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향신문의 기사를 보면 좀 못마땅한 면이 있다. 무성의한 기사 구성과 그간 경향신문이 보여준 보도 방향과 맞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는 기사. 어제 토요일 신문의 경우 40대 싱글에 대한 기사는 최악이었다. 그래도 나는 경향신문을 매일 "읽는다". 그 중에서도 '여적'을 가장 사랑한다.
며칠 전 민주당의 대선후보인 손학규 씨가 '저녁이 있는 삶'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하고 출판기념회에서 노동시간을 줄여 일자리를 나누자는 취지의 연설을 한 모양이다. 뭐 민주당을 믿었으면 벌써 수십 년 전에 믿었겠지만 믿을 놈이 어디 있겠는가, 이런 생각을 했다. 그리고 진짜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떻게 그 동안 한나라당에서 대선후보까지 했을까 측은한 생각도 들었다.
[여적]저녁이 있는 삶
손학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대선 출마 키워드로 내놓은 ‘저녁이 있는 삶’이 상당한 반향을 얻고 있나 보다. 반응을 보면 “그저 그런 이미지의 정치인이었는데 ‘저녁이 있는 삶’은 애잔하다 못해 적어도 그가 어떤 정치인인지 구글링하게 만들었다” “백수에겐 감흥이 어떨지 몰라도 휴가도 못 가고 매일 야근하다 지친 어떤 사람들에겐 아련한 꿈처럼 유혹이 된다” 등이 있다. “진보정당을 ‘멘붕’시킨 저녁 있는 삶”처럼 특이한 것도 있다.
조효제 성공회대 교수는 “엄숙·도덕주의로 범벅이 되곤 했던 정치구호가 비로소 인간의 숨결을 찾은 듯하다”고 평가했다. 이에 공감하면서도 한편으론 이것이 우리가 몹시 일그러진 삶을 살고 있음의 방증이란 생각이 고개를 든다. ‘저녁이 있는 삶’이 단박에 와닿은 이유는 그만큼 고달프게 ‘저녁이 없는 삶’을 살고 있는 탓 아니던가. 내친김에 더 나가보자. 대한민국은 노동자에게 어떤 나라인가. 비정규직이 절반이고, 노동시간은 OECD 최대를 자랑한다. OECD 연평균이 1700시간인 데 한국은 500시간이나 많다. 가족과의 저녁시간이 여의치 않을 수밖에 없다.
기존의 우리네 ‘저녁이 없는 삶’은 성장·개발주의, 속도전에 길든 가치관의 소산이었다. 말하자면 ‘저녁이 있는 삶’은 이명박류의 가치체계와 철학에서는 죽었다 깨도 나올 수 없는 발상이었다. 그 점에서 획기적이긴 하다. ‘저녁이 있는 삶’을 키워드든 화두든 무엇으로 부르든 그것은 결국 공약이다. 그런데 공약을 내거는 것과 실천은 전혀 별개의 문제다. 이 점은 대선 유세 때부터 “경제를 살리겠다”고 목청을 높인 이명박 대통령이 본보기다. 경제도 못 살리면서 양극화만 심화시켰다.
‘저녁이 있는 삶’의 풍경은 분명 목가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리는 세계가 목가적이라고 해서 그 실현방식도 목가적일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착각이다. 노동자들에게 저녁시간을 돌려준다는 것은 엄청난 성취라고 봐야 한다. 어느 편이냐 하면 그것은 좋은 말로 타협될 성질의 것이 아니라 치열한 투쟁을 통해 전취될 대상이다. 복지 확대, 행복권 추구, 비정규직 해결 등 온갖 문제가 연결돼 있다. 이런 비유가 적당할지 모르겠다. 물 위를 유영하는 백조의 우아한 자태는 물밑에서 부지런히 움직이는 물갈퀴 덕분이다. 목가적 삶의 해법은 결코 목가적일 수 없다.(김철웅 논설실장)
http://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261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