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151118_주요메모

 

콜트콜텍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기로 한건 나 스스로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었다.
그 때 투쟁하는 노동자들을 봐도, 그들과 같이 밥먹고 뭔가를 하더라도 그 때 뿐, 대부분 무심하고 무관심했다. 
그런 내 모습이 좀 낯설었다.
2006년 나는 농민들을 만나고 그 마을에 살기로 결정했다.
2009년 피하고 피하다 결국 마주하게 되자 열일 제치고 용산으로 출퇴근을 했다.

그런 일들에서 대부분 크게 한 일은 없어도 스스로 마음을 다 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노동자들을 만나고 만나도 심드렁한 나 자신이 신기했다. 이런 정의, 이런 소용돌이에 끌리는 것 아니었나? 근데 왜 이러지?

처음에는 노동자들 때문인 줄 알았다. 먼저 살갑게 다가오기보다 약간 쭈뼛거리고, 뭔가 진리를 품고 있을 것 같다기 보다는 약간 한량처럼 보이기도 하고.
그냥 그런것 때문인 줄 알았다. 아, 나는  노동자들한테 크게 관심이 없나보지? 라고 넘겼던 것 같다.

그런데 이런저런 생각으로 감정이 북받쳐 오르자 한가지 기억이 떠올랐다.
콜트콜텍 노동자들을 만나기 시작했을 무렵, 이런 이야기를 들었었다. 너무 답 없는 싸움이라고. 국내엔 더이상 돌아갈 공장도 없고, 동력도 약한 싸움이라 길게 간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고.
당시 나는 상황을 잘 몰랐기 때문에 지인에게 이런 이야기를 듣고, 아 어렵구나. 그냥 그렇게 넘겼다. 그렇지만 뭔가 계속 연결되는 일이 생기고, 나는 왠지 기록을 해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근데 뭘 찍어야 할지, 왜 찍어야 하는지를 잘 모르겠더라. 그래서 별로 열심히 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한켠으로는 '아~ 나 이거 왜 열심히 안하지??' 하고 생각하고 넘겼다.
그냥 내 게으름을 탓했다.

2006년에는 살던 곳에서 남은 땅이라도 일구며 살아가기를, '우리땅 지키기'를 하기를 바랐다.
2009년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여섯분의 영정 앞에 무릎꿇고 사과하는 장면이 너무너무 보고 싶었다.

나는 그런 것들이 소박한 꿈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소박한 것들은 하나도, 단 하나도 이룰 수 없었다.

그리고 나는 다시 절망하기 싫었다.
콜트콜텍 노동자들의 싸움의 끝을 보면 너무나도 당연하게 절망할 것 같았다.
나는 그것에 빠지고 싶지가 않았다.

그 즈음부터 나는 항상 그랬다. 
나는 항상 절망에 빠지기 두려워 무엇에도 다가기지 못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