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ary No. 193, Sept. 15, 2006


중동지역 최대의 불안요소, 파키스탄
("The Loose Cannon in the Middle East")





다들 헛다리를 짚고 있다. 대부분의 분석가와 언론인, 그리고 정치 지도자들은, 중동지역에 광범한 참화의 불씨를 당겨 분란을 몰고올 어느 정부에 대해 걱정이 한창이다. 이런 혐의를 받고 있는 정부들로는, 정파적 입장차이에 따라 봤을 때 이라크와 이란, 이스라엘, 그리고 미국이 있다.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이들 중 어느 정부든 간에 지금은 물론이고 가까운 미래에도 전면전 가능성이 담긴 시나리오를 택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라크는 내전, 그리고 언제 터질지 모를 시한폭탄과 같은 미국의 개입에 종지부를 찍는 데 온통 매달려 있다. 이란은 매우 안정된 통치기반을 바탕으로, 더도 덜도 말고 미국이 자신을 구속하지 못하게끔 하는 데 전력중이다. 이스라엘의 경우 이란한테 발끈해선 씩씩댄다곤 하지만, 레바논 침공이 대실패로 끝난 후로 제대로 일을 벌일 만한 처지에 있질 않다. 미국 정부는 중동에서 본 낭패를 추스리며 자신의 신상에 각별히 유념하는 가운데, 이미 자초하고 만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진력하고 있다.

중동에서 지금 가장 요주의라 할 만한 국가는, 바로 파키스탄이다. 이 나라의 역사를 살펴보자. 영국령 인도에선 매우 세속적이면서 매우 "근대적인" 정치운동이 발흥했다. 이 운동의 목표인즉슨 영국령 인도로부터 광범한 이슬람 권역을 개척, 하나의 독립국가로서 인정을 받고자 했던 것이었는데, 그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8년 독립하기가 무섭게 대량 살육전에 돌입했고, 두 나라 간에 대규모 인구이동이 있었던 것도 이 무렵이었다. 이 이래로, 특히 카슈미르라 불리는 넓은 접경지대를 사이에 두고 이뤄진 국경선 획정을 그 어느 쪽도 받아들이지 않은 이래로 두 나라 사이에 조성된 긴장은 지금까지 현재진행형이다.

그 후, 50년 넘는 세월을 거치며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지리적으로 괴물 같은 존재이던 파키스탄이 둘로 쪼개지면서, (인도의 부추김 속에) 기존 영토의 절반에 해당하던 동쪽 지역엔 방글라데시라 불리는 독립국가가 들어섰다.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 전쟁이 추가로 벌어졌지만, 근본적으로 바뀐 건 아무것도 없었다. (그리고 인도는 중국과도 국경문제를 둘러싼 전쟁을 치렀다.)

냉전기 동안 인도는 비동맹 운동의 수장이 됐는데, 이는 소련과의 유달리 돈독한 관계로 재미를 보면서 이뤄진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이같은 인도의 외교적 행보를 제각기 달가워하지 않는 나라들이 있었으니, 바로 미국과 중국이다. 이에 따라 두 나라는 파키스탄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됐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그 어느 쪽도 핵확산금지조약에 (이스라엘과 마찬가지로) 서명한 바가 없다. 핵무기 개발은 두 나라 모두에서 이뤄졌다. 1948년 이래로 인도는 내부정치적으로 불안정하고 복잡한 역사의 궤적을 그려왔다. 내적 통합에 장애가 될 만한 잠재변수들이 있긴 했지만, 인도의 정치적 상황은 기본적으로 안정된 것이었다.

일단, 인도에선 빈번한 정권교체 경험에도 불구하고 군부 개입과 관련된 어떤 징후도 내보인 적이 없다. 파키스탄의 경우는 이와 아주 달랐다. 빈번한 정권교체가 이뤄지는 가운데 이에 모든 책임을 졌던 건, 많은 경우 군부였다. 현 정부도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다.

