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10월 26일

예전에, 아주 예전에 하이힐을 신고 집회장에 온 그녀를 보면 안심이 되었다. 저기 한 명 또 있군! 어느 봄, 비가 내리던 날 천장이 낮은 허름한 맥주집에서 우리는 노수석의 죽음을 들었다. 난 그저 황망하게 앉아 있었지만,테이블 건너편의 그녀는 울었다. 그 때 부터 였는지도 모른다. 난 그녀의 열정을 동경했다. 굽이 나간 구두를 양손에 들고 집회대오 속에서 뛰고 있는 그녀의 맨발을, 내 안에서 숨죽이며 방황하고 있던 언어들을 숨쉴 수 있게 했던 그녀의 거침없음을, 어둡고 거친 심연으로 치닫던 절망조차 그 바닥까지 가야만 했던 날들을. 내 안의 동경과 그녀 안의 나와 수 많은 이야기들이 내 20대의 뚜렷한 한 획을 그었고 우리가 도무지 이해려하지 않았던 세계와 사람들을 낯설고도 새롭게 받아들이는 나이가 되었다. 어느 날 문득, 쏟아지는 햇살 속에서 산다는 게 얼마나 경이로운지 가슴벅차하다가 어느 날 문득, 원인 모를 슬픔에 하염없이 울고 있는 나를 보다가 어느 날 문득, 끝없이 부유하며 걷고만 싶어지는 길에 놓여져 어느 날 문득 그녀를 찾곤 했다. 우린 참 비슷해. 라고 그녀는 이야기한다. 때론 그녀를 만나고 나면 한동안 앓아 눕기도 했다. 밤을 새도록 나눈 술과 담배와 이야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녀 앞에서 쏟아져 나온 나와 그녀를 마주해야 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 짧은 글을 쓰는 동안 맥주를 비우고, 담배를 연신 피워댄 이유도 다 그녀 때문이다. 나 때문이다. 단지 그녀의 서른 두번째 생일 축하의 글을 쓰고 싶었던 건데. 맥주 때문인지 줄담배 때문인지 몽롱한 것이 가슴이 아픈 것도 같고 그녀가 보고 싶다... 축하해. 은주야! 알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