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피자매연대입니다.

다사다난했던 2012년 한 해가 저물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2003년 대안생리대 만들기 운동을 시작한 피자매연대는 그동안 여성주의와 생태주의에 기반한 풀뿌리 인권평화운동을 통해 한국 사회를 서서히 그러나 줄기차게 변화시켜 왔습니다.
사회적 약자들과 연대해 빼앗기고, 쫓겨나고, 짓밟힌 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해왔습니다.
이 사회에 존재하는 차별과 억압을 없애고, 모두의 자유를 위해 한 순간도 저항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이주노동자들의 농성현장에서, 병역거부자들의 평화운동에서, 지역 주민들의 자립운동에서, 평택 대추리의 농민들의 토지를 지키기 위한 운동에서, 천성산과 새만금 갯벌에서 죽어가는 존재들과 힘을 모았고, 용산참사 현장에서 철거민들의 권리를 지키고 국가폭력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서 기나긴 시간을 현장에서 함께 했습니다.
두리반 철거농성촌에서, 또 제주 강정마을에서 우리는 모든 힘을 모았습니다.

피자매연대는 따로 회원제 모임을 지향하지는 않았습니다.
'세상 피 흘리는 모든 자매들의 연대'를 위해 누구나 함께 했고, 경계를 넘어서 힘을 모으고자 했습니다.
처음부터 수평적이고 자발적으로 형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어디서든 불의에 맞선 저항이 일어나길 도모했고, 우리 일상생활에서부터 변화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조그마한 실천에도 의미를 두었습니다.

이제 피자매연대가 만들어져 활동한 것이 만 10년이 지나갑니다.
그동안 많은 성과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냉정하게 돌아볼 때 열의는 컸지만 얼마만큼 많은 변화를 이루어냈는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왜 우리는 한 순간도 쉬지 않고 차별과 억압이 없는 세상을 만들기위해 싸워왔는데, 지금 이 세상은 이런 모습일까요...

피자매연대는 이제 잠시 휴식을 갖고 새로운 사회운동을 준비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오랫동안 피자매연대와 함께 그 치열했던 사회 현장에서 힘을 모아 함께 싸워온 모든 분들께, 그리고 그런 피자매연대의 활동을 지지하고, 후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 피자매연대 홈페이지는 그대로 존속할 것입니다.
피자매연대 홈페이지에 쌓인 모든 정보는 처음 피자매연대가 시작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모든 이들에게 아무런 제한없이 공개될 것입니다.
누구나 원하는 모든 정보를 제한없이 공유하는 것이 피자매연대가 만들어지면서 제일 먼저 추구했던 가치 중 하나이니까요.
 
누구든 이윤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면 출처를 밝히고 이곳 피자매연대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분간 피자매 달거리대 주문 역시 그대로 받도록 하겠습니다.
여러 사회운동 소식과 정보공유 역시 피자매연대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을 통해 그대로 이어나갈 것입니다.
 
다만, 2013년부터는 피자매연대 후원을 받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우리는 보다 새로운 마음과 각오로 더욱 단단하고 재미있으며 강력한 사회적 저항운동을 펼쳐나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주 강정마을의 해군기지 반대운동 소식을 몇 가지 전해드립니다. 널리 알려주세요!!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시민평화포럼 성명]

2013년 제주해군기지 예산은 전액 삭감되어야 한다!
- 박근혜 당선자와 여야 국회의원들은 제주도민들과의 약속을 지켜라

1. 국회의 2013년 예산심의가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 여야 정당과 국회의원들은 해군의 2013년 제주해군기지 예산안을 전액 삭감해야 한다. 해군기지 예산 전액삭감이 불가피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2. 첫째, 2011년 12월 여야가 합의한 대제주도민 약속인 ‘객관적인 설계검증’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2011년 국회 예결위가 2012년 해군기지 예산의 대부분을 삭감한 취지는 정부와 해군이 공약했던 ‘민군복합형관광미항’의 설계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것으로, 국회는 예산을 삭감하면서 정부와 해군에게 “크루즈 선박 입·출항 및 접·이안 안전성 문제를 제3의 기관을 통해 객관적으로 검증”하라고 요구했었다. 이후 총리실 주재로 구성된 기술검증위원회는 ‘설계오류’를 자인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문제의 원인을 해결할 근본적인 설계변경 없이 공사가 강행되어 왔다. 해군은 항만구조물 재배치, 항로의 변경, 초강력 예인선 사용 등 공사 중단과 근본적인 재설계 없이 설계를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몇 가지 미봉책을 내놓았지만, 이 방식으로 크루즈 선박 입·출항, 접·이안이 가능한 지에 대해서는 전혀 입증된 바 없다. 이를 검증할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시뮬레이션도 현재까지 실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2011년 여야합의가 이행되지 않은 만큼 해군과 정부는 공사강행에 필요한 예산을 요구할 근거가 없다. 

