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프레]김정일 중국 왜 갔나? 미국 "북핵지지가 목적"

'김정일 방중'을 보는 미국의 시선은?
WP "후진타오에 '북핵 지지' 요청이 목적"
등록일자 : 2006년 01 월 12 일 (목) 15 : 21   
 

  중국을 방문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행보가 두터운 베일에 싸여 있는 가운데 미국에 의한 금융제재 문제에 대해 중국의 협조를 구하고 북중 경제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경제협력·개혁 논의 배제…'단기적' 해석 주종
  
  김 위원장의 방문을 보도한 미국의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 〈뉴욕타임스(NYT)〉의 11일(현지시간)자 기사는 이같은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주고 있다. 미국 정가에서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을 반영하거나 그 시각을 형성하는 데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이 신문들이 김 위원장의 방중을 해석하는 방식은 주목을 끌 만하다.
  
  두 신문이 김 위원장 방중의 주된 목적으로 꼽은 것은 6자회담 교착상태의 타결이다. 김 위원장이 6자회담의 주도국이자 유일한 '우군'인 중국의 협조를 구하고 지지를 얻기 위해 예정에 없던 중국행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신문들은 특히 금융제재를 풀지 않으면 회담에 복귀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던 지난 9일자 북한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언급하며, 김 위원장이 그같은 입장을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에게 직접 전달하기 위해 중국을 찾았다고 해석했다.
  
  신문들은 그러나 금융제재 해제라는 '단기적' 분석에만 힘을 실을 뿐 양국의 경제협력과 북한의 경제개혁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NYT는 베이징발 기사에서 6자회담이 난관에 부딪힌 시점임을 강조하며 "김 위원장과 중국 정치 지도자들의 대화는 교착상태에 놓인 6자회담에 관한 것이라는 게 거의 확실하다"고 보도했다.
  
  NYT는 "후진타오 주석이 지난해 10월 북한을 방문했기 때문에 김 위원장의 답방이 예상되긴 했지만 언제일지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다"며 이번 방문이 급작스럽게 결정됐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한편 "조지 부시 미 행정부는 북핵문제와 금융제재는 별도의 문제라고 주장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행정부 당국자와 의원들은 시간만 끌면서 결론이 나지 않는 북핵 6자회담을 계속하는 게 과연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인지를 둘러싼 논의가 워싱턴 정가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말한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뭔가 화급한 일 있었을 것"
  
  WP 역시 "후 주석이 지난해 10월 말 북한을 방문, 정상회담을 가졌는데 불과 몇 달만에 또다시 북중 정상회담을 갖는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라면서 "두 사람이 회담을 갖는다면 김 위원장이 북한 핵문제를 둘러싼 (북미간) 대치 상태와 관련해 후 주석의 지지를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WP는 북중 정상이 회담을 한다면 "뭔가 화급한 일이 있기 때문"이라며 "북한이 매우 드문 김 위원장의 외국 방문을 앞두고 미국을 강도 높게 비판하는 성명을 낸 것을 보면, 김 위원장이 6자회담 주최국인 중국에게 6자회담을 포기하겠다고 위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또 이 신문은 외교소식통 및 정치분석가 등의 말을 인용해 "북한이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 해제조치가 없는 한 자국 핵 프로그램 폐기를 위한 6자회담에 복귀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직후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하고 10일 러시아로 갔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황준호/기자
ⓒ 2001-2005 PRESSian. All right reserved.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