝이 아니다. 학교 안에 있는 이들의 삶의 방식은 조례가 만들어진다고 달리지지 않는다. 그럼 학교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지금의 학교구조로는 풀 수 없는 질문들이 있다. 교실에서 수업시간에 다른 일을 하거나 자는 학생들의 모습이 반복적으로 나오자 객석 뒤편에 앉아있던 청소년들이 '어 저거 우리 학교랑 똑같네'하는 말이 생각난다.
 
- 우리가 원하는 것 : 이주노동자 밴드 스탑크랙다운의 노래를 듣고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 미누씨가 건강하시다는 것에 다행. 즐겁고 슬픈 한편의 뮤직 드라마. 
 
- 고용 : 우리거 서로의 삶을 착취하는 것은 어떻게 끝낼 것인가. 마지막 장면을 보며 이 영화를 감성자극 버젼으로 바꾼다면 루시드폴의 '사람이었네'를 배경음악으로 썼을듯.
 
- 컨베이어벨트 위의 건강 : 신자유주의 아래 건강권과 질병은 상품이다. 도요타 방식이 어떻게 의료영역으로 살짝살짝 알 수 있었음. '초 단위의 생산조절을 통해 노동강도'를 완성시키는 도요타주의가 노동자를 겁나 빡세게 만들거라는 느낌을 영상 편집으로 잘 보여줬음. 대공장 노동조합 활동가들과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봤음.
 
- 말하는 건축가 : '건축가는 해결책을 내지 않는다. 공간을 만들어 사람들을 조직해 줄 뿐이다'는 말은 꼭 건축가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닐듯. 왜 건물 짓는 건축가가 아니라 '말하는 건축가'인지는 영화를 보고 나면 알 수 있음. 죽음 앞에 위엄이 있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 말하는 건축가 : '건축가는 해결책을 내지 않는다. 공간을 만들어 사람들을 조직해 줄 뿐이다'는 말은 꼭 건축가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닐듯. 왜 건물 짓는 건축가가 아니라 '말하는 건축가'인지는 영화를 보고 나면 알 수 있음. 죽음 앞에 위엄이 있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내 도저히 최근에 봤던 영화들 감상문을 쓸 수가 없구나. 초간단 정리만하고 나중에 복기해야할듯;;;
 
- 카사블랑카의 여자들 : 주요 배경인 유럽의 마을과 지중해, 그리고 1세대 트랜스젠더인 3명의 여주들을 더욱 매력적으로 부각시켜주는 영상이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주인공들이 백인이 아니라 흑인 혹은 동양인이었다면 어땠을까라는 질문도 던지게 된다. 60이 넘었지만 관계에서 자유롭지 않은 그이들의 모습도 기억에 남음.
 
- 새로운 학교 : 학생인권조례? 그게 끝이 아니다. 학교 안에 있는 이들의 삶의 방식은 조례가 만들어진다고 달리지지 않는다. 그럼 학교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지금의 문제로 풀 수 없는 질문들이 있다. 교실에서 자는 학생들의 모습이 반복적으로 나오자 객석 뒤편에 앉아있던 청소년들이 '어 저거 우리 학교랑 똑같네'하는 말이 생각난다.
 
- 우리가 원하는 것 : 이주노동자 밴드 스탑크랙다운의 노래를 듣고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 미누씨가 건강하시다는 것에 다행. 즐겁고 슬픈 한편의 뮤직 드라마. 
 
- 고용 : 우리거 서로의 삶을 착취하는 것은 어떻게 끝낼 것인가. 마지막 장면을 보며 이 영화를 감성자극 버젼으로 바꾼다면 루시드폴의 '사람이었네'를 배경음악으로 썼을듯.
 
- 컨베이어벨트 위의 건강 : 신자유주의 아래 건강권과 질병은 상품이다. 도요타 방식이 어떻게 의료영역으로 살짝살짝 알 수 있었음. 초 단위의 생산조절을 통해 노동강도를 겁나 빡세지겠다는 느낌을 영상 편집으로 잘 보여줬음. 대공장 노동조합 활동가들과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봤음.
 
- 말하는 건축가 : '건축가는 해결책을 내지 않는다. 공간을 만들어 사람들을 조직해 줄 뿐이다'는 말은 꼭 건축가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닐듯. 왜 건물 짓는 건축가가 아니라 '말하는 건축가'인지는 영화를 보고 나면 알 수 있음. 죽음 앞에 위엄이 있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내 도저히 최근에 봤던 영화들 감상문을 쓸 수가 없구나. 초간단 정리만하고 나중에 복기해야할듯;;;
 
- 카사블랑카의 여자들 : 주요 배경인 유럽의 마을과 지중해, 그리고 1세대 트랜스젠더인 3명의 여주들을 더욱 매력적으로 부각시켜주는 영상이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주인공들이 백인이 아니라 흑인 혹은 동양인이었다면 어땠을까라는 질문도 던지게 된다. 60이 넘었지만 관계에서 자유롭지 않은 그이들의 모습도 기억에 남음.
 
- 새로운 학교 : 학생인권조례? 그게 끝이 아니다. 학교 안에 있는 이들의 삶의 방식은 조례가 만들어진다고 달리지지 않는다. 그럼 학교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지금의 문제로 풀 수 없는 질문들이 있다. 교실에서 자는 학생들의 모습이 반복적으로 나오자 객석 뒤편에 앉아있던 청소년들이 '어 저거 우리 학교랑 똑같네'하는 말이 생각난다.
 
- 우리가 원하는 것 : 이주노동자 밴드 스탑크랙다운의 노래를 듣고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 미누씨가 건강하시다는 것에 다행. 즐겁고 슬픈 한편의 뮤직 드라마. 
 
- 고용 : 우리거 서로의 삶을 착취하는 것은 어떻게 끝낼 것인가. 마지막 장면을 보며 이 영화를 감성자극 버젼으로 바꾼다면 루시드폴의 '사람이었네'를 배경음악으로 썼을듯.
 
- 컨베이어벨트 위의 건강 : 신자유주의 아래 건강권과 질병은 상품이다. 도요타 방식이 어떻게 의료영역으로 살짝살짝 알 수 있었음. 초 단위의 생산조절을 통해 노동강도를 겁나 빡세지겠다는 느낌을 영상 편집으로 잘 보여줬음. 대공장 노동조합 활동가들과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봤음.
 
- 말하는 건축가 : '건축가는 해결책을 내지 않는다. 공간을 만들어 사람들을 조직해 줄 뿐이다'는 말은 꼭 건축가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닐듯. 왜 건물 짓는 건축가가 아니라 '말하는 건축가'인지는 영화를 보고 나면 알 수 있음. 죽음 앞에 위엄이 있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