3. 둘째, 기술검증위원회의 설계오류 인정 이후 부분적으로 변경된 설계의 문제점도 속속 밝혀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안전성을 이유로 변경된 크루즈 항로(30도 항로법선)가 천연기념물 421호인 범섬 천연보호구역,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완충지역)을 관통하여 심각한 환경파괴가 예상된다는 사실이다. 또한 해군의 부분적인 설계변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15만톤 크루즈선박이 항구 내에서 선회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고 국토해양부가 제시한 기준에도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새로운 쟁점들에 대한 검증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4. 셋째, 지난 여름 제주도를 지나간 태풍으로 인해 항만공사의 핵심시설물인 케이슨이 대부분 파손되었고 심지어 내부제보 등을 통해 부실시공 의혹까지 제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조사와 대책 없이 케이슨 설치 공사를 지속하는 것은 무모한 일일뿐만 아니라 자칫하면 커다란 예산낭비를 가져올 수 있다.  

5. 이상 열거한 근거들이 일관되게 보여주는 것은 현재 강정마을에 건설되고 있는 기지가 제주도민들에게 정부와 해군이 약속한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이 아니며, 기술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심각한 결함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제주도민들이 신뢰할 만한 근본적인 처방이나 객관적인 검증 없이, 주민들이 강력히 반대하는 해군기지공사를 강행하기 위해 해군기지 공사예산을 무려 2,000억 이상 책정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박근혜 당선자는 대선 기간 동안 제주를 방문하여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건설을 제가 책임지고 도민들의 뜻에 따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술적 환경적 결함을 지닌 군항을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이라는 이름으로 밀어붙이는 것이 ‘책임지고 도민들의 뜻에 따라 추진’하는 일은 아닐 터이다. 

6. 이미 2011년 여야가 합의하여 ‘검증 없이 예산 없다’는 기준을 세운 만큼, 국회가 요구한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제출된 제주 해군기지 예산안을 전액 삭감해야 마땅하다. 정치권이 스스로 세운 원칙과 제주도민에 대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기술적 환경적 논란이 해소되지 않은 해군기지 건설 공사를 강행한다면 제주도는 지금보다 더 심각한 갈등에 휩싸일 수밖에 없다. 다시 한 번 여야의 현명한 선택을 촉구한다.  끝.

-------------------------------------




국회에서 2013 예산 논의가 진행 중인데요 제주해군기지사업 관련해서도 2010억원(전해 대비 2배)의 예산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이에 강정주민들분들이 상경하셔 24일부터 국회앞에서 백배릴레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도 해보니 백배가 15분정도 그렇게 힘들지 않더라구요 적어도 백배를 하는 그 짧은 시간동안 제주해군기지사업 백지화를 기원하는데 마음을 집중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혹 부담이 된다면 국회 정문 앞에서 1인시위에 동참해주셔도 됩니다. 
국회 앞에서 뵙길 바랍니다.

그리고 올해에도 강정마을에서 해맞이 행사가 준비되었습니다. 가족들과 함께 강정마을 방문하시는건 어떨까요
(자세히보러가기 http://www.peoplepower21.org/Peace/984427

해보러 강정마을에 가요

일시 및 장소 : 2012년 12월 31일 오후 5시~ 2013년 1월 1일 오전 10시, 강정마을 포구 일대

주요행사 : 길트기, 새해 떡국나누기, 해맞이 기원제, 생명평화 백배, 민속놀이 등
감사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12/29 23:19 2012/12/29 23:19
http://blog.jinbo.net/bloodsisters/trackback/65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