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는 상품을 사용가치와 가치의 이중성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봅니다. 상품은 단지 우리에게 유용한 물건, 한 단계 더 나아가면 판매를 위해 생산된 노동생산물이라는 겁니다. 특정한 재료(원료)에 일정한 노동력이 투여되어 하나의 형태를 가진 물건인 셈이지요. 상품을 이런 식으로 분석하는 것은 상품생산 체제가 야기하는 모순을 드러내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우리가, 비유해서 말하자면, 어떤 물건을 잠시 째려 본다거나 잠시 손으로 만져보는 것만으로 그 물건의 본질을 간파할 수 있다면 과학은 필요가 없겠지요. 우리는 아무로 레이와 같은 뉴타입이 아닙니다. 과학은 그 대상에 따라 논리를 수단으로 삼거나 실험을 그 수단으로 삼아 대상을 분석하여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는 거지요.
맑스가 상품을 사용가치와 가치라는 이중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은 상품의 본질에 다가가기 위한 분석의 첫 단계에 불과합니다. 앞서 사용가치는 충분하게 설명했습니다만, 하나만 더 덧붙이자면 사용가치는 타인에게 유용한 사물로 인정받아야 합니다. 이것을 철학적으로 사용가치가 실현된다고 표현합니다. 마치 내가 머릿 속에 모짜르트도 울게 만들 그런 엄청난 곡을 간직하고 있다 하더라도 악보위에 옮길 수 있어야 합니다. 나의 머릿 속에 아직 관념으로 존재하고 있는 황홀한 음악은 악보 위에 하나의 기호로 실현될 수 있어야 한다는 거지요.
상품의 사용가치가 그 상품을 만든 개인의 구체적인 노동의 결과인 반면 상품의 '가치'는 단순히 인간노동 일반의 지출만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을 기억합시다. 맑스는 한 상품의 가치가 제대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교환을 위해 다른 상품과 마주서기만 하면 된다고 합니다. 가치는 단지 그 상품을 만든 노동자가 남자건 여자건 백인이건 흑인이건 '일반적인 인간노동'의 지출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우리는 가치를 눈으로 볼 수 없고 만질 수도 없고 머릿 속에 이미지를 떠 올릴 수도 없습니다. 가치는 감적적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인간노동 엑기스"인 거지요.
맑스는 가치가 "상품과 상품이 마주서는 일정한 관계 속에서만 감지될 수 있는 초감각적인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x량의 상품 A = y량의 상품 B, 또는 한가마의 쌀 = 10개의 호미
한가마의 쌀과 10개의 호미가 교환된다면 분명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어떤 기준이 있을 겁니다. 두 상이한 사용가치를 가진 상품을 교환 가능하게 해주는 어떤 것이 상품의 가치입니다. 사용가치는 질적 차이를 나타내지만 가치는 단지 양적 차이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가치는 크기로 나타나며 상품이 교환되는 비율의 지수로 나타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 상품의 가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추상적 노동이며 오직 양적인 의미만을 가집니다. 이것은 가치가 서로 다른 노동형태의 서로 다른 특성을 모두 사상한 단순한 인간노동의 "엑기스"라는 측면에서, 개별 생산자들의 구체적인 노동의 특수한 내용이 지워진, 오직 대상화된 노동시간의 크기로만 측정되기 때문입니다.
제가 이렇게 중언부언하는 것이 오히려 이해를 어렵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한 번 [자본]에 있는 글을 그대로 인용해 보겠습니다.
"재봉노동과 직포노동이 사용가치로서의 상의나 아마포의 형성요소인 것은 바로 재봉노동과 직포노동이 서로 다른 질(質)인 까닭이다. 재봉노동이나 직포노동이 상의의 가치나 아마포의 가치의 실체인 것은 오로지 재봉노동이나 직포노동의 특수한 질이 사상(捨象)되어 양자가 동등한 질, 곧 인간노동이라는 질을 지니고 있는 한에서이다."
맑스는 이러한 전제로부터 가치를 규정합니다. 가치는 상품 그 자체와 구별되며, 상품의 일반적인 교환능력이자 상품이 가지고 있는 교환 가능성입니다. 그리고 상품이 교환되는 비율을 나탄낸다는 점에서 인간노동을 양으로 환산한 단위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상품의 가치를 형성하는 것은 추상적 노동의 양입니다. 이것은 각기 다른 장소와 다양한 형태의 노동이 수행된다 하더라도 모든 상품의 가치는 상품에 투여된 노동시간을 통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품이 사용가치와 가치라는 이중성 가진다는 것은 상품을 만드는 노동의 상이한 두 측면을 나타낸다는 것을 말합니다. 말하자면 이런 거지요.
상품의 사용가치 = 구체적 노동 = 상품의 유용성 가치 = 추상적 노동 = 상품이 교환되는 비율의 지수(指數)
우리가 경험적으로 알 수 있는 물신주의의 모든 문제가 바로 이와 같은 상품의 이중성에서, 그리고 상품의 이중성으로 나타나는 노동의 이중성에서 비롯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