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아둘 글 - 2010/06/28 15:48

"우린 오늘 크나큰 슬픔에 잠기지만 투쟁을 중단하진 않을 것입니다

동지들은 헛되이 죽지 않았습니다

호세피나, 세바스띠앙, 떼레사, 동지들 모두..

우리 모두는 그들과 같은 목표를 위해 투쟁합니다

우리는 계속 싸울 것이고 그게 그들이 바라는 것입니다

그들은 여기서 우리와 함께 같은 대의를 위해 싸울 것입니다

그들을 땅으로 떠나 보내지만 대지는 우리의 것입니다, 동지여

이 곳에서부터 전의를 다져야 합니다

전투는 지속될 것이고 우리의 적은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더 많습니다

언제나 우리가 더 많을 것입니다

내일은 우리의 것입니다, 동지여"

 

 

"혁명은 새끼 밴 암소와 같아서

우리가 돌보지 않으면 암소와 송아지까지 잃게되고

아이들은 굶게 돼"

 

 

"지니, 네 의견은 그럴듯하지만 질문이 하나 있어

네가 달래려는 대상이 누구지?

외국 정부? 외국 은행들?

혁명이 뭔가?

특권, 부, 권력의 근본적인 변화에 다름 아니야

민중의 갈증을 해결하는 유일한 길이야

이념을 희석시키다 보면 혁명은 공허한 것이 되지

네가 이 마을을 벗어나서 바라봐야 하고

바깥을 바라봐야 한다고 말한 것은 전혀 틀린 말이 아냐

하지만 외국 은행들과 외국 정부들만이 아냐

우리가 반드시 봐야 할 것은 바로 이 창문들 바깥이기도 해

이 땅에는 2백만 명의 토지 없는 농민들이 있어

태어날 때부터 비참한 삶 이외에는 아무런 희망도 없는 신세지

우리가 그 에너지를 지금 활용하지 않으면

이념은 죽어 버릴 테고 아무것도 바뀌지 않은 채

이 짓도 헛수고가 될 거야

이념이야 말로 혁명의 근거인 것이야"

 

 

"한가지는 짚고 넘어가자

협박은 계속될 거야

우리가 무기를 받아들이면 그들은 조건을 거는 거지

그들은 파트너엔 관심 없어 들러리가 필요한 거라구"

  

 

"가장 성실하고 헌신적으로 파시즘과 싸운 사람들은 살해당했어

하지만 네가 이 편지를 받아 본다면

내가 전혀 낙담하지 않고 있음을 알아주길 바래

혁명에는 전염성이 있지

우리가 여기서 성공했다면 완성할 수도 있었어

세상을 바꾸었겠지

하지만 괜찮아

우리의 시대가 반드시 올테니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6/28 15:48 2010/06/28 15:48
TAG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soist/trackback/398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 83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