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학기가 시작되고 학생들과 만나는 첫 주에 나는 학생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한다. 다를 취업이 최우선이라고 무조건 취직할 생각만 하지 말고 자신이 하고 싶고 잘 하는 것을 찾아라, 최근에는 보니 여행전문가, 여행작가처럼 글쓰는 것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도 많더라. 어디 여행만 그런가, 우리 지역의 사소한 역사와 삶을 파고들어 잘 쓰면 그것도 좋은 책이 되지 않겠는가, 무조건 취업에 목매지 말고 글을 많이 읽고 글쓰는 연습을 많이 해서 다들 좋은 글을 쓰면서 살 수 있는 그런 직업이 최고의 직업이 되는 그런 사회가 되면 좋겠다, 뭐 이란 취지의 말이다.

뭐, 해서 일전에 학생들과 이런 이야기를 한적이 있다. 이명박 정부가 강바닥 파서 뒤집는 데 들인 23조원을 전국 군, 구 단위에 작은 도서관을 하나씩 지어, 최소 10,000개를 지었다면 경제적 파급 효과가 어땠을까? 커지는 않겠지만 지역 건설업자들과 그 지역 일용 건설노동자들이 좀 좋아할테고, 그리고 도서관에 정규직 사서와 행정직원을 최소 6명씩만 고용해도 6만명의 고용효과가 있을테고, 그리고 무엇보다 대학 도서관학과 학생들의 취업이 증가하지 않겠는가. 더 나아가 이들 도서관에서 책을 한 권씩만 구입해도 6만권의 책이 판매될 테니 출판 시장이 확대되고, 그러면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이 형성될 테고, 결국 우리의 인문적 삶이 풍성해지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었다.

학생들의 반응은 대체로 무표정하고 떨떠름하고, 몇몇은 관심을 보이고 다수는 외면하는 그런 분위기다. 선생의 말이 전혀 현실성이 없고 세상물정 모르고 자기 속편한 소리만 한다고 생각하겠지. 더러는 전형적인 꼰대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사서 채용 뒷전 공공도서관 수 늘리기만 ‘골몰’하는 정부
권재현 기자 jaynews@kyunghyang.com / 입력 : 2015-02-05 21:23:31수정 : 2015-02-05 21:29:51

ㆍ문화부, 올해 47곳 개관… 인력은 10년째 제자리걸음
ㆍ학교 도서관, 2011년 이후 1명 뽑아… 독서교육 ‘후퇴’

정부가 올해 야심차게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공공도서관 확대 계획이 겉만 요란할 뿐 속은 부실해 ‘속 빈 강정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장서 확대 및 인문학 강의 프로그램 개발 등을 알차게 진행하려면 도서관 건물의 확충보다 사서(司書) 등 관련 전문인력의 안정적 공급이 필수적인데, 예산 문제 등을 이유로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어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새해 대통령 업무보고에 이어 최근 확정·발표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보면, 올해 전국적으로 모두 47개의 공공도서관이 새로 문을 연다. 이로써 전국 공공도서관은 968곳으로 늘어나고, 공공도서관의 장서 또한 500만권 더 늘어난다.

문화부는 교육부 등 다른 부처와 머리를 맞대 모든 연령층이 이용하는 도서관에 시민들이 읽고 배우고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지역 특성에 맞는 인문정신문화 프로그램 강좌도 2640개를 개설하는 등 다양한 독서 및 문화 프로그램 운영을 준비 중이다.

사업 규모가 커지는 만큼 더 중요한 것은 이를 감당할 인력 충원이다. 하지만 정부는 공공도서관 전문인력 확대에는 소극적이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www.libsta.go.kr) 자료를 보면, 2003년 이후 사서 직원 숫자가 늘어나고는 있지만 공공도서관 1곳당 4.3명 수준이다. 10년 넘도록 제자리걸음이다. 늘어나는 도서관 숫자를 사서 직원들이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그마저 도서관 1곳당 직원 숫자는 줄어들고 있고, 전체 직원 대비 사서 직원이 차지하는 비율도 증가폭이 점점 감소해 여전히 50%를 밑도는 상황이다.

이권우 한양대 특임교수(도서평론가)는 5일 “인력이 뒷받침되어야 장기적 관점에서 깊이 있는 고민, 알찬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것 아니냐. 지금 상황이라면 전문성은커녕 기존 강좌를 그대로 베끼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용훈 서울도서관장은 “업무는 늘어나는데 인력은 제자리걸음이어서 사서 직원들의 피로가 누적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존 업무를 재조정하거나 급하면 임시직 등 비정규직 고용을 통해 겨우 막는 수준이다보니 체계적인 책 자료 수집이나 주민 대상 독서 지원 프로그램 개발 등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학교 도서관 상황은 더 심각하다.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은 “이명박 정부 이후 아이들 독서교육은 거의 종적을 감췄다”며 “노무현 정권 후반기 3년간 367명 늘어난 사서교사가 이명박 정권 5년 동안에는 겨우 34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지적했다. 2011년 이후 3년 동안은 결원 보충으로 단 1명만 임용했다. 


정부는 정규 인력 신규 채용보다 기존 인력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거나 사업별로 상황에 맞게 임시 계약직 등을 일시적으로 고용해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문화부 관계자는 “책임성이나 전문성 면에서 정규 사서가 꾸준히 사업을 점검·추진하는 게 좋지만 예산 문제도 있어 사업조정에 따른 인력 재배치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2/08 16:30 2015/02/08 16:30
https://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337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