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격주간 정치신문 사노위 31호>사라진 노동자 후보 반MB 야권연대의 사필규정

정체성을 되묻게 하다
참으로 우습다. 야권의 비례대표 노동자 후보 당선은 통합진보당의 정진후가 유일했다는 기사가 났다. 그 밑에 댓글은 “노동자가 어디 있느냐? 다 학출이다”라고 비아냥된다.
학생운동 출신이건 아니건 노동자 후보의 잣대가 될 수 없고, 전교조 출신인 정진후가 대학을 나오지 않았다면 교사로서 전교조 조합원 자격을 애초에 가질 수 없는 것이니 댓글은 한참 꼬인 비아냥거림임에 틀림없다.
원초적인 문제는 노동조합 위원장 출신으로 비례대표 후보가 된 정진후에게서 노동자 후보의 정체성을 찾을 수 없는 것이었다. 전교조 성폭력 문제에 대한 그의 태도 뿐 아니라 그 자신도 노동자후보라는 것을 굳이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지 않았던가. 지난 기간 노동자 후보라는 명제는 단순히 노동자 출신이라는 것에만 기인하지 않는다. 노동자 후보는 노동자 계급의 해방과 피착취 민중의 해방을 자신의 임무로 삼고 선거에 나선자다. 이것은 설사 운동 정파적 이해가 다르다 해도 암묵적인 기준이었다.

약력에 불과했던 노동자‘출신’후보
민주노총은 34명의 지지후보를 발표하면서 이들의 지지를 호소했는데, 이들은 전부 통합진보당의 후보였으며, 비례대표 역시 통합진보당을 몰아주었다. 심지어 야권연대로 나온 후보 역시 민주노총 연대후보가 됐다. 민주노총 위원장은 민주당 선거까지 나서는 민주당의 2중대 역할을 자처했다.
결과적으로 총선에서 노동자 후보라는 이름에 걸맞은 계급 이해에 따른 요구와 투쟁은 펼쳐진 바가 없으며, 실제 이들을 노동자 후보라고 인식하는 대중이나 현장의 노동자도 극소수일 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통합진보당은 그들 스스로 계급성에서 벗어나고 싶어하고, 실제 벗어나 있었으니, 당 소속의 개별 후보는 말할 것도 없을 뿐 더러, MB심판에 있어 노동자의 계급적 이해는 군더더기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19대 총선에서는 ‘노동자의 정치세력화’라는 언사조차 사라져버렸다. 노동조합 출신이라는 이유로 노동자 후보라고 한다면 한국노총의 출신의 노동자후보는 부지기수다.
그러나 민주성과 투쟁성을 견지하고자하는 현장 노동자의 정서는 그들을 노동자 후보라 인정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바로 노동자 후보가 가지는 명확한 정체성, 즉 노동자계급의 해방, 피착취 민중의 해방을 직접적인 자기 목표와 실천이 있어야만 인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총선에서 ‘노동자 후보’는 노동조합 출신일 뿐 약력 이상의 무엇도 아닌 것이 되고 말았다. 정리해고와 비정규직의 문제는 지나치는 선거 시기 양념에 지나지 않았으며, 대다수의 노동진영은 자신을 제도 정치의 하위 파트너로 배치하고 자신의 투쟁과 조직조차 방기했다.
이에 대당하는 대안적 투쟁과 선거전술 역시 흡족하게 조직되지 못하였다. 반MB 야권연대를 비판했던 사노위를 포함한 모든 세력은 이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무겁게 현실을 바라봐야 할 것이다.
반복되는 선거에서 노동자계급 정치, 사회주의 정치는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답을 내놓지 않는다면 한국정치에서 유의미한 비판자로도 서지 못할 것이다.

김재광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