종교의 역할 또한 두 나라가 서로 판이했다. 인도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힌두 근본주의는 쉽사리 폭력으로 기울곤 했어도, 궁극적으로 이같은 주의의 표현은 제도권 안팎으로 크게 의회정치 원칙에 따라 움직이는 인도인민당(바라티야 자나타 당Bharatiya Janata Party이라고도 불리는 강성 힌두 우파 민족주의 정당. 1980년 조직되어, 1998년~2004년 동안 집권당의 지위를 누린 바 있다-옮긴이)이란 정당 형태를 통해 이뤄졌다. 그리고 인도엔 아주 많은 이슬람계 사람들이 있어 선거 때 중요변수로 작용을 한다.

파키스탄의 경우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동시에 여러 갈래의 노선을 추구했는데, 분명 이들은 제도권 안팎으로 여러 정치적 결사체를 조직했다. 그러나 이들은 게릴라 운동 또한 조직했던바, 카슈미르 지역에서 이들이 보인 활약은 (적어도 처음엔) 매우 주도적인 것이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이들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한 땐 뚜렷이 세속적인 면모를 보였던 무장 조직들 속에서, 특히 첩보업무 수행과 관련하여 시나브로 자기네들의 입지를 넓혀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선 이른바 '북서부 변경 지역'(North-west frontier Provinces)에 이들은 사실상의 자치정부를 수립했다.

여지껏 파키스탄 정부는 재정적인 어려움에 빠지지 않으려 악전고투해야만 했다. 정부 차원에선 서로 다른 두 부류의 고객, 다시 말해 "근대화(결국, 서구화)를 추구하는" (전문가집단, 기업가, 제도권연구자) 계층과 훨씬 더 "대중적인" 이슬람주의 그룹을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지속돼왔다. 이게, 정치적 곡예를 부려도 될 만큼 그리 만만한 사안은 아니었다. (하여) 역대 정부가 취했던 핵심기예 중 하나는, 미국한테 주는 건 거의 없이 가능한 한 많은 재정적/정치-군사적 지원을 받아내려는 가운데, 모호는 하나 밀접한 (대미)관계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오사마 빈 라덴이 이루려는 주요목표 중 하나는, 이런 모호한 게임을 떠받치고 있던 버팀목들을 쓰러뜨리는 일이었다. 그는 9.11 공격으로 미국이 파키스탄에 대해 동맹으로서의 역할에 훨씬 더 충실하라고 압박을 가하길 바랬다. 그리고 이러한 바램은 일정한 성취를 이뤄내기도 했다. 파키스탄의 지정학을 정교히 읽어내기엔 형편없이 능력이 떨어지는 부시 정권 덕분이었다.

이에 대한 반응은 파키스탄에서 그 윤곽을 뚜렷이 드러냈다. 북서부 지역의 "질서" 확립차 (그리하여 빈 라덴을 체포하고자) 이뤄졌던 군사적 조치는 실패로 끝이 났고, 이젠 후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러는 와중에 인도가 감행한 추가 핵개발에 정당성을 부여했던 미국은, 파키스탄의 핵개발에 대해선 대인도 관계 악화를 이유로 싸늘한 태도를 보였다. 이같은 기회의 비대칭성을 상쇄하고자, 파키스탄은 결국 또다른 옛 동맹국 중국에 기대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앞으로도, 파키스탄 대통령 무샤라프는 정치적 실패의 늪에서 더더욱 허우적댈 듯하다. 그의 휘하에 있는 군부에선 슬그머니 (1990년대까지 파키스탄의 주요 후견대상이던)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지원을 재개했는데, 이에 대해 미국은 점점 언짢은 기색을 내비치는 중이다.

만약 무샤라프가 휘청, 하기만 하면, 파키스탄에선 미국에 적대적인 골수 이슬람주의 정권이 들어설 공산이 크다. 이번엔 핵무기를 보유한 군사강국이자, 오사마 빈 라덴이 부담 없이 의탁할 만한 그런 국가로서 말이다.

그럼, 그 다음엔 어떻게 될까?







이매뉴얼 월러스틴
/ 예일대 석좌교수, 사회학







원문보기:http://fbc.binghamton.edu/193en.ht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03/12 21:41 2008/03/12 21:41
https://blog.jinbo.net/redivy/trackback/24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