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물신성에 대한 단적인 정의는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가 사물들 사이의 관계로 나타난다는 겁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을 전도(Verkehrung, reversion)라고 합니다. 맑스에 의하면 이러한 전도된 관계는 자본주의 상품생산 체제에서만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상품생산 체제가 사라지면 이와 같은 전도된 관계도 사라지겠지요. 앞서 시몬느 베이유의 주장을 요약하면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바로 악의 근원인 셈이지요.
맑스는 [자본]의 서문에서 이 책을 쓴 궁극적 목표가 "근대 사회의 경제적 운동법칙을 밝혀 내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자본]을 "상품" 분석에서 시작하는 이유는 상품이 자본주의의 경제적 세포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실 맑스의 [자본](Das Kapital)이 어렵다고 말들을 하는데 이건 좀 과도한 겸손의 표현이거나 저작에 대한 선입견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맑스의 이 책은 주어지는 논리 그대로만 읽어도 충분히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점에서 당원 동지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먼저 [자본]의 서술 논리를 그대로 따라가면 상품에 대한 정의가 나옵니다. 자본주의에서 상품은 "(사회적)부의 기본형태"라는 거지요. 맑스는 상품의 분석에서 화폐 분석으로 나아가는데 결론을 미리 약간 언급하자면 상품이 곧 화폐라는 겁니다. 그래서 상품분석은 곧 화폐의 비밀을 파헤치는 전제가 되는 셈이지요. 화폐가 무슨 그런 비밀스러운 거냐고 되물을 수 있겠지만 잠시 맑스가 [경제학 철학 수고]에서 인용하고 있는 세익스피어의 시를 살펴보면 이 말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겁니다.
금? 귀중하고 반짝거리는 순금? 아니라네, 신들이여!
실없이 내가 그것을 기원하는 것은 아니라네.
이만큼만 있으면, 검은 것을 희게,
추한 것을 아름답게 만든다네.
나쁜 것을 좋게, 늙은 것을 젊게, 비천한 것을 고귀하게 만든다네
이것은 사제를 제단으로부터 ...... 꾀어낸다네
다 나아가는 병자의 머리 밑에서 베개를 빼내가 버린다네
그렇다네, 이 황색의 노예는
....
도둑에게 작위와 궤배와 권세를 부여한다네, 또 이 노예는
늙어 빠진 과부에게 청혼자를 데리고 온다네.
양로원에서 상처로 인해 심하게 곪고 있던 그 과부가
메스꺼운 모습을 떨쳐버리고 오월의 청춘으로 되어서
청혼한 남자에게 간다네. 에이. 빌어먹을 금속아,
너는, 국민들을 모욕하는 인간 공동의 창녀로다
-세익스피어의 [아테네의 타이몬] 중에서
이어 맑스는 "화폐는 눈에 보이는 신(神)이며, 모든 인간적 자연적 속성의 그 반대의 것으로의 전환이요, 사물의 보편적 혼동과 전도이다"라고 쓰고 있습니다. 어떻게 화폐가 이런 신과 같은 권능을 가지게 되었을까? 이게 맑스가 상품 분석을 통해 밝혀 내려는 화폐의 비밀입니다. 모든 도둑이 최고의, 궁극의 한탕으로 열망하는 곳이 바로 은행 아닙니까? 수천장의 수표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말이죠.
3. 상품의 이중성
모든 상품이 인간의 필요와 욕구의 산물이 아닌 것처럼 인간의 욕구와 필요의 산물이라고 해 서 모두 상품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상품은 사용가치와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사물의 유용성이 그 사물의 사용가치입니다. 분필의 사용가치는 칠판에 자신의 흔적을 부드럽게 남기는 거지요. 만약 분필이 삑삑 소리만 나고 칠판에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면 그런 분필을 누가 사겠습니까? 그러나 사용가치를 가지는 모든 물건이 상품은 아닙니다. 맑스는 하나의 사물이 상품이 되기 위해서는 자립적이고 서로 독립해 있는 사적 노동의 생산물만이 상품이 되며 이 상품은 특수한 인간 욕망에 맞추려는 특수한 합목적적 생산 활동을 통해 매개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합니다.
