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격주간 정치신문 사노위 36호> 민주노총 지도부는 새로운 정치세력화의 주체가 아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진당 사태, 민주노총 지도부도 한 몫


통진당 사태 이후 민주노총 지도부는 ‘통진당에 대한 조건부 지지철회’를 결정하면서 동시에 ‘제2의 노동자정치세력화를 위한 특별기구 설치’를 결의했다. 그리고 지난 6월 8일에는 특별위원회(새정치특위)를 구성해 지난 정치세력화의 운동을 평가하고 향후 전망을 수립하겠다는 사업방향을 제출했다.
이를 두고 과연 민주노총 지도부가 제2의 정치세력화 운동을 벌여나갈 주체로 설 수 있는가에 대해 많은 의문이 대두되고 있다. 일일이 열거할 필요도 없이 최근 통진당 사태로 드러나고 있는 노동자정치의 ‘실종’, 패권주의, 대리주의-의회주의로 점철된 정치활동 등은 민주노총 지도부 또한 그 책임으로부터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마치 통진당은 가해자이고 민주노총은 피해자인 것처럼 구는 행위는 기만이다.

 

 

반성없이 또 다시 주체 행세


가장 큰 문제는 일련의 사태에 대해 민주노총이 자기반성과 성찰없이 또다시 ‘새로운 노동자정치세력화’라는 이름으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중조직 상층 중심의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야권연대의 패배와 통합진보당의 당내 경선 부정선거를 계기로 민주노총 내의 기층에서부터 문제제기가 강하게 이어졌다. 더구나 민주노총의 가맹, 산하 각급 조직에서의 혼란과 논란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간에 민주노총이 진보정당운동에서 행한 몰(탈)계급적, 상층중심적 논의로 인한 대리주의, 우경화에 대한 자기반성은 어디서도 찾을 수 없다.
그저 통합진보당이 잘못되었으니 ‘새로운 노동자정치세력화’가 필요하다는 말 뿐이다. 반성이 없으니 똑같은 폐단을 반복할 수 밖에 없다. 여전히 민주노총 지도부는 자신들이 새로운 정치세력화 운동의 주체이자,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행세한다. 하지만 새로운 정치세력화는 결코 민주노총 지도부가 나서서 할 수도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노동자정치운동이 제대로 가려면, 이제는 현장노동자들이 주체로 서는 새로운 정치세력화를 도모해야 한다. 또 다시 대중조직 상층의 의사결정만으로, 정치세력끼리의 흥정으로, 실패한 정치세력화운동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자격 없다


또 하나의 문제는 민주노총 지도부가 일련의 사태를 통진당 내부의 문제로만 국한시켜 자기 책임을 교묘히 피해가면서도 이른바 ‘통진당 고쳐쓰기’를 할 태세를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그들이 말하는 새로운 정치세력화 주체는 여전히 통진당이 포함돼 있다. 탈노동, 탈계급으로 우경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통진당을 ‘진보’로 보는 이들이 민주노총의 주요 자리를 꿰차고 새로운 정치세력화운동을 사실상 막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정치세력화운동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통진당 사태로 더욱 명확해진 지난 정치세력화 운동의 실패를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통진당은 더 이상 노동자 정치의 일부가 아님을 분명하게 선언해야 한다. 그것을 할 수 없는 민주노총 지도부라면, 그들은 결코 새로운 정치세력화를 논할 자격이 없다.

 

 

지금 민주노총에게 필요한 것


민주노총이 지금 해야 할 것은 지난 10여 년간의 진보정당운동과 노동자정치세력화에 대한 진정한 자기 반성과 성찰이다. 그리고 자본주의에 맞서는 노동자계급정당 건설운동을 아래로부터 만들어나갈 수 있는 정치토론의 장을 여는 것이다. 이 속에서 동원의 대상이 아니라 당 건설 운동의 주체로 노동자들이 서 나갈 수 있도록 복무하는 것이다.
민주노총 지도부가 뭔가 다시 결정하고 결단하면 된다는 그 생각부터 버리는 게 좋다. 지금은 해서도 안 되고 실제 통하지도 않는다.

 

정성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