자신이 사용하기 위해 만드는 물건은 상품이 아니지요. 상품은 자신이 아니라 타인을 위해 생산한 물건입니다. "자립적이고 서로 독립해 있는 사적 노동의 생산물"이란 말의 의미가 이겁니다. 노동생산물인 상품은 궁극적으로 타인을 위한 물건인 만큼 상호 교환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여기서 맑스는 상품을 가장 기초적인 단계에서, 말하자면 가장 단순한 단계를 전제하고 있습니다. 먼저 상품과 상품들 간의 교환관계에서 시작하는 거지요.
맑스에 의하면 "상품은 자연형태와 가치형태라는 이중형태를 갖는 한에서만 상품"이 됩니다. 자연형태란 분필이나 의자와 같은 구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말이고 가치형태란 그 상품이 다른 상품과 교환될 수 있는 가치를 가져야 한다는 거지요. 그래서 내가 사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라면 한 상품의 사용가치는 서로 교환을 통해 상품이 되었을 때에만 실현될 수 있겠지요. 본인은 정작 다른 상품과 교환하기 위해 만들었는데 시장에서 교환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단지 '유용한 물건'일 뿐 상품은 아닌 거지요. 말하자면 상품은 상호 교환을 통해 매개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겁니다. 상품은 이렇게 교환됨으로서 그 가치를 실현합니다.
그래서 맑스는 상품은 "사용가치와 가치의 통일"이라고 규정합니다. 사용가치와 가치는 분리불가능합니다. 사용가치가 없다면, 즉 상품이 유용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누구도 그것을 사려고 하지 않겠지요. 그런데 한 상품이 어떻게 다른 상품과 교환될 수 있을까요? 단지 그저 누군가가, 서로가 상대가 가진 것을 필요로 한다고 다 교환될 수 있을까요? 호미 한자루를 가지고 나온 사람이 쌀 한가마니를 지고 온 사람에게 서로 교환하자고 하면 그냥 교환될 수 있을까요? 아무리 쌀 한가마니를 가진 사람이 호미가 필요하다해도 덥석 교환하지는 않을 겁니다. 각자의 물건이 교환되기 위해서는 어떤 비교할 수 있는 근거가 있지 않겠습니까?
사용가치로서 상품의 형태와 용도가 다양한 것처럼 각각의 상품을 생산하는 노동 또한 상이 한 활동으로 나타납니다. 상품을 생산하는 노동은 구체적이고 특수한 노동인 동시에 개별적인 사적 노동입니다. 우리는 의자를 만드는 목수가 나무를 다듬고 못질 하는 것을 머릿 속에 떠올릴 수 있습니다. 목수의 이러한 구체적 노동이 사용가치를 형성합니다. 이와 반대로 가치를 형성하는 노동은 추상적이며 일반적인 인간노동입니다. 맑스는 추상적 노동이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노동형태를 사상한 "생리학적인 의미에서의 인간 노동력의 지출"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목수의 노동과 미싱공의 노동은 대상도 서로 다르고 결과물도 다릅니다. 하지만 목수나 미싱공이나 일정한 시간동안 "노동을 수행"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이 때 두 사람이 수행한 노동은 맑스의 표현을 따르자면 “생리학적인 의미에서의 인간 노동력의 지출”입니다. 상품의 가치를 형성하는 노동이 바로 이 생리학적인 의미에서 인간 노동입니다. 두 사람은 그저 노동력을 지출했다는 점에서 노동을 수행해서 어떤 결과물을 만들었다고 말할 수 있겠지요.
좀 우스운 이야깁니다만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엑기스"라는 말을 사용하지요? 그런데 이 엑기스가 뭡니까? 홍삼 엑기스. 제가 있는 대학에서 강의시간에 학생들에게 엑기스가 뭔지 물었더니 어떤 학생이 "원액"이라고 대답했습니다. 홍삼 엑기스는 홍삼 원액인 셈이지요. 아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엑기스는 영어 "extract" '익스트랙트'의 일본식 발음입니다. 추상적 노동은 각 개인의 구체적 노동에서 인간의 생리학적 의미에서의 노동일반, 즉 "노동 엑기스"인 셈이지요. 헐헐.
그래서 상품의 '가치'는 단순히 인간노동 일반의 지출만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게 참 중요한데 길군요. 또 추후에 